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일 전
 
“미국 정부의 최근 무리한 요구라는 게 바로 그것 ‘선불’이었다.”
 
26일 정부 핵심 관계자는 한국의 3500억 달러(약 490조원) 대미(對美) 투자와 관련해 이렇게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일본에서 5500억 달러, 한국에서 3500억 달러를 받게 됐다. 그것은 선불(up front)”이라고 한 말을 언급하면서다.
 
이 관계자는 “미국에서 3500억 달러를 ‘현금으로 내라’, ‘빨리 내라’며 사실상 ‘선불’을 요구해왔다. 그래서 이재명 대통령이 ‘탄핵’까지 언급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18일 공개된 시사 잡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그것(미국의 협상 요구)을 받아들였다면 탄핵당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지난 7월 무역 합의 당시 3500억 달러의 대부분을 직접 지분 투자 방식이 아닌 대출과 보증 형식으로 투자하는 걸로 파악했다.
 
이 관계자의 설명을 종합하면, 미국이 최근 실무 차원에서 한국에 3500억 달러 ‘선불’ 요구를 해왔는데, 한국이 버티자 트럼프가 ‘선불’을 수면 위로 올리며 한국을 압박하는 상황인 것이다. 특히 트럼프가 선불을 언급한 시점도 주목받고 있다.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했던 이 대통령의 귀국행 비행기가 이륙한 직후에 선불 발언이 나왔다는 점에서 트럼프의 계산된 압박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게다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한국 측에 당초 합의액 3500억 달러보다 투자 액수를 더 늘리라고 압박하고 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러트닉 장관의 요구는 일본이 약속한 5500억 달러에 근접하는 수준이라고...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0268?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한글자막 by 한효정
00:30한글자막 by 한효정
01:00한글자막 by 한효정
01:30한글자막 by 한효정
01:59한글자막 by 한효정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