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허준영 교수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올해 한국의 1인당 GDP 총생산이 22년 만에 타이완에 역전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는데 이건 어떤 배경 때문에 나온 겁니까?

◆허준영> 첫 번째로는 우리나라가 22년 만이라고 앵커께서 말씀해 주셨는데 2003년에 역전됐습니다. 2003년 이전에는 우리 GDP가 대만보다 낮다가 2003년부터 달러 표시 GDP입니다. 이게 대만보다 높아져서 22년째 유지되다가 올해 우리나라 정부와 대만의 통계청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 나온 것을 가지고 계산해 보니까 올해 처음으로 22년 만에 역전될 것 같다, 그런 얘기인데요. 원인은 큰 원인 하나랑 작은 원인 하나 정도 있을 것 같습니다. 큰 원인은 양국의 산업이 얼마나 잘되고 있느냐. 경제의 문제입니다. 대만 같은 경우 TSMC라고 하는 파운드리 기업이 굉장히 잘하고 있고 전반적으로 반도체 수출 같은 것 굉장히 많이 하고 있습니다. TSMC를 대만 안에서 호국신산이라고 부릅니다. 나라를 지키는 신성한 산이라고 부를 만큼 굉장히 대만 경제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1년의 실질경제성장률 전망치 같은 것을 나오는 것을 보면 4%대 후반 나오고 있고 내년에도 그만큼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올해 우리나라 한 1% 정도 성장 보고 있잖아요. 이런 것들이 누적되면서 대만에 추월당한 부분이 하나 있고요. 작은 이유로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환율 부분에 있어서 최근 들어서 대만 달러보다 원화가 달러 대비 절하가 심하다 보니까 달러 평가를 했을 때 아무래도 우리나라가 불리한 부분이 있다는 거고요. 이거 하면서 또 하나 나오는 게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나왔지 않습니까? 이걸 바탕으로 계산을 해보니까 대만은 내년에 4만 달러를 갈 것 같고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원래 4만 달러를 올해나 내년쯤 갈 거라고 생각했는데 이게 후년쯤으로 밀릴 것 같다. 왜내년 같은 경우는 정부 추산 한국은행 추산 1. 5% 추산. 아무래도 성장 측면에서는 대만하고 차이가 있는 상황이거든요. 그런 스토리가 이면에 있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말씀하신 것처럼 TSMC을 중심으로 타이완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어떤 측...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915080823993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올해 한국의 1인당 GDP 총생산이 22년 만에 타이완에 역전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는데 이건 어떤 배경 때문에 나온 겁니까?
00:09첫 번째로는 우리나라가 22년 만이라고 앵커께서 말씀해주셨는데 2003년에 역전이 됐습니다.
00:162003년 이전에는 우리 GDP가 대만보다 좀 낮다가 2003년보다 달러 표시의 GDP입니다.
00:21이게 대만보다 높아져서 22년째 유지되다가 올해 우리나라 정부와 대만의 통계청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 나온 것을 계산을 해보니까 올해 처음으로 22년 만에 역전이 될 것 같다.
00:34달러 표시로 그런 얘기인데요. 그 원인은 큰 원인 하나랑 작은 원인 하나 정도가 있을 것 같습니다.
00:39큰 원인은 양국의 산업이 지금 얼마나 잘 되고 있느냐에 봅니다. 경제의 문제입니다.
00:44대만 같은 경우는 저희 TSMC라고 하는 파운드리 기업이 굉장히 지금 잘 하고 있고요.
00:49전반적으로 반도체 수출 같은 거 굉장히 많이 하고 있습니다.
00:53TSMC를 대만 안에서는 호국신산이라고 부릅니다. 나라를 지키는 신성한 산이라고 부를 만큼 굉장히 지금 대만 경제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01:03한 1년의 경제성장률, 실질 경제성장률 전망치 같은 경우 나오는 거 보니까 지금 4%대 후반 나오고 있고 내년에도 그만큼 정도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01:12올해 우리나라 한 1% 정도 성장 보고 있잖아요.
01:15이런 것들이 누적되면서 대만에 추월당한 부분이 하나 있고요.
01:18작은 이유로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환율 부분에 있어서 아무래도 최근에 들어서 대만 달러보다 원화가 달러 대비 조금 절하가 심하다 보니까 달러 평가를 했을 때 아무래도 우리나라가 좀 불리한 부분이 있다라는 거고요.
01:31이거 하면서 이제 또 하나 나오는 게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나왔지 않습니까?
01:36그러면 이걸 바탕으로 시산을 해보니까 대만은 내년에 4만 달러 1인당 갈 것 같고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원래 4만 달러를 올해나 내년쯤 갈 거라고 생각했는데
01:46이게 한 9년쯤으로 밀릴 것 같다.
01:47왜냐하면 내년 같은 경우는 정부 추산 1.8% 성장, 한국은행 추산 1.2% 성장.
01:54아무래도 성장 측면에서는 대만하고 좀 차이가 있는 상황이거든요.
01:57그런 스토리가 이면에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02:00알겠습니다.
02:01말씀하신 것처럼 TSMC를 중심으로 타이완 경제가 빠르게 성장을 하고 있는데 어떤 측면에서 이런 것도 있는 것 같아요.
02:08타이완은 반도체를 완전히 중심으로 가는 그런 구조잖아요.
02:12이런 것들이 어떤 대외적인 환경 변화가 있을 때 오히려 더 타격을 받을 수 있는 이런 우려는 없습니까?
02:17맞습니다.
02:18지금 앵커께서 지적해 주신 대로 반도체라는 것이야말로 사실 스윙이 되게 큰.
02:22올라갈 때 잘 올라가지만 떨어질 때 골도 깊은 그런 산업입니다.
02:26하지만 지금 반도체 산업에서 저희가 그런 스윙을 보는 것과 함께 추세도 봐야 되는 게
02:31뭐하냐면 AI 중심의 고사양 반도체 산업들입니다.
02:35아무래도 대만이 이것들을 집중적으로 하고 있고요.
02:38이것은 스윙에 좀 덜 영향을 받는.
02:40예를 들어서 최근에 미국에서 근 1년간 GDP가 한 2% 정도 늘었는데
02:45그중에 한 6분의 1 정도가 AI 관련된 투자 때문에 늘어난 GDP라고 하는 그런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02:53그렇게 봤을 때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지금 굉장히 AI 붐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인데
02:57여기에 어떻게 보면 대만 경제가 잘 올라탄 상황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03:02그런데 이제 앵커께서 지적해 주신 말씀은 우리나라 경제에도 그대로 적용이 되는 거거든요.
03:07반도체라는 거 우리도 워낙 반도체에 대한 의존성이 경제에 높지 않습니까?
03:11좋을 때 좋고 안 좋을 때 안 좋고 한마디로 반도체 기업들 안 좋아지면
03:14경제 성장률 0.1%씩 빠지고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03:19이런 건 우리 경제에도 좀 생각해 볼 만한 문제 같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