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개월 전


[앵커]
아는기자, 대통령실 출입하는 정치부 이상원 기자 나왔습니다.

Q1. 이 기자, 지금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미국으로 향하고 있죠. 이제 10시간 쯤 뒤면 미국에 도착하죠,

네, 맞습니다.

이 대통령, 도착 직후부터 트럼프 대통령과의 담판 준비에 들어갑니다. 

미국에 도착한 다음날, 바로 한미정상회담이 열리거든요.

담판까지 24시간도 채 남지 않은 겁니다.

Q2. 앞서 리포트에서도 봤지만, 강훈식 비서실장까지 미국에 나섰어요?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죠?

네, 맞습니다.

대통령부터 3실장 그리고 경제사절단도 재계 총수 16명 규모로 대거 미국에 갔죠, 

그야말로 총동원인데요.

그 중에서도 눈에 띄는 건 강 실장입니다. 

통상 비서실장은 대통령 순방 때 나라를 챙기기 때문인데요, 

제가 취재해보니, 총괄 정무 역할을 맡을 사람이 필요했다고 합니다. 

한 외교소식통, 제게 이렇게 말하더라고요. 

"특정 사안을 해결하기 보다는 적재적소에 투입될 가능성이 크다"고요. 

트럼프와의 협상은 막판까지 안심할 수 없고 과도한 요구도 있을 수 있는 만큼 절체절명의 순간 설득하고 판단할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Q3. 강 실장의 카운터파트는 누군가요?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역시 '백악관의 숨은 실세'로 통하는 인물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설득할 수 있는 사람인 거죠, 

다만, 강 실장은 오늘 출국 전 와일스 실장을 만나냐고 묻자 "국익을 위해 양해해달라"며 말을 아꼈습니다. 

Q4. 중요한 회담인 만큼 사람 뿐만 아니라, 할 수 있는 수단을 총동원하는 것 같아요, 이 대통령은 이시바 총리에게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할 팁까지 받았다고요?

네, 한일정상회담 중 이시바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의 관세 협상 경험담을 직접 설명해 준건데요.

이시바 총리,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한 경험이 있죠.  

'황금 사무라이 투구' 선물 공세도 해보고 1조 달러 즉, 1500조 원 가까이 투자 공세도 해봤죠. 

'아첨 외교'라도 불렸었는데 정작 돌려 받은 것, 다른 나라와 큰 차이 없는 15% 관세였습니다.

합의 후에도 안심할 수 없었죠.

최대 15%란 '관세 상한 특례'가 미국 관보에는 빠지면서 관방장관이 또 미국에 가기도 했죠, 

이시바 총리가 그동안 느꼈던 점들을 얘기했고 이 대통령 또한 질문도 하면서 토론을 했다고 합니다.

이시바 총리와 같은 '시행착오는 없다'는 게 대통령실 측 의지입니다. 

Q. 일본에 먼저 간 이유도 다 있었더군요?

네, 그렇죠.

다른 이유도 있습니다.

반일정부라는 이미지를 지우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미일 협력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려는 의도가 있었다는 것이죠. 

또 중국의 언급은 최소화하면서 미국 측이 우려하는 친중 이미지도 불식하겠다는 전략입니다. 

Q. 총력전까지 펼치며 준비에 나선 가운데 24시간 후에는 결판이 나겠네요?

네, 24시간 후면 앞선 정상들이 회담했던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이 대통령도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예상되죠.

제일 중요한 목표는 추가 출혈 막기입니다.

지금까지 논의되지 않았던 방위비 분담금 최소화부터, 소고기와 농산물을 추가 개방을 하지 않는다는 확답도 받아야 하죠.

또, 직접적 투자보다는 우리 기업도 손해보지 않는, '윈윈'하는 협력 사업을 이끌어 내야 합니다.

결코 간단하지 않는 숙제죠.

그야말로 이재명의 실용외교가 시험대에 선 겁니다.

네, 지금까지 아는 기자 정치부 이상원 기자였습니다.


이상원 기자 231@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아는 기자, 대통령실 출입하고 있는 정치부 이상원 기자 나왔습니다.
00:06이 기자, 지금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서 미국으로 향하고 있잖아요.
00:12지금으로부터 한 10시간쯤 뒤면 미국에 도착을 하는 건가요?
00:16네, 맞습니다. 이 대통령 도착 직후부터 트럼프 대통령과의 단판 준비에 들어갑니다.
00:22미국에 도착한 다음 날이죠. 바로 한미정상회담이 열리거든요.
00:26단판까지 24시간도 채 남지 않은 겁니다.
00:29앞서 리포트에서도 봤지만 강훈식 비서실장까지 미국으로 갔습니다.
00:34이건 굉장히 이례적인 일인 거죠?
00:36네, 맞습니다. 굉장히 좀 이례적인데요.
00:39대통령부터 삼실장 그리고 경제사절단도 재계 총수 16명 금으로 대거 미국에 갔죠.
00:45그야말로 총동원인데요.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건 강실장입니다.
00:50통상 비서실장은 대통령 순방 때 나라를 챙기기 때문인데요.
00:55제가 취재해보니 총괄 정무 역할을 맡을 사람이 필요했다고 합니다.
00:58한 외교 소식통 제게 이렇게 말하더라고요.
01:01특정 사안을 해결하기보다는 적재적소에 투입될 가능성이 크다고요.
01:07트럼프와의 협상은 막판까지 안심할 수 없고 과도한 요구도 있을 수 있는 만큼
01:12절체절명의 순간 설득하고 또 판단할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01:16현장에서 총괄, 정무 역할을 맡는다 이런 건데 그러면 강실장의 카운터파트, 맞상대할 사람은 누굽니까?
01:23네, 수지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01:27역시 백악관의 숨은 실세로 통하는 인물입니다.
01:31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설득할 수 있는 사람인 거죠.
01:34다만 강실장은 오늘 출국 전 와일스 실장을 만나냐고 묻자 국익을 위해 양해해달라며 말을 좀 아꼈습니다.
01:41중요한 회담인 만큼 사람뿐만 아니라 뭐든 할 수 있는 수단을 다 총동원하고 있다 이런 느낌이 드는데
01:48이 대통령이 이시바 총리에게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할 어떤 팁까지 받았다면서요.
01:55네, 맞습니다.
01:55한일 정상회담 중에 이시바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의 관세협상 경험담을 직접 설명해 준 건데요.
02:02이시바 총리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한 경험이 있죠.
02:06황금 사무라이 투구 선물 공세도 해봤고요.
02:09그리고 1조 달러, 즉 1,500조 원 가까이 투자 공세도 했습니다.
02:14아첨 외교라고 불렸었는데 정작 돌려받은 것이 무엇이냐면 다른 나라와 큰 차이 없는 15% 관세였는데요.
02:22합의 후에도 안심할 수 없었습니다.
02:24최대 15%란 관세 상한 특례가 미국 관보에는 빠지면서 관방장관이 또 미국에 가기도 했죠.
02:31이시바 총리가 그동안 느꼈던 점들을 얘기했고 이 대통령 또한 질문도 하면서 토론을 했다고 합니다.
02:37이시바 총리와 같은 시행착오는 없다는 게 대통령실 측 의지입니다.
02:42어떻게 보면 일본에 먼저 간 이유가 있었던 거군요.
02:46네, 그렇죠. 그런데 다른 이유도 좀 있습니다.
02:49반일정부라는 이미지를 지우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미일 협력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려는 의도가 있었다는 것이죠.
02:56또 중국의 언급은 최소화하면서 미국 측이 우려하는 친중 이미지도 불식하겠다는 전략입니다.
03:03총력전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렇게 준비 철저히 하고 있는데 24시간 후에는 결판이 나는 거죠?
03:10네, 24시간 후면요. 앞선 정상들이 회담했던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이 대통령도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예상되죠.
03:20제일 중요한 목표는 추가 출혈 막기입니다.
03:24지금까지 논의되지 않았던 방위비 분담금 최소화부터 소고기와 농산물을 추가 개방을 하지 않는다는 확답도 받아야 하고요.
03:31또 직접적 투자보다는 우리 기업도 손해보지 않는 윈윈하는 협력 사업을 이끌어내야 합니다.
03:38결코 간단하지 않은 숙제죠.
03:40그야말로 이재명의 실용외교가 시험대에 선 겁니다.
03:43네, 잘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