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뉴욕 증시 주요 지수는 미국과 캐나다의 무역 협상 재개에 따른 안도감이 확산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하지만 경제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미국 내 물가가 8~9월에 오르고, 무역 보복이 확산할 경우 실질 GDP가 최대 1.3%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뉴욕에서 이승윤 특파원입니다.

[기자]
뉴욕 증시에서 대형주 중심의 S&P 500 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의 무역 협상 재개를 계기로 시장에서는 전반적인 무역 협상에 대한 낙관론이 다시 힘을 얻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행 뉴욕 사무소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영향이 하반기에 두드러지면서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노진영 / 한국은행 뉴욕 사무소 차장 : 관세 인상의 영향이 뭐 한 2개월에서 4개월 트럼프 1기 때 그렇게 나타났던 걸 본다면 8월 9월 뭐 이제 그쯤에 나타나지 않을까….]

또 중국과 유럽연합 등이 보복에 나선다면 미국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노진영 / 한국은행 뉴욕 사무소 차장 : 미국의 평균 관세가 25% 인상된다면 각국의 보복 관세가 진행되면서 미국은 실질 GDP가 1.3%p 감소하는 걸로….]

이런 가운데 트럼프는 국가별 기준 금리 순위표를 제시하며 자필 메시지로 "연준은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쓰면서 또 금리 인하를 압박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월가의 주요 투자 은행 10곳 중 7곳은 올해 기준 금리 인하가 한 차례 이내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연내 2차례를 예상한 연준 자체 전망보다 금리 인하 횟수가 적을 것으로 본 건데 관세 때문에 인플레이션 둔화가 더딜 것으로 예상한 겁니다.

투자 은행들은 내년도 기준 금리 인하는 3∼4회에 그치고 최종 금리는 3% 중반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국은행 뉴욕 사무소는 기업 투자는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높은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업들의 투자 계획이 연기되면서 하반기에는 마이너스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701060852388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일단 뉴욕 증시에는 무역협상에 대한 낙관론이 퍼져나가는 분위기입니다.
00:05S&P500과 나스닥이 사상 최고치 기록을 또 한 번 새로 썼습니다.
00:10하지만 트럼프 관세의 충격이 아직 본격화한 건 아니라는 경고도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00:16뉴욕에서 이승윤 특파원입니다.
00:18뉴욕 증시에서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00:31미국과 캐나다의 무역협상 재개를 계기로 시장에서는 전반적인 무역협상에 대한 낙관론이 다시 힘을 얻었습니다.
00:39하지만 한국은행 뉴욕 사무소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의 영향이 하반기에 두드러지면서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01:01또 중국과 유럽연합 등이 보복에 나선다면 미국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01:09미국의 평균 관세가 25% 인상된다면 각국의 보복 관세가 진행이 되면서 미국은 실질 GDP가 1.3%포인트 감소하는 거로...
01:17이런 가운데 트럼프는 국가별 기준금리 순위표를 제시하며 자필 메시지로 연준은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쓰면서 또 금리 인하를 압박했습니다.
01:28하지만 미국 월가의 주요 투자은행 10곳 중 7곳은 올해 기준금리 인하가 한 차례 이내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01:37연내 두 차례를 예상한 연준 자체 전망보다 금리 인하 횟수가 적을 것으로 본 건데 관세 때문에 인플레이션 둔화가 더딜 것으로 예상한 겁니다.
01:49투자은행들은 내년도 기준금리 인하는 서너 차례에 그치고 최종금리는 3% 중반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01:58한국은행 뉴욕 사무소는 기업 투자는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높은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업들의 투자 계획이 연기되면서 하반기에는 마이너스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02:12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02:14자세히 보자
02:16tells of
02:20이승윤
02:22이승윤
02:24com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