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3시간 전


업비트, 445억 규모 자산 해킹 발생
업비트, 6년 전과 같은 날… 또 해킹당해
북한 정찰총국 산하 해킹조직 '라자루스' 유력 지목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국내 최대 가상 자산 거래소에서 또 큰 사고가 났습니다.
00:04엇비트죠.
00:06약 445억 원 규모의 해킹 사고가 발생한 건데요.
00:11우연일까요?
00:12그래서 들여다봤습니다.
00:13그랬더니요.
00:15지금으로부터 딱 6년 전 같은 날짜.
00:2011월 27일입니다.
00:22그러니까 6년 전, 2019년 11월 27일에 똑같이 580억 원 규모의 해킹 사고가 있었습니다.
00:31주체는 북한이었습니다.
00:34그러니까 굉장히 합리적으로 의심해 볼 만해요.
00:38똑같은 날짜에.
00:406년 만에 거의 비슷한 규모의 해킹 사고가 또 났습니다.
00:44북한 소행으로 많이들 지금 의심을 하고 있어요.
00:48지금 당국 조사도 시작이 됐고
00:53지금 보안업계라든지 관련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종합해보면
00:57말씀하신 대로 북한 정찰총국 산하 해킹 조직이죠.
01:00라자루스의 소행일 가능성이 유력해 보입니다.
01:05해킹 집단의 특성 중 하나가 과시옥이에요.
01:08그렇죠.
01:09예를 들어서 자신의 해킹이 성공했다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
01:12일부러 흔적을 남기거나 소행 후에 또는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하죠.
01:18아니면 자신의 소행임을 알 수 있도록 일종의 시그널 같은 걸 주는 거죠.
01:22그런 게 이제 날짜일 수 있죠.
01:246년 전의 날짜와 지금 날짜가 똑같다라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고 보는 게 아주.
01:31저희들 그거 기억해 6년 전 우리가 했던 거 이런 암시일 수도 있는 거죠.
01:36네. 그렇습니다.
01:37그리고 이제 실제 해킹의 지금 경위나 방식 같은 것들을 보면
01:41지금까지 확인된 것만 보면 과거의 방식과 패턴이 비슷해요.
01:45예를 들면 인터넷과 연결된 개인지갑 핫월렛에서 발생했다라는 부분
01:51이런 부분들 똑같고요.
01:53관리자 계정을 탈취했거나 혹은 관리자인 척해서 자금 이체를 하는
01:58이런 방식들이 과거의 소행과 비슷하다고 보기 때문에
02:01그래서 지금 라자루스 소행일 것이다 이렇게 보고 있는 겁니다.
02:06알겠습니다.
02:06감사합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