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방송인 이경실이 고가의 달걀 논란과 관련해 직접 해명했습니다.

이경실은 19일 자신의 SNS를 통해 “논쟁은 가격에서 출발했지만 난각번호가 달걀 품질을 의미하는 건 아니다”라며 “우리가 기준으로 삼는 건 난각번호가 아니라 HU(호우유니트)라는 품질 지표”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논란은 자신이 모델로 참여한 달걀 브랜드 ‘우아란’이 ‘난각번호 4번’임에도 30구 기준 1만5000원대에 판매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서 “1번 달걀과 가격이 비슷하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난각번호 4번은 기존 밀집 케이지 사육 방식을 의미하며, 가장 낮은 사육환경 기준입니다.

이에 대해 이경실은 “우아란의 HU는 금일 기준 105.9HU로, 시중 1등급 기준인 72HU보다 약 47% 높은 수치”라며 신선도를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사육환경 표시는 1~4번이지만, 품질 등급은 +1·1·2·3등급으로 별도 분류된다. 소비자 입장에서 혼동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은 이해한다”고 말했습니다.

가격에 대한 지적에도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이경실은 “사육환경이 아닌 원료와 관리 방식에서 차이가 난다”며 “강황, 동충하초 등 고가 원료를 급여하고, 농장의 위생·질병 관리에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4번 농장이라도 품질 차이는 크게 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번 일을 계기로 소비자 기준과 생산자 기준이 얼마나 다르게 존재하는지 알게 됐다”며 “마음까지 헤아리지 못한 점 죄송하다”고 사과했습니다.

현재 브랜드는 이경실의 아들 손보승이 운영하는 온라인몰에서 판매 중이었으나, 논란 이후 사이트 접속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이경실은 과거 유튜브 콘텐츠에서 “가난한 시절 어머니가 언니에게만 달걀 프라이를 해주던 기억이 계기였다”며 달걀 사업을 시작하게 된 이유를 밝힌 바 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ㅣ최지혜


#지금이뉴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1119151357091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방송인 이경실이 고가의 달걀 논란과 관련해 직접 해명했습니다.
00:05이경실은 19일 자신의 SNS를 통해 논쟁은 가격에서 출발했지만 난각번호가 달걀 품질을 의미하는 건 아니다라며 우리가 기준으로 삼는 건 난각번호가 아니라 호우유니트라는 품질 지표라고 밝혔습니다.
00:20이번 논란은 자신이 모델로 참여한 달걀 브랜드 우아란이 난각번호 4번임에도 39기준 15,000원대에 판매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서 1번 달걀과 가격이 비슷하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00:37난각번호 4번은 기존 밀집 케이지 사육 방식을 의미하며 가장 낮은 사육 환경 기준입니다.
00:43이에 대해 이경실은 우아란의 호우유니트는 금일 기준 105.9호유니트로 시중 1등급 기준인 72호유니트보다 약 47% 높은 수치라며 신선도를 강조했습니다.
00:59그러면서 사육 환경 표시는 1에서 4번이지만 품질 등급은 1플러스, 1, 2, 3등급으로 별도 분류된다. 소비자 입장에서 혼동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은 이해한다고 말했습니다.
01:11가격에 대한 지적에도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01:14이경실은 사육 환경이 아닌 원료와 관리 방식에서 차이가 난다며 강황, 동충화초 등 고가 원료를 급여하고 농장의 위생 질병 관리에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01:264번 농장이라도 품질 차이는 크게 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01:30그는 이번 일을 계기로 소비자 기준과 생산자 기준이 얼마나 다르게 존재하는지 알게 됐다며 마음까지 헤아리지 못한 점 죄송하다고 사과했습니다.
01:39현재 브랜드는 이경실의 아들 손보승이 운영하는 온라인몰에서 판매 중이었으나 논란 이후 사이트 접속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01:48이경실은 과거 유튜브 콘텐츠에서 가난한 시절 어머니가 언니에게만 달걀 프라이를 해주던 기억이 계기였다며 달걀 사업을 시작하게 된 이유를 밝힌 바 있습니다.
01:58감사합니다.
01:59감사합니다.
02:00감사합니다.
02:01감사합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