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조진혁 앵커
■ 출연 : 김희준 변호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UP]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그런데 이번에 발견된 마약류를 보면 케타민입니다. 이게 어떤 물질입니까?

◇ 김희준>케타민은 원래 동물용 마취제인데요. 요즘은 성폭력의 도구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명 클럽마약이라고 하죠. 그래서 몇 년 전에 있었던 버닝썬 사건에서도 케타민이 많이 악용됐습니다. 물뽕과 함께 케타민이 소위 말하는 데이트 강간 마약으로 분류되는데 의식을 흐리게 하고 저항력을 약화시키고 그다음에 사건 내용에 대해서 잘 기억을 못하기 때문에 주로 성폭력의 도구로 술이라든가 음료 같은 데 몰래 타서 먹이는 그런 마약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요즘에 케타민을 이용한 범죄가 많이 늘어나고 있어서 굉장히 걱정스러운 상황이죠.

◆ 앵커>케타민 조금 전에 클럽마약으로 불린다, 그리고 성범죄에 악용되고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일반인들은 보통 이렇게 어떻게 접하게 됩니까?

◇ 김희준>요즘은 마약의 유통경로가 워낙 다양해요. 요즘 같은 경우에는 마약사범들끼리 직접 만나서 거래하는 대면거래 방식이었는데 요즘은 SNS라든가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경로로 마약을 입수할 수 있습니다. 특히 텔레그램 같은 SNS를 통해서 많이 유통되고 있고요. 요즘은 주문하면 던지기 수법으로 해서 거의 빠르면 30분 이내에 마약을 받아볼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굉장히 위험한 상황으로 가고 있고. 그러다 보니까 우리나라 마약사범이 급증하고 있는 그런 추세에 있습니다.

◆ 앵커>마음만 먹으면 마약을 접하는 게 어렵지 않은 상황이다라는 말씀이신데 그렇다면 마약이 애초에 어떻게 들어오게 되는 겁니까?

◇ 김희준>우리나라에서만 마약을 제조까지는 하지 않고요. 예전에 80년대, 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가 마약 제조국으로서 역할을 했었는데 지금은 다 해외에서 유입되고 있는 상황이고 불과 2~3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주로 동남아산이나 중국에서 많이 마약들이 유입됐는데 최근에 걱정스러운 것은 유럽에서까지도 케타민 같은 신종 마약들이 유입되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입니다.


제작 : 윤현경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1119134518400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이번에 발견된 그 마약류를 보면 케타민입니다 이게 어떤 물질입니까 케타민은 원래 동물용 마취제인데요 요즘은 성폭력의 도구 등으로 많이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명 클럽 마약이라고 그러죠 그래서 우리가 몇 년 전에 있었던 버닝썬 사건에서도 케타민이 많이 악용이 됐습니다 GHB라는 물봉과 함께 케타민이 소위 말하는 데이트 간간 마약으로 분류가 되는데 의식을 흐르게 하고 저항력을 약화시키고 그다음에 사건 내용에 대해서 잘 기억을 못하기 때문에
00:29주로 성폭력의 도구로 술이라든가 음료 같은데 몰래 타서 먹이는 그런 마약으로 많이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요즘은 이런 케타민을 이용한 범죄가 많이 늘어나고 있어서 굉장히 걱정스러운 상황이죠 케타민 조금 전에 클럽 마약으로 불린다 그리고 성범죄에 악용되고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일반인들은 보통 이런 걸 어떻게 접하게 됩니까 요즘은 마약의 유통 경로가 워낙 다양해요
00:54예전 같은 경우에는 직접 만나서 마약 사범들끼리 직접 만나서 거래하는 대면 거래 방식이었는데 요즘은 SNS라든가 인터넷이 발달을 하면서 다양한 경로로 마약을 입사할 수가 있습니다
01:06특히 텔레그램 같은 그런 SNS를 통해서 많이 유통이 되고 있고요 요즘은 주문하면 던지기 수법으로 해서 거의 빠르면 30분 이내에 마약을 받아볼 수 있는 그런 상황이기 때문에
01:18굉장히 위험한 상황으로 가고 있고 그러다 보니까 우리나라 마약 사범이 급증하고 있는 그런 추세에 있습니다
01:24마음만 먹으면 마약을 접하는 게 어렵지 않은 상황이다라는 말씀이신데 그렇다면 그 마약이 애초에 어떻게 들어오게 되는 겁니까?
01:34우리나라에서 마약을 제조까지는 하지는 않고요
01:37예전에는 80년대나 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가 마약 제조국으로서 역할을 했었는데
01:42지금은 다 해외에서 유입이 되고 있는 상황이고 불과 2, 3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주로 동남아산이나 중국에서 많이 마약들이 유입이 됐는데
01:52최근에 걱정스러운 것은 유럽에서까지도 케타민 같은 신종 마약들이 유입이 되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입니다
02:00
02:00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