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윤재희 앵커
■ 출연 :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UP]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다카이치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 후에 중일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인데 현재 어느 정도의 상황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 박원곤>2017년에 사드 때 상황을 생각하게 만드는 그런 상황이고요. 굉장히 거친 언사들이 오고 가고 있고 거친 언사가 단순히 거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고 있어서 이미 중국의 일본을 가는 관광객들이 취소를 하기 시작했고 이것은 중국이라는 국가의 특성을 보면 중국 정부가 개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고요. 그렇다면 그다음에는 일본산 물건을 사지 않는 일종의 계속해서 일본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보이면서 반일감정을 계속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이 걱정되는 것이 한국도 이 가능성을 앞으로 우리가 볼 수 있거든요. 왜냐하면 대만해협 위기라는 것은 미국이 가장 중시하는 겁니다. 얼마 전에 미 해군참모총장이 한국에 와서도 똑같은 얘기를 했거든요. 우리가 원자력추진잠수함을 만드는 이유 자체가 사실은 한국과 해군이 연안 해군에서 대항으로 가는 것이고, 그것은 중국 견제에 한국이 일정 수준 동참할 수 있는 가능성을, 딱 그렇게 명시적으로 얘기하지는 않았습니다마는 결국 중국 견제에 필요한 것이다라고 얘기했고. 그리고 미국이 현재 가장 중시하는 것은 중국을 가장 중요한 위협으로 보고 있고 거기에 대만해협 위기도 있다. 대만해협의 위기가 발생했을 때 1차적으로 가장 우선적 동맹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 일본이 먼저입니다. 일본이 훨씬 가깝기 때문에 일본이 우선이지만 한국도 주한미군도 역시 거기에 대해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번에 팩트시트 같은 경우도 대만해협 얘기가 나오지 않습니까? 대만해협의 안전과 평화를 원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다카이치 수상은 나간 얘기를 시작했습니다마는 한국도 여기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이것은 항상 미중 간의 갈등 사이에 한국과 미국에 부과된 부담으로 볼 수 있는 것이죠.

◆ 앵커>이 부분도 여쭤보죠. 중국 정부가 일본의 독도주권 주장에 대해서 비판을 살짝 했더라고요. 그동안 중국은 독도 이슈에 대해서는 말을 잘 안 하지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1119112356582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다카이치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 이후에 지금 중일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인데
00:06현재 어느 정도의 상황인지 좀 여쭤봐도 될까요?
00:102017년에 우리 사드의 때의 상황을 꼭 생각하게 만드는 그런 상황이고요.
00:16굉장히 거친 언사들이 오고 가고 있고 거친 언사가 단순히 거기에 미치는 것이 아니라
00:22실질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고 있어서
00:24이미 중국의 일본 관광객, 일본을 가는 관광객들이 취소를 하기 시작했고
00:30이것은 어떤 수준 중국이란 국가의 특성을 보면 중국 정부가 개입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고요.
00:36그렇다면 그 다음에는 일본산 물건을 사지 않는 그런 일종의 계속해서 일본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보이면서
00:46반일 감정을 계속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
00:49그런데 이것이 걱정이 되는 것이 한국도 사실은 이 가능성을 앞으로 우리가 좀 볼 수가 있거든요.
00:55왜냐하면 대만 해업 위기라는 것은 미국이 가장 중시한 것입니다.
01:00얼마 전에 커틀 해군 참모총장이 한국에 와서도 똑같은 얘기를 했거든요.
01:05우리가 원자력 추진 잠수함을 만드는 것 이유 자체가
01:08사실은 한국 해군이 연안 해군에서 대항으로 가는 것이고
01:12그것은 중국 견제에 한국의 일정 수준 동참할 수 있는 가능성을 딱 그렇게 명시적으로 얘기하지는 않았습니다만
01:19결국 중국 견제에 필요한 것이다라고 얘기를 했고
01:22그리고 미국이 현재 가장 중시하는 것은 중국을 가장 중요한 위협으로 보고 있고
01:28거기에 대만 해업 위기도 있다.
01:29그런데 대만 해업의 위기에 발생했을 때
01:321차적으로 가장 우선적 동맹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 일본이 먼저입니다.
01:37일본이 훨씬 가깝기 때문에
01:39칠함대도 거기에 있기 때문에 일본이 우선이지만
01:41한국도 주한미군도 역시 거기에 대해서는 자유로울 수 없다.
01:45그래서 이번에 팩트시트 같은 경우에도 보면 대만 해업 얘기가 나오지 않습니까?
01:50대만 해업의 안전과 평화를 원한다.
01:52그렇기 때문에 현재 다케이치 수상은 좀 굉장히 나간 얘기를 시작을 하긴 했습니다만
01:58한국도 여기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02:00이것은 항상 한국 또 미국 미중 간의 갈등 사이에
02:05한국과 일본에게 부과된 부담으로 볼 수 있는 것이죠.
02:09이 부분도 잠깐 여쭤보죠.
02:11중국 정부가 일본의 독도 주권 주장에 대해서 비판을 살짝 했더라고요.
02:17그동안 사실 중국은 독도 이슈에 대해서는 말을 잘 안 해오지 않았습니까?
02:21이건 어떤 일들을 봐야 될까요?
02:22조심스럽습니다.
02:23왜냐하면 나온 맥락이 현재 중일 간의 관계가 안 좋았고
02:27중일 간에도 이것이 다오이다이와 센카쿠에서 영토 분쟁이 있지 않습니까?
02:31물론 중국이 독도라는 표현을 쓰지는 않았지만 방금 앞에 지금 나오는 것처럼
02:36일본의 많은 악성 언행이 주변 국가, 결국 한국을 얘기한다.
02:41그러니까 현재 중국과 일본 사이에 갈등이 있으니까 거기에 한국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02:45독도 문제를 얘기하는 그런 부분이 있습니다.
02:48그렇기 때문에 우리도 좀 조심스럽게 당연히 독도 문제는 우리한테 굉장히 민감한 문제고
02:53이 문제가 불거지면 한일 관계는 당연히 안 좋아질 수밖에 없고
02:56그러면 또 중국의 입장에서는 한국을 자신들의 편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03:02그런 의도를 알고 저희가 신중하게 대처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03:06네, 알겠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