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UP]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발견된 마약에 대해 수사당국은 한 달 넘게 뚜렷한 단서는 확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번 제주 마약 사건,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마약 수사 전문 김희준 변호사와 짚어봅니다. 어서 오십시오. 50일새 15번이나 발견됐다고 합니다. 그런데 마약류의 포장지도 같고 성분도 케타민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게 동일 사건이라고 봐야 할까요?
[김희준] 제가 보기에는 동일한 마약조직에 의해서 흘러들어온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 이후는 우롱차 봉지를 이용했고요. 또 마약 성분도 케타민으로 일치하고 있고 그리고 발견된 시점도 보면 9월부터 현재까지 집중되고 있거든요. 발견되는 지역도 제주도 해안가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물론 포항이라든지 대마도에서 발견되고 있기는 하지만요. 이런 것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면 동일한 출처에서 나온 마약으로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마약 운반선 같은 것이 있다가 거기에서 쏟아져나온 마약류가 표류를 하다가 제주도에 떨어졌다, 이렇게 추측되는 겁니까?
[김희준] 그랬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 보입니다. 마약 운반선이 단속을 피하기 위해서 일부러 바다에 마약을 던져서 표류가 됐을 수도 있고요. 아니면 어떤 사고를 당해서 유실이 됐을 가능성도 있고요. 같은 출처에서 나온 마약이 제주도 해안가, 포항, 대마도 쪽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요. 같은 해류선상에 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발견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혹시 다른 마약조직들이 흔히 던지기라는 수법을 쓰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어떤 특정 장소에 놓고 다른 사람이 가져가는 건데. 그럴 가능성도 있을까요?
[김희준] 만약에 고의적으로 제주를 통해서 마약을 유통시키려고 했다고 본다면 그걸 회수하려는 시도가 있어야 되거든요. 그런데 회수하려는 시도가 전혀 없었던 걸로 봐서는 제주도를 마약 장소로 활용하려는 의도는 아직까지는 낮아 보입니다.
말씀을 종합해 보면 마약조직이 마약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났을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인데.
[김희준] 사고가 났거나 아니면 단속을 피하기 위해서 일부...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1119084811900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