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일 전


한미 관세 협상, APEC에서 해법 찾을까?
트럼프, 미·중 회담 취소 땐 APEC 일정 변화 가능성
트럼프, 1박 2일 방한 땐 한미 '약식 회동' 그칠 듯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이 시각 세계였습니다.
00:30이 시각 세계였습니다.
01:00우리 정부의 이런 계획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01:04잠잠하던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이 점점 더 격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01:10그 불똥이 우리에게 지금 튀기 시작한 겁니다.
01:12그러니까 트럼프 대통령이 에이펙에 와서 중국 시진핑 주석을 만날 경우에는
01:19당연히 자연스럽게 우리 대통령도 또 만나게 연이어서 만나게 되면서
01:24정상들이 좀 이렇게 얘기를 하고 우리 입장에서는 관세 협상도 여기서 조금 진척을 할까 했었는데
01:30지금 중국과 미국이 에이펙 때 만날 계획 자체가 아예 지금 공개가 안 되고 있다고요.
01:37네 굉장히 불확실성이 커졌죠.
01:39이게 이제 우리 주말 사이에 터졌던 중국의 히토리 수출 통제로 인해서
01:43여기에 이제 반발을 한 트럼프 대통령이 100%의 보복 관세를 예고를 했고
01:49이어서 이런 상황이면 내가 시진핑 주석을 경주 에이펙 정상회의 때 만날 이유를 모르겠다.
01:55이렇게 얘기를 하면서 이제 이 사건이 커지기 시작한 거죠.
01:58말씀하신 대로 원래 계획은 이렇습니다.
02:00트럼프 대통령은 29일 오전에 김해 국제공항을 통해서 한국을 방문한 뒤에
02:05곧바로 이제 경주에서 한미 정상회담, 미중 정상회담을 소화한 뒤에
02:09이튿날 출국을 하는데 그 사이에 또 우리가 계획을 했던 거는 조선소를
02:14그렇죠.
02:14방문하게끔 하는 그 일정을 미국 측과 이제 조율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죠.
02:20그런데 그런 게 지금 이 주말 사이에 터진 미중 간 무역 갈등이 재점화되는
02:24이 상황으로 인해서 지금 다 어떻게 될지 갑자기 불확실해져 버린 거죠.
02:28만약에 미중 간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는다는 최악의 상황을 우리가 가정을 해야 된다면
02:351박 2일 일정이라고는 하지만 사실 당일 측이나 더 짧아진 1박 2일 일정
02:401박 2일 일정만을 소화하고 그냥 트럼프 대통령은 가버릴 수도 있고
02:44이렇게 되면 시진핑 주석도 오는 한국으로 들어오는 일정을 더 늦출 수도 있는 거죠.
02:49그렇죠.
02:50그러면 한미 정상회담뿐만 아니라 미중 정상회담까지도 전반적인 스케줄이다.
02:55변동이 돼야 되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미중 정상회담이 APEC 정상회의 기간에 열린다는 것
03:01자체가 APEC 정상회의에 대한 중요성.
03:04그렇죠.
03:04격이 높아지잖아요.
03:05세계가 집중하게 되는 APEC 정상회의로 격상이 되는 건데 지금 이 시나리오가 깨질 위기에 있는 겁니다.
03:11아하 그야말로 중국과 미국의 싸움에 우리 새우등만 터지는 격이 되는 것 같습니다.
03:18근데 이게요 관세 협상에 대한 계획 차질로만 끝나는 게 아닌 것 같습니다.
03:23일단 미국과 중국의 무역 확전 우려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이요 믿을만한지 모르겠습니다만
03:30일단 중국을 향해서 유화 제스처를 내놓긴 했습니다.
03:33이 시각 세계였습니다.
04:03아까 말씀 들으신 것처럼 미국과 중국이 저렇게 갑자기 또
04:15틀어진 이유가 광물 때문이죠.
04:19특히 이 히토리오입니다.
04:20반도체를 생산하는데 필수적인 이 광물인데 중국이 이 히토리오 수출을 통제하겠다라고 하자
04:27트럼프 대통령이 곧장 이제 토라진 거죠.
04:31그러면서 곧바로 관세 보복을 예고하면서 일촉즉발의 상황이 된 겁니다.
04:36그런데 또다시 여기 우리가 또 연루가 됩니다.
04:40미국과 중국이 서로 저렇게 눈치를 보고 메시지 보내고 있는데
04:46저 히토리오가 일단 수출 중지가 돼버리면 미국만 그런 게 아니잖아요.
04:52중국에서 아예 수출 자체를 안 하겠다는 건데
04:55그 파장이 우리한테 비쳐요.
04:58지금 우리는 반도체 시장 산업이 겨우겨우 이제 조금 살아나나 했었는데
05:04히토리오가 없으면 반도체 시장 또 확 꼬꾸라진다면서요.
05:07네.
05:08그러니까 다시 한 번 히토리오를 중국이 노골적으로 무기화하려는
05:12그 추세가 이번에 다시 한 번 확인이 됐죠.
05:17몇 차례 우리가 히토리와 관련돼서 수출 통제 때문에 위기를 겪었지만
05:21더 뼈아픈 건 사실상 대안이 없어요.
05:24그렇죠.
05:24히토리를 뭐 딴 데서 가져올 때가 마땅치가 않다면서요.
05:27네.
05:27뭐 광산이 있다고 하더라도 정지하는 기술이라든지
05:30이런 것들이 중국이 지금 가장 높은 기술력을 갖고 있고
05:33그래서 지금 중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히토리를 거의 80, 90% 이렇게 공급을 하고 있는 상황인 거죠.
05:40우리도 마찬가지죠.
05:41반도체를 비롯해서 전기차, 무기에 이르기까지 각종 첨단 산업에 히토리가 다 들어갑니다.
05:46그리고 우리가 이 히토리를 쓰기 위해서 거의 중국산을 60에서 최대 80%까지
05:51현재들 사용하고 있고요.
05:54물론 우리가 몇 차례 위기를 겪으면서 공공 비축량들을 많이 비축해 놓은 건 있습니다.
06:00지금도 반년치 이상은 비축해 놓고 있다고 하는데
06:03미중 간 갈등이 장기화되면 어떡할 거냐라는 거죠.
06:06현재로서는 대체할 항목 없어요.
06:09그러니까 그대로 얻어맞을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거고 걱정하는 건 이거죠.
06:15이게 미국을 향한 통제 정책뿐만 아니라 최근에 중국 상무부가 이런 이야기를 했거든요.
06:21한국을 비롯해서 제 상국 기업들에게 중국산 히토리를 활용한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하지 말라.
06:27수출하지 않는다라는 거를 약속 서면으로 요구를 하기도 했어요.
06:34그러니까 미국 편에는 어떤 식으로도 쓰지 말고 우리하고만 놀아 이런 식인 거잖아요.
06:39지금은 품목이 무기 같은 이렇게 좀 민감한 품목들이지만
06:42마음먹기에 따라서 다 확대될 수도 있는 거거든요.
06:45그러니까 우리는 사실상 미중 패권 경쟁 상황에서 히토루를 가지고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
06:52이런 상황이 모여 있습니다.
06:54정말 풀어야 될 과제가 많습니다.
06:57두 강대국 사이에 끼어서 우리가 정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인데요.
07:03그런 상황이 또 있죠.
07:05저렇게 중국과 미국이 경제 전쟁을 벌이면서
07:09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이 유화적 메시지를 보내면서도 또
07:14전 세계 금융시장을 흔들고 있죠.
07:19우리 증시는요.
07:20오늘 월요일입니다만 일단 블랙 먼데이는 면했습니다.
07:25오늘 굉장히 가슴 떨리는 사람들 많았거든요.
07:28환율이 치솟고 증시는 폭락하고 그렇게 될 걸로 예상을 했어요.
07:34오늘 그런데 생각보다는 조금 덜 떨어졌습니다.
07:37증시 오늘 아침에 상황 어땠습니까?
07:39말씀하신 대로 블랙 먼데이 수준의 큰 낙폭은 아니었어요.
07:44왜냐하면 우리가 걱정했던 건 예를 들어서 미국 뉴욕 증시의 나스닥의 낙폭이 3.5%를 훌쩍 넘어왔거든요.
07:51우리도 그 정도의 충격을 받을 거라는 걱정을 하고 있었죠.
07:54그런데 지금 현재 코스피는 1%대 정도의 약세.
07:57그리고 코스닥은 0.49% 약세를 기록을 하고 있습니다.
08:02걱정했던 것보다는 덜 합니다.
08:05이건 이제 트럼프 대통령이 곧바로 또 아까 우리 봤지만 유화적인 메시지를 내놓은 것도 영향을 미쳤고요.
08:10사실 몇 차례 미중 간 협상의 갈등 국면에서 이 정도의 패턴을 갖고 있다는 학습 효과도 우리가 있단 말이죠.
08:19걱정은 환율입니다.
08:20지금 환율이 주간 거래에서 1,430원 넘어섰거든요.
08:24이런 식으로 원화 약세 압박이 계속해서 가해진다면 외국인들도 결국 매수를 걷어들이고 떠날 수 있습니다.
08:32생각하기도 싫네요.
08:35트럼프 때문에 정말 고민입니다.
08:37전 세계가.
08:38전 세계가.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