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3주 전


전국 1인당 식대 중간가격 6만 원 (8월 기준)
서울 강남 3구 8만 8천 원… 전국 최고 수준
대관료·식대 오르며 예식 준비 비용 3개월째 상승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장바구니 물가처럼 오른 게 또 있습니다. 바로 결혼식 축의금인데요.
00:07가을철 결혼 시즌이라고 하죠. 이 결혼 시즌을 앞두고 축의금 얼마 낼지 고민에 휩싸인 시민들 많다고 합니다.
00:16목소리 먼저 들어보시죠.
00:30요즘에는 5만 원은 거의 안 하죠. 온라인 입금하면 보통 요즘에 10만 원 정도 하고요.
00:38축의금 여러분은 얼마 하십니까? 많은 분들이 축의금 기준을 가지고도 얘기를 많이 하거든요.
00:45그런데 축의금 5만 원 얘기는 정말 옛날 얘기라고 합니다.
00:515만 원보다 축의금은 원래 값이 정해져 있지 않은데 축의금이 올랐다 그래서 아마 시청자 여러분께서 좀 이상하다고 생각을 하셨을 텐데
00:59식사값, 결혼식장 식사값이 오르다 보니까 6만 원을 넘었다는 거예요.
01:06식사값이 1인당. 그러다 보니까 하객으로 갔을 때 식사값보다도 못한 5만 원을 내는 건 이제
01:13결례?
01:14그렇죠. 결례 내줄 무의가 아니냐.
01:17저도 비싼 결혼식장은 굉장히 비싼 밥은 그냥 돈만 보내는 경우가 저도 있거든요.
01:24요즘에 결혼하려는 성인 남녀들이 많아졌다는 소식도 들으셨는지 모르겠는데
01:33많이 요즘에 결혼하려고 하시거든요.
01:35그런데 결혼식 많아진 건 너무 좋은 일인데
01:38결혼식 축의금 부담 때문에
01:41실질적으로 되게 애를 먹는 경우가 많이 있더라고요.
01:46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그냥 안 가고 5만 원 하겠다 이러시는 분들도 있고요.
01:54그만큼 참 축의금 부담이 커지는 시대 같습니다.
01:56그런데 결혼식을 준비하시는 분들 입장에서도 식대 자체가 이렇게 올라버리고
02:02식대뿐만 아니라 결혼식을 각종 준비하는 비용들
02:05우리 화장 안에 스드메라고 하지 않습니까?
02:10그다음에 결혼식장 대관비용들
02:12이런 게 전반적으로 다 너무나 많이 올라버려서요.
02:16사실 이런 말씀드리기는 뭐하지만
02:18축의금을 너무 적게 받으면
02:21사실 결혼식 준비하시는 입장에서도 비용 부담이 너무 큰데
02:23그렇죠.
02:24사실이에요.
02:29친한 친구냐 아니냐
02:311년에 몇 번 이상 보는 친구냐 아니냐
02:34이런 거에 따라서 축의금이 달라지기도 하는데
02:37일단은 그 기준 자체가 높아졌습니다.
02:40그렇죠?
02:41그렇다고 해서 저희가 5만 원인데
02:4310대 6만 원인데 6만 원 축의금을 할 수는 없잖아요.
02:45그건 또 아니잖아요.
02:46단위가 올라가는 단위가 있잖아요.
02:485, 10, 20이에요.
02:50또 15는 또 안 늦더라고요.
02:515, 10, 20 이렇게 올라가더라고요.
02:55알겠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