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일 전


[앵커]
소백산국립공원에서 여우가 새끼 고라니를 사냥하는 모습이 최초로 공개됐습니다.

이 장면이 특별한 이유가 있는데요.

그동안 우리나라는 서식지 파괴로 먹이사슬이 점점 무너져왔는는데, 그 먹이사슬이 점점 정상화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곽민경 기자가 보여드립니다.

[기자]
여우가 입에 먹이를 물고 어슬렁거립니다.

소백산에서 복원된 멸종위기 야생동물 여우가 새끼 고라니를 사냥해 숲으로 사라지는 모습입니다.

캄캄한 밤 멧토끼 한 마리가 주변을 두리번거립니다.

저 멀리 나타난 담비에 화들짝 놀라더니 부리나케 도망갑니다.

국립공원에서 멸종위기 동물들의 사냥 장면이 포착됐습니다.

다양한 종이 서식하며 균형 잡힌 먹이사슬을 형성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김혜리 /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 책임연구원]
"(여우가) 중간 포식자의 역할로서 피식, 포식 관계를 형성하면서 그렇게 자기의 역할을 하고 있고. 먹이 사슬이 다양하게 유지가 되면 결국엔 이게 건강한 생태계다."

수리부엉이가 고슴도치를 사냥하거나 삵이 다람쥐를 사냥하는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여우와 경쟁을 벌이던 너구리는 개구리를 잡아먹습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먹이사슬 단계별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멸종위기종을 복원하는 작업과 함께 서식지 보호활동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전국 국립공원에는 국내 멸종위기 야생생물 중 69%가 살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곽민경입니다.

영상편집: 방성재


곽민경 기자 minkyung@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소백산 국립공원에서 여우가 새끼 고라니를 사냥하는 모습이 최초로 공개됐습니다.
00:06이 장면이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다.
00:08그동안 우리나라는 서식지 파괴로 먹이 사슬이 무너져 왔는데 그 먹이 사슬이 정상화되고 있다는 신호거든요.
00:15광민경 기자입니다.
00:19여우가 입에 먹이를 물고 어슬렁거립니다.
00:22소백산에서 복원된 멸종위기 야생동물 여우가 새끼 고라니를 사냥해 숲으로 사라지는 모습입니다.
00:30캄캄한 밤, 메토끼 한 마리가 주변을 두리번거립니다.
00:35저멀리 나타난 담비에 화들짝 놀라더니 부리나케 도망갑니다.
00:40국립공원에서 멸종위기 동물들의 사냥 장면이 포착됐습니다.
00:45다양한 종이 서식하며 균형 잡힌 먹이 사슬을 형성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00:50중간 포식자의 역할로서 어떤 피식 포식 관계를 형성하면서 그렇게 자기 역할을 하고 있구나.
00:58먹이 사슬이 다양하게 유지가 되면 결국엔 이게 건강한 생태계다.
01:04수리부엉이가 고슴도치를 사냥하거나 살기 다람쥐를 사냥하는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01:10여우와 경쟁을 벌이던 너구리는 개구리를 잡아먹습니다.
01:16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먹이 사슬 단계별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멸종위기종을 복원하는 작업과 함께
01:23서식지 보호활동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01:27현재 전국 국립공원에는 국내 멸종위기 야생생물 중 69%가 살고 있습니다.
01:33채널A 뉴스 광민경입니다.
01:35채널A 뉴스 광민경입니다.
01:48다음 영상에서 만나요.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