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7주 전


[앵커]
미국과의 관세협상 막전막후 상황이 조금씩 밝혀지고 있습니다.

협상의 달인 트럼프 대통령을 어떻게 상대하느냐가 큰 과제였는데 미국 상무장관이 우리 협상단에게 두 단어 짜리 맞춤형 과외를 해준 걸로 확인됐습니다. 

워싱턴에서 최주현 특파원이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백악관 웨스트윙 캐비닛룸에서 우리 협상단을 향해 이야기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옆, 종이에 바쁘게 무엇인가를 적는 관료.

미국의 '통상 수장'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입니다.

협상 전 러트닉은 우리 협상단에 트럼프 '맞춤 대화법'을 조언했습니다.

트럼프를 만나기 전, 우리 협상단이 "한미 FTA로 이미 한국 시장이 99.7% 개방됐다"는 취지로 이야기하자 러트닉은 "절대 그렇게 이야기 하면 안된다"며 "일단 공감한다는 취지로 'Yes'를 말한 다음, 'but', 즉 그런데 라고 말을 이어가며 협상이 필요한 품목에 신중히 접근하라"고 조언한 겁니다.

쌀과 소고기 같은 민감 품목을 놓고 협상할 때 트럼프와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우리 정부에게 'Yes, but' 화법을 제안한 셈입니다.

러트닉은 협상 당일 트럼프에게 한미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 문구를 새긴 빨간 모자를 한국 협상단이 준비했다고 언급하며 칭찬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는 이번 협상 타결 직전 한화그룹의 필리 조선소에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 등을 보내 시찰하게 한 뒤 그 결과를 보고 받은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한편 트럼프는 한미정상회담 임박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즉답을 피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우리는 한국과 관계가 좋습니다."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

영상취재 : 정명환(VJ)
영상편집 : 구혜정


최주현 기자 choigo@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미국과의 관세 협상, 막전 막후 상황이 조금씩 밝혀지고 있습니다.
00:04협상의 달인 트럼프 대통령을 어떻게 상대하느냐가 큰 과제였는데
00:08미국 상무장관이 우리 협상단에게 두 단어짜리 맞춤형 과외를 해준 걸로 확인됐습니다.
00:15워싱턴에서 최주현 특파원이 단독 보도합니다.
00:21백악관 웨스팅 캐비닛 룸에서 우리 협상단을 향해 이야기하는
00:25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옆 종이에 바쁘게 무엇인가를 적는 관료
00:30미국의 통상수장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입니다.
00:35협상 전 러트닉은 우리 협상단의 트럼프 맞춤 대화법을 조언했습니다.
00:40트럼프를 만나기 전 우리 협상단이 한미 FTA로
00:43이미 한국 시장이 99.7% 개방됐다는 취지로 이야기하자
00:48러트닉은 절대 그렇게 이야기하면 안 된다며
00:51일단 공감한다는 취지로 예스를 말한 다음
00:54but, 즉 그런데 라고 말을 이어가며
00:58협상이 필요한 품목에 신중히 접근하라고 조언한 겁니다.
01:03쌀과 소고기 같은 민간 품목을 놓고 협상할 때
01:06트럼프와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01:08우리 정부에게 예스버 답법을 제안한 셈입니다.
01:12러트닉은 협상 당일 트럼프에게
01:14한미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
01:16마스가 문구를 새긴 빨간 모자를
01:19한국 협상단이 준비했다고 언급하며
01:21칭찬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01:24이런 가운데 트럼프는 이번 협상 타결 직전
01:27하나그룹의 필리조 선소에
01:29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 등을 보내
01:32시찰하게 한 뒤
01:33그 결과를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01:37한편 트럼프는 한미 정상회담
01:39임박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01:41즉답을 피했습니다.
01:46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연입니다.
01:54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연입니다.
01:58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연입니다.
02:02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연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