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트럼프, SNS에 향수 홍보…"승리 담은 향수 출시"
여성용·남성용 따로…가격은 약 33만 원
백악관 "이해충돌 없다"지만 논란 여전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오늘의 핫피플 3인방 첫 번째 주인공은 누굴까요?
00:05트럼프 대통령입니다.
00:07트럼프 대통령이 갑자기 향수 홍보에 나섰습니다.
00:12트럼프 일가가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알뜰폰 판매에 나섰다는 소식도 전해드렸는데
00:17이번에는 향수입니다.
00:20Perfume.
00:22향수가 출시되었다.
00:24빅토리 45-47 승리.
00:27강인아, 성공을 상징하는 의입니다.
00:31빅토리, 스트럭니스, 성공.
00:36성공의 영어로 뭐야?
00:37석세스, 상징하는 의입니다.
00:39당신을 위해 하나 장만하고 사랑하는 이에게도 선물하세요.
00:43거의 뭐 옛날 이덕화 선생님의 트라이 광고 멘트 같아.
00:4633만 원이에요.
00:48트럼프 대통령의 글을 올린 거예요.
00:50아, they are called victory 45-47 because they are all about winning, strength and success.
00:58여기 나와 있군요.
01:00그 향수들은 빅토리 45-47로 불린다.
01:04왜냐하면 그 안에는 강함과 승리와 성공의 의미가 담겨있기 때문이라고 향수 홍보에 나섰습니다.
01:14남성용과 여성용이 있나 봐요.
01:16For men and women이라고 돼 있어요.
01:17당신과 사랑하는 일을 위해 성공하라고 트럼프 대통령 젊을 적의 모습이 흉상이 황금형으로 뚜껑에 달려 있고요.
01:27또는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도 새겨져 있습니다.
01:32김광선 변호사님, 우리나라에서 만약에 대통령이나 아니면 유력 정치인 홍의표 대표가 갑자기 홍의표 향수라고 판매하면
01:41이에 충돌로 난리 날 것 같은데 어떻게 보십니까?
01:44아마 대통령이 저렇게 하면 탄핵감 아니겠습니까?
01:47탄핵감입니까? 우리나라라면. 우리나라 정선 아니야.
01:50우리나라라면 탄핵이죠.
01:51미국은 또 자본주의니까.
01:53그런데 이제 트럼프, 아니 우리나라도 자본주의예요.
01:55우리나라도 자본주의였어요?
01:56그렇죠.
01:57약간 우리나라 자본주의는 좀 다른 것 같은데.
01:59그런데 이제 아주 리벌한 자본주의죠.
02:02우리는 약간 도덕적 자본주의.
02:03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에 행보를 보면 제가 볼 때는 황야의 무법자 그 영화 있잖아요.
02:12그럼 뭐 법 같은 건 필요 없어요.
02:14그냥 자기 말이 곧 법이고 관세도 마찬가지고 고무줄이단 말이에요.
02:1850% 관세했다가 10% 관세했다가 또 어느 경우 무관세했다가.
02:23그런데 무엇보다도 저희가 이해가 가지 않는 측면이 장사를 한다는 거예요.
02:27대선 끝나고도 자기와 관련된 어떤 이벤트적인 물건들을 팔아서 장사했잖아요.
02:36그리고 또 현직 대통령인데 향수를 팔아요.
02:41그런데 향수도 제가 볼 때는 상징성 있게 좀 저렴하게 파는 줄 알았더니 우리나라도는 한 34만 원 간다는 거 아니에요.
02:48이거 비싸네요.
02:50아마 이게 웬만한 명품 향수 못지않은 가격일 거예요.
02:54용량이 좀 많이 들었나요?
02:55모르겠어요.
02:56그런 것 같지도 않아요.
02:57지금 보면 동상이 더 커요.
02:58그런데 향수는 용량이 많으면 사실 선호하지 않죠.
03:02그래요?
03:02이게 탄산수도 아니고 그래서 그런데 저걸 공개적으로 뭔가 대통령이 오히려 발표를 하잖아요.
03:13이런 향수가 출시됐다고.
03:14사라고는 안 했지만 사라는 의미고.
03:17또 어떻게 보면 트럼프 대통령을 아주 강렬하게 지진하는 강성 지지층은 아마 또 살 겁니다.
03:24지진자들 입장에서는 사고 싶을 것 같아요.
03:27그래도 돈을 벌게 되고.
03:28저는 이제 가상화폐와 관련된 논란이 많이 있었잖아요.
03:32내부 정보 관련해서.
03:34계속적으로 가상화폐와 관련해서 비트코인, 이더리움 여러 가지를 국가에서 사들이겠다.
03:41그걸 발표하기 전에 이미 트럼프 일가랄지.
03:45트럼프와 관련된 회사들이 이걸 샀다가 또 어느 정도 몇 천억 수익을 거뒀다.
03:52이런 언론 보도가 있었잖아요.
03:53이게 대통령을 하고 싶어서 그런지 자산을 불리기 위해서 한 것인지 저는 도통 이해가 가지 않아요.
04:01어떻게 보면 어떤 정치의 리더는 굉장히 도덕적이고 우리의 기준에 의하면 좀 청렴하고 그다음에 국가, 국익, 국민을 위한 대통령이 돼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어떤 기본적인 교과서지인 거잖아요.
04:13그런데 지금 트럼프를 보면 미국 우선주의가 아니고 트럼프 자산 증가 우선주의.
04:19마치 그런 이미지를 좀 가지고 있다 이렇게 봅니다.
04:23만약에 송춘 부의장님, 이재명 대통령이 그룹뿐 아니지만 예를 들어서 이재명 향수, 이재명 샴푸 이런 거 출시한다고 하면 아마 난리 날 것 같습니다.
04:33난리 난리. 가정으로도 생각하고 싶지 않은데요.
04:37그런데 그런 게 있어요.
04:38그러니까 트럼프는 재산이 로이터 측에 따르면 거의 2조가 넘거든요.
04:43진짜 부자네요.
04:43그러니까 2조가 넘는 사람이 왜 굳이 저런 걸 할까라는 생각이 들잖아요.
04:48그런데 제가 주변에 아주 좀 돈이 많은 친구한테 제 친구 한 명이 물어봤어요.
04:54야, 넌 돈도 많은데 왜 밥 한 번 안 사냐? 이러니까 밥을 안 사니까 돈이 많은 거야.
04:58그러니까 트럼프도 마찬가지일 거예요.
05:01그래도 사람들이 저렇게 재산이 2조가 넘는 사람이 왜 저렇게까지 하니까 돈이 계속 모이는 겁니다.
05:08트럼프는 국가를 상대로 어떻게 보면 지금 사업을 하고 있는 건데 저는 지금 저 타이밍에 갑자기 트럼프 향수가 왜 나왔을까.
05:15지금 사실 트럼프가 2기 정부 출범한 다음에 속속들이 하는 것들이 잘 안 됐거든요.
05:20관세 이거 결국 지금 막히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내가 되면 24시간 안에 끝내겠다 안 되고 있죠.
05:27그런데 지금 최근에 이스라엘 이란 전쟁에 대해서 본인이 좀 나서서 뭔가 해결을 했잖아요.
05:32그러니까 본인이 지금 자신감을 얻은 거예요.
05:34그러니까 내가 국제 문제 뭔가 해결했다는 그 자신감 때문에 갑자기 향수 팔고 하는 건데
05:39저는 그럼 트럼프가 관세라든지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이라든지 뭔가 국가적 대통령으로서의 성과를 낼 때마다
05:46또 저렇게 국민을 상대로 전 세계 국민들을 상대로 이렇게 사업 비즈니스맨의 명을 또 보여줄 것 같은데
05:52참 우리나라 정서와 너무 다르다.
05:56우리나라 국민들은 아마 이해 못하는 행동일 텐데 미국이 워낙에 미국 수정헌법 1조의 자유자유 계속 자유를 강조하고 있거든요.
06:02그렇기 때문에 대통령도 저렇게 비즈니스할 자유를 누리고 있는 게 아닐까 저는 그렇게 봤습니다.
06:07그래도 외교적 차원에서 보면 우리 한미정상회담을 해야 되잖아요.
06:10아직 이재명 대통령께서 트럼프 대통령 못 만나셨잖아요.
06:14그러면 정상회담할 때 국익을 위해서 빅토리 45 착착 뿌려주고 전화했어 트럼프폰 딱 받아주고
06:23국익을 위해서라면 그 정도는 할 수 있어야 된다고 봅니다.
06:27동의합니다.
06:27네.
06:28자 동의하셨어요.
06:29동의하셨어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