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11월 27일 목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한국일보는 '고무줄 혼인신고'가 늘어나는 현실을 짚었습니다.

결혼식은 올렸어도 혼인신고를 안 했거나아직 결혼식은 안 했어도 혼인신고는 미리 하는 건데요.

배경은 바로 '주거난'입니다.

혼인신고 여부에 따라 주거 정책과 대출 조건이 극명하게 달라지죠.

그래서 혼인신고를 할지 말지를 두고 계산기를 두드려야 합니다.

즉 '보금자리 전략'이 된 겁니다.

지연 혼인신고 비율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1년 이상 혼인신고를 미룬 비율은 지난해 19%까지 증가했습니다.

5쌍 중 1쌍은 혼인신고 안 한단 얘기입니다.

2년 넘게 미룬 비율도 작년에 8.8%까지 올라갔습니다.

드물긴 하지만 반대로 혼인신고부터 먼저 하는 경우도 있고요.

적어도 기혼이어서 손해를 보는 일은 없어야 하지 않을까요.

신혼부부가 큰 걱정 없이 보금자리를 마련하게 하는 대책이 필요하단 지적이 나옵니다.

다음 기사는 우리나라에도 '자율주행 실증도시'가 생긴다는 내용입니다.

정부가 어제 발표한 '자율주행차 상용화'목표를 경향신문이 정리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차량 자율주행 기술은 레벨3, 조건부 자동화 수준입니다.

자동화 구간에서도 특정 구간에선 운전자 개입이 필요한 단계인데요.

미국과 중국은 운전자 개입 없이도 주행이가능한 레벨4 수준에 와있는데우리도 2027년엔 레벨4 수준을 상용화한다는 게 정부의 목표입니다.

국토부는 우선 특정 시군을 자율주행 실증도시로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 100대 이상을 투입해서 데이터를 학습시킨다는 계획입니다.

주행 데이터 확보, 사용과 관련된 규제도완화되고요.

자율주행차가 사고가 났을 때 책임 주체를 명확히 하는 법 개정도 내년쯤 추진될 예정입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중국 선전 같은 자율주행 실증도시가 우리나라 어디에 생길지도 궁금한데요.

정부 목표대로 2027년엔 자율주행 레벨 4에연착륙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끝으로 동아일보입니다.

AI로 찍어낸 전자책들이 서울대 도서관에 버젓이 비치돼있다고 합니다.

'딸깍 클릭'으로 만들어진 전자... (중략)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1127070728963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기분 좋은 변화 품격 있는 강남 NEWS
00:1011월 27일 목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00:14먼저 한국일보는 고무줄 혼인신고가 늘어나는 현실을 짚었습니다.
00:19결혼식은 올렸어도 혼인신고를 안 했거나 아직 결혼식은 안 했어도 혼인신고는 미리 하는 건데요.
00:25배경은 바로 주건 아닙니다.
00:27혼인신고 여부에 따라서 주거정책이나 대출 조건이 극명하게 달라지죠.
00:33그래서 혼인신고를 할지 말지를 두고 계산기를 두드려야 합니다.
00:36즉 보금자리 전략이 된 겁니다.
00:40지연 혼인신고 비율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00:421년 이상 혼인신고를 미룬 비율은 지난해 19%까지 증가했습니다.
00:47그러니까 5쌍 중에 한 쌍은 혼인신고를 안 한다는 얘기입니다.
00:502년 넘게 미룬 비율도 작년에 8.8%까지 올라갔습니다.
00:55드물긴 하지만 반대로 혼인신고부터 먼저 하는 경우도 있고요.
01:00적어도 기혼이어서 손해를 보는 일은 없어야 하지 않을까요.
01:03신혼부부가 큰 걱정 없이 보금자리를 마련하게 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01:09다음 기사는 우리나라에도 자율주행 실증고시가 생긴다는 내용입니다.
01:14정부가 어제 발표한 자율주행차 상용화 목표를 경향신문이 정리했습니다.
01:19현재 우리나라의 차량 자율주행 기술은 레벨 3, 조건부 자동화 수준입니다.
01:25자동화 구간에서도 특정 구간에선 운전자 개입이 필요한 단계인데요.
01:30미국과 중국은 운전자의 개입이 없이도 주행이 가능한 레벨 4 수준에 와 있는데
01:35우리도 2027년엔 레벨 4 수준을 상용화한다는 게 정부의 목표입니다.
01:40국토부는 우선 특정 시군을 자율주행 실증도시로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01:46자율주행 자동차 100대 이상을 투입해서 데이터를 학습시킨다는 계획입니다.
01:51주행 데이터 확보 사용과 관련된 규제도 완화되고요.
01:55또 자율주행차가 사고가 났을 때 책임 조치를 명확히 하는 법 개정도 내년쯤 추진될 예정입니다.
02:03미국의 샌프란시스코나 중국 선전 같은 자율주행 실증도시가 우리나라 어디에 생길지도 궁금한데요.
02:09정부 목표대로 2027년 자율주행 레벨 4에 연착륙할 수 있길 기대해봅니다.
02:15끝으로 동아일보입니다.
02:17ARU 찍어낸 전자책들이 서울대도서관에 버젓이 비치되어 있다고 합니다.
02:21딸깍 클릭으로 만들어진 전자책이 최소 9천 권인데 오류가 범벅입니다.
02:27넓다의 발음이 넓으다라면서 기초 문법부터 대놓고 틀리기도 하고요.
02:32설국이 눈국으로 오역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02:35또 칸트가 쓴 책인데 원전을 고대 그리스 역사가가 썼다고 표기한 사례까지 민망한 오류들이 넘쳐납니다.
02:44학계나 출판기에서 AI 활용은 이미 일상화됐죠.
02:47하지만 별다른 감수를 거치지 않은 전자책이 무더기로 만들어진다는 게 문제입니다.
02:52서울대 측은 해당 서적들이 대형 서점의 구독 플랫폼을 통해 유입됐다고 설명했습니다.
02:58관련 윤리와 규범이 없으면 출판기와 학계엔 더 큰 혼란이 올 수도 있겠죠.
03:02전문가들은 허위 정보를 선별하고 검증하는 큐레이터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는데요.
03:10대학과 공공도서관들이 책 선정 기준을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어 보이네요.
03:1511월 27일 아침 신문 살펴봤습니다.
03:18지금까지 스타트 브리핑이었습니다.
03:19초반에 goofy
03:36원족 초반전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