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최근 장의 상태가 뇌의 건강을 좌우한다는 장뇌축 연구가 의학계의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런 장 건강의 핵심은 '단쇄지방산'이라는 물질인데요,

단쇄지방산과 장·온몸 건강의 연관성과 미래 가치를 알아보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김범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장의 상태가 뇌 건강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연구하는 '장뇌축(GBA)' 연구.

특히 장내 유익균이 만들어내는 대사산물로, 장 장벽 강화와 면역 균형 조절 등을 하는 단쇄지방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페르난도 마그로 / 포르투 의과대학 교수, 유럽 크론병·궤양성대장염학회장 : 단쇄지방산(SCFA)은 장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러 분야에서 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데, 유익균을 통해 나빠진 장을 고치고 복원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4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세계적 석학 등이 참석한 가운데 단쇄지방산의 염증 조절 기전과 대장암 예방 등 효능을 알아보는 국제심포지엄이 열렸습니다.

[구자설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낙산균의 대사산물인 단쇄지방산의 역할, 이를 통해 다양한 장 질환을 비롯한 질환에서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 더 규명해보고….]

[정성애 / 대한장연구학회장, 이화여대 의과대학 교수: 자연을 담고 진심을 담고 시장을 담겠다고 회사에 적혀 있던데, 오늘은 아마 장 건강을 담으시겠다고 이 기회를 마련하신 것 같습니다.]

심포지엄에는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바이오 기업 관계자 등도 참석해 단쇄지방산을 통한 장 건강 실현의 산학연 협업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심포지엄은 장 건강을 책임지는 낙산균 국산화 성공에 이어 낙산균이 에너지의 70%를 얻는 고농도 단쇄지방산을 대한민국 최초로 천연발효 공정으로 확보한 것을 기념해 마련됐습니다.

[김상준 / 바이오 기업 대표 : 단쇄지방산을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의료계 그리고 학계와 더 깊이 있는 연대를 통해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발판으로 삼고자 합니다. 새로운 대사체 기반의 신약을 만들어내는 데 주력하겠습니다.]

낙산균 독립선언과 단쇄지방산 대량 생산은 대사체 자체를 활용하는 '포스트바이오틱스' 시대에 K-바이오 산업의 위상을 한껏 끌어 올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YTN 김범환입니다.


VJ: 이건희




YTN 김범환 (kimb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1128002655728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장의 상태가 뇌의 건강을 좌우한다는 장뇌축 연구가 의학계의 새로운 이슈로 최근 떠오르고 있습니다.
00:08이런 장건강의 핵심은 단쇄지방산이라는 물질인데요.
00:13단쇄지방산과 장온몸건강의 연관성과 미래의 가치를 알아보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00:19김보만 기자가 보도합니다.
00:20장의 상태가 뇌의 건강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연구하는 장뇌축 연구.
00:30특히 장뇌 유익균이 만들어지는 대사산물로 장 장벽 강화와 면역균형 조절 등을 하는 단쇄지방산에 대한 안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00:44다백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세계적 석학 등이 참석한 가운데
01:08단쇄지방산의 염증 조절 기전과 대장암 예방 등 효능을 알아보는 국제심포지엄이 열렸습니다.
01:17낙산균에서의 대산물에서의 단쇄지방산의 역할
01:22그리고 이를 통한 다양한 장질환을 비롯한
01:26질환에서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 조금 더 규명해보고
01:30자연을 담고 진심을 담고 시장을 담겠다고 회사에 적혀있던데
01:38오늘은 아마 장 건강을 담으시겠다고 기회를 만드신 것 같습니다.
01:43심포지엄에는 연구자들 뿐만 아니라 바이오기업 관계자 등도 참석해
01:50단쇄지방산을 통한 장 건강 실현의 산학연 협업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01:59심포지엄은 장 건강을 책임지는 낙산균 국산화 성공에 이어
02:04낙산균이 에너지의 70%를 얻는 고농도 단쇄지방산을
02:10대한민국 최초로 천연 발효 공정으로 확보한 것을 기념해 마련됐습니다.
02:17단쇄지방산을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의료계
02:21그리고 학계와 더 깊이 있는 연대를 통해서
02:26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발판으로 삼고자 합니다.
02:29새로운 대사체 기반의 신약을 만들어내는 데 주력하겠습니다.
02:35낙산균 독립선언과 단쇄지방산 대량생산은
02:40대사체 자체를 활용하는 포스트 바이오틱스 시대에
02:44K-바이오 산업의 위상을 한껏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02:50YTN 김범환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