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홍콩의 낡은 고층 아파트 단지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의 사망자가 65명으로 늘어났습니다.

현지 당국은 화재 발생 27시간에 진화를 마쳤다고 밝혔습니다.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강정규 특파원!

[기자]
네, 홍콩 아파트 화재 현장입니다.


현장 상황 어떻습니까?

[기자]
제 뒤로 보이는 게 이번에 대형 화재가 난 홍콩 북부 타이포 구역의 '웡 푹 코트' 아파트입니다.

잿빛으로 변한 31층 건물 꼭대기에선 여전히 연기가 모락모락 피어 오르고 있습니다.

한 창문엔 여전히 불길이 일렁이는 모습도 보입니다.

아직도 매캐한 냄새가 코를 찌르고 분진 탓인지 눈도 따갑게 느껴집니다.

홍콩의 소방차가 총 출동한 듯 아파트 단지 주변을 에워싸고 있습니다.

경찰이 현장 통제에 나선 가운데 많은 주민들이 늦은 시간까지 참사 현장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걱정스러운 표정으로 발길을 떼지 못하는 모습인데요.

일부 주민들은 물과 마스크를 나눠주면서 자원봉사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인명 피해 상황 정리해 볼까요?

[기자]
그제(26일) 오후 시작된 홍콩 타이포 구역 아파트 화재로 지금까지 65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중엔 불을 끄던 소방관도 1명 포함돼 있습니다.

현지 소방당국은 76명이 병원으로 옮겨졌고, 이 중 16명은 생명이 위태롭다고 밝혔습니다.

오전 집계치이긴 한데, 아파트 안에 갇힌 것으로 추정되는 실종 주민은 279명으로 파악됩니다.

이제 진화가 마무리되고 뒤 수색 작업이 본격화되면 인명피해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화를 면한 주민 약 900명은 주변 학교 등 임시 대피소로 옮겨졌습니다.

우리 외교부는 아직 한국인 피해자는 없는 거로 파악된다고 전했습니다.


화재 발생 27시간 만에 불길이 잡혔다고요?

[기자]
불이 시작된 건 현지 시간 26일 오후 3시쯤입니다.

홍콩 당국은 27시간 만인 어제(27일) 저녁 6시쯤 진화를 마쳤다고 발표했습니다.

1983년에 준공된 이 아파트는 지난해 7월부터 보수 공사가 진행 중이었습니다.

공사장 작업자가 버린 담배꽁초에서 불이 시작된 장면이 CCTV에 포착됐다는 보도도 나왔는데요.

31층짜리 아파트 8동 가운데 7개 동에 불이 붙었습니다.

홍콩 경찰은 보수 공사를 맡은 업체 관계자 3명을 과실치사 혐의로 체포해 조사... (중략)

YTN 강정규 (live@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1128000132638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홍콩의 낡은 고층 아파트 단지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의 사망자가 65명으로 늘어났습니다.
00:08현재 당국은 화재 발생 27시간 만에 진화를 마쳤다고 밝혔는데요.
00:12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00:15강정규 특파원.
00:19홍콩 화재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00:21현장 상황 어떤지 전해주시죠.
00:23지금 제 뒤로 보이는 게 이번에 대형 화재가 난 홍콩 북부 아파트 단지입니다.
00:34이미 JPT로 변한 32층짜리 아파트 꼭대기에선 여전히 하얀 연기가 모락모락 피어오르고 있습니다.
00:42화면으로 잘 보이는지 모르겠지만 창문 곳곳에서 불씨가 다시 되살아났는지 붉은 불길이 일렁이는 모습도 보입니다.
00:51화재 현장에는 아직도 매쾌한 연기가 매쾌한 냄새가 코를 찌릅니다.
00:57분진 탓인지 눈도 따갑게 느껴집니다.
01:01홍콩 시내 모든 소방차가 총집결한 듯 아파트 단지를 애워싸고 있습니다.
01:07현장 통제 속에 현지 주민들도 늦은 시간까지 밖에 나와서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01:15걱정스러운 표정으로 참사 현장을 지켜보면서 발길을 돌리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01:20일부 주민들은 마스크와 물병 등을 나눠주면서 자원봉사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01:29그리고 지금까지 집계된 인명피해 상황도 정리해 주시죠.
01:36현지 시간 어제 오후 3시에 시작된 화재로 현재까지 65명이 숨진 거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01:44이 중에는 진화작업에 나섰던 소방관도 포함돼 있습니다.
01:48현지 소방당국은 76명이 병원으로 옮겨졌고 이 중에 16명의 생명이 위태롭다고 밝혔습니다.
01:58오전 집계치이긴 한데 아파트 안에 갇혀서 실종처리된 주민 279명도 실종자로 처리된 상태입니다.
02:10이제 진화가 마무리되고 수색작업이 본격화되면 사상자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02:19화를 면한 주민 900여 명은 주변 학교 등 임시대표소로 옮겨졌습니다.
02:25우리 외교부도 한국인 피해를 상황을 파악 중인데요.
02:30아직 피해 접수는 없는 거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02:33그리고 화재 발생 27시간 만에 불길이 잡혔다고 하는데 이 내용도 정리를 좀 한번 해주시죠.
02:44현지 시간으로 이제 그제죠.
02:50오후 3시쯤 시작된 이 불길.
02:54꼬박 27시간 만인 어제저녁 6시쯤 홍콩당국은 진화를 마무리했다.
03:03이렇게 선언을 했습니다.
03:041983년 중공된 이 아파트, 작년 7월부터 보수작업을 벌여왔습니다.
03:12공사장 작업자가 벌인 담배꽁초에서 불이 시작된 장면이 CCTV에 잡혔다는 현지 매체의 보도도 있었는데요.
03:2132층짜리 아파트 8동 가운데 7개 동에 불이 붙었습니다.
03:26홍콩경찰은 보수공사를 맡은 업체 관계자 3명을 과실치사 혐의로 체포해서 조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03:34현지 소방당국은 그제저녁 6시 반쯤 화재 경보 단계를 최고 등급인 5단계로 격상했습니다.
03:42홍콩에서 5급 경보는 4명이 숨지고 55명이 다쳤던 2008년 문콕 나이트클럽 화재 이후 처음입니다.
03:52현지 매체들은 1997년 홍콩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 이후 최악의 화재 참사로 기록될 거라고 전하고 있습니다.
04:00이번 화재가 이렇게 피해가 컸던 이유 어디서 찾아볼 수 있을까요?
04:06제 뒤로 보이는 보수작업을 위해서 설치해놓은 대나무 비계와 초록색 나일론 보호막 불소시계가 됐습니다.
04:22불이 쉽게 붙는 소재인데다 화재 당시 바람이 강하게 몰아치면서 불길이 순식간에 번졌습니다.
04:31대나무 비계는 가볍고 저렴하기 때문에 홍콩에서는 여전히 공사 현장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소재입니다.
04:40다만 불에 취약하다는 단점 때문에 홍콩 정부도 단계적으로 사용 금지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던 참이었습니다.
04:51또 공사 먼지를 막기 위해 각 집 창문마다 붙여놓은 비닐막 그리고 스티로폼 등 따위도 화근이 됐습니다.
05:01홍콩 특유의 닭장 아파트 구조 역시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05:06화재 발생 직후 현장 대응도 참사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05:10화재 경보기가 몇 통이어서 주민들은 경비원이 문을 두드린 뒤에야 불이 난 걸 알았다고 합니다.
05:17주민 중에 노인들도 적지 않아서 대피가 늦었을 거란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05:25공교롭게도 홍콩에서 케이팝 시상식이 예정돼 있죠?
05:28네 그렇습니다. 내일부터 이틀 동안이죠.
05:34시간이 지났으니까 오늘부터가 되겠습니다.
05:38케이팝 시상식 마마 어워즈가 이곳 홍콩에서 열립니다.
05:42지금 화재가 난 이곳으로부터 약 20km 떨어진 대형 스타디움에서 대규모로 치러지게 됩니다.
05:49당초 연기가 될 거란 관측도 있었는데 주최 측은 기부를 통해서 슬픔을 함극에 나누겠다며 행사를 그대로 열겠다는 입장입니다.
06:00다음 달 7일로 예정된 홍콩 의회 선거도 차질이 예상됩니다.
06:05주요 정당은 선거운동을 전면 중단하고 희생자 애도에 나섰습니다.
06:10이 밖에 홍콩에서 예정된 각종 문화 스포츠 행사도 줄줄이 연기 또는 취소되고 있습니다.
06:16지금까지 홍콩 화재 현장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