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4차, 3차 대비 위성 수·임무 대폭 확대 주탑재위성 차중 3호, 오로라·대기광 관측 나선다 ’코스믹’, 임무 후 스스로 궤도 이탈해 위성 폐기 ’BEE-1000’, 무중력 환경서 항암제단백질 결정화
누리호 4차 발사에는 탑재되는 위성은 모두 13기로 역대 최대 규모의 '우주 배송' 미션을 수행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우주 기술의 진화를 보여줄 위성들은 어떤 임무를 맡게 될까요.
권석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번 4차 발사는 지난 발사 때보다 위성의 수와 임무가 한층 더 늘어났습니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 중형위성 3호'는 오로라와 대기광을 관측해 우주 날씨 현상을 연구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 우주 3D 바이오 프린팅을 시험하는 바이오 캐비닛, 오로라·대기광 관측 카메라, 플라즈마·자기장 측정 장비가 탑재됐습니다.
지난 발사 때 7기였던 큐브위성도 이번엔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 기업이 참여하면서 규모가 확대돼 12기로 늘었습니다.
국내 기업이 개발한 '코스믹'은 임무가 끝난 뒤 스스로 궤도를 떠나 위성을 폐기하는 '우주 쓰레기 폐기 기술'을 시험합니다.
[이성문 / 우주로테크 대표 : 위성 운용사들은 추가적인 폐기 장치를 부착하거나 폐기 전략을 의무적으로 갖춰야 한다는 그런 규제들이 미국과 유럽에서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규제가 강화되는 시점에 우리가 인공위성 폐기와 충돌 분석을 할 수 있는 이런 우주 검증 미션을 갖는다는 것 자체도 굉장히 의미 있는 시점이지 않나 싶습니다.]
우주에서 항암제 단백질이 어떻게 결정화되는지 실험하게 될 BEE-1000 위성의 임무도 눈에 띕니다.
서울대가 개발한 쌍둥이 큐브위성은 궤도에서 분리됐다가 다시 합쳐지는 것을 반복하며 GPS만으로 스스로 위치를 확인하고 움직이는 능력을 시험하게 됩니다.
KAIST의 케이-히어로는 작은 전기추진기로 여러 위성이 함께 움직일 때 필요한 기동력을 시험합니다.
위성의 수가 늘어난 만큼 사출 과정도 중요한데, 발사체가 궤도에 진입하게 되면 2개씩 6번에 걸쳐 18~23초 간격으로 순서대로 내보내게 됩니다.
[박종찬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단 단장 : 기존에 3차 발사 때 저희가 발사관 1기가 사출관 문이 제대로 오픈되지 않은 문제가 있어서 사출이 제대로 되지 않는 부분이 있었기 때문에 / 사출관 뚜껑을 여는 구동 모터를 기존... (중략)
YTN 권석화 (stoneflower@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5_20251126064153584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