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최근 디카페인 커피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습니다.

수면의 질을 중시하는 흐름과 맞물려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인데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카페인 제거 표시 기준과 가격 부담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오동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35개국 3,900여 개 브랜드가 참여한 '서울 카페쇼'.

올해는 특히 디카페인 커피를 찾는 관람객들의 발걸음이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0

[강지헌 / 서울시 마포구 : 디카페인 커피가 많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카페인에 약한 나한테도 좋겠다 싶어가지고]

수면과 건강을 중시하는 분위기에 디카페인 커피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관세청에 따르면 디카페인 원두 수입량은 지난해 7천 톤을 넘기며 6년 만에 4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스타벅스에서는 10월까지 벌써 3천2백만 잔 이상이 팔렸고, 투썸 역시 30% 이상 판매량이 늘었습니다.

하지만 급속히 커지는 시장인 만큼 한계도 분명합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국제 기준과 달리 카페인 90% 이상만 제거하면 디카페인이라고 표시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잔류 함량을 정확히 알고 싶어하는 소비자들은 불편을 호소해왔습니다.

식약처는 잔류 카페인 0.1% 이하, 사실상 99% 이상을 제거하도록 기준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디카페인의 또 다른 한계는 바로 맛입니다. 카페인 축출 과정에서 화학 용품이 사용될 수밖에 없기에 향미가 떨어진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인데요.

제가 직접 맛을 보겠습니다. 끝 맛이 약간 다른 것도 같습니다.

향미 손실 극복을 위해서는 화학약품을 배제한 공법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양윤정 / 스위스 워터스 관계자 : 화학물질 없이 물로 순수하게 디카페인 공정을 하기 때문에 생두에서 나는 향과 맛이 그대로 전달된다고….]

그러나 공정이 복잡해지면 가격 부담이 커지고

더구나 최근 환율 상승까지 겹치며 가격 압박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디카페인 커피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가격 장벽을 얼마나 낮출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

YTN 오동건입니다.


영상기자: 심관흠
디자인: 권향화




YTN 오동건 (odk798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1122230604007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최근 디카페인 커피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습니다.
00:03수면의 질을 중시하는 흐름과 맞물려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는 건데요.
00:08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카페인 제거 표시 기준과 가격 부담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00:14오동건 기자입니다.
00:2435개국 3,900여 개 브랜드가 참여한 서울 카페쇼.
00:28올해는 특히 디카페인 커피를 찾는 관람객들의 발걸음이 눈을 띄게 늘었습니다.
00:39수면과 건강을 중시하는 분위기에 디카페인 커피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00:45관세청에 따르면 디카페인 원두 수입량은 지난해 7천 톤을 넘기며 6년 만에 4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00:51스타벅스에서는 10월까지 벌써 3,200만 잔 이상이 팔렸고 수섬 역시 30% 이상 판매량이 늘었습니다.
00:59하지만 급속히 커지는 시장인 만큼 한계도 분명합니다.
01:02특히 우리나라는 국제 기준과 달리 카페인 90% 이상만 제거하면 디카페인이라고 표시할 수 있습니다.
01:09때문에 잔류 함량을 정확히 알고 싶어하는 소비자들은 불편을 호소해 왔습니다.
01:13식약처는 잔류 카페인 0.1% 이하, 사실상 99% 이상을 제거하도록 기준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01:22디카페인의 또 다른 한계는 바로 맛입니다.
01:25카페인 추출 과정에서 화학용품이 쓸 수밖에 없기 때문에 향미가 떨어진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인데요.
01:31제가 직접 마셔보겠습니다.
01:35끝맛이 약간 다른 것도 같습니다.
01:38향미 손실 극복을 위해서는 화학약품을 배제한 공법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01:43화학물질 없이 물로 순수하게 클린 디카프 프로세싱을 하기 때문에 상두에서 나는 향과 맛이 그대로 전달된다.
01:53그러나 공정이 복잡해지면 가격 부담이 커지고 더구나 최근 환율 상승까지 겹치며 가격 압박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02:00디카페인 커피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가격 장벽을 얼마나 낮출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
02:07YTN 오동권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