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이하린 앵커, 나경철 앵커
■ 출연 : 이동우 YTN 해설위원실장 (MCL)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ON]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정부 여당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종묘 앞 재개발 사업과 한강 버스에 이어, 이번엔 광화문에 조성 중인 '감사의 정원'을 놓고도 대립하고 있습니다.

여권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오 시장을 집중 공략하는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지지율은 높아지고 국민의힘 지지율은 낮아지는데 그 배경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이동우 해설위원실장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김민석 총리를 비롯한 정부여당이 오세훈 시장 공격에 화력을 집중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기자]
아무래도 오세훈 서울시장이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가장 유력한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인만큼 미리부터 견제구를 던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전반적으로 집권 초반에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는 여권에 유리한 구도이지만요.

오시장의 인지도가 워낙 높은 편이어서 만만치 않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국민의힘 당 지지율은 낮은 편이지만 현재 거론되는 민주당 예비후보들에 대해 오시장이 앞서거나 비슷한 지지율을 보이는 등 민주당의 고전이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서울 전역 확대로 강남권은 물론 강북권의 민심도 심상치 않은 상황이지 않습니까?

현재 민주당에서는 서울시장 후보로 박주민, 박홍근, 전현희, 서영교 의원, 정원오 성동구청장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민주당과 정부 차원에서 또 각 예비후보들도 저마다 오시장에 대한 비판 대열에 나서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강력한 서울시장 후보로 거론되는 김민석 총리는 서울시장 출마설에 제동을 걸었다고요.

[기자]
예 그렇습니다.

어제 총리실 내부 간부 회의에서 지방선거에 나설 의사가 없다는 점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 총리는 서울시 사업들에 대한 지적은 총리로서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라면서 서울시장 선거와 최근 자신의 활동을 연결 짓는 정치적 해석을 일축했습니다.

그러면서 자신의 거취에 대한 입장은 이미 여러 차례 분명하게 밝혔다며 서울시... (중략)

YTN 이동우 (dwlee@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1118171331595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정부 여당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종묘압 재개발 사업과 한강버스에 이어 이번엔 광화문에 조성 중인 감사의 정원을 놓고도 대립하고 있습니다.
00:10여권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오 시장을 집중 공략하는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00:16이런 가운데 민주당 지지율은 높아지고 국민의힘 지지율은 낮아지는데 그 배경은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00:22이동우 해설위원실장 나와있습니다. 어서오십시오.
00:24어서오세요.
00:25지금 정부 여당이 연일 오세훈 때리기에 나서고 있어요.
00:29특히 김민석 총리가 앞서고 있는데요.
00:32그렇죠. 아무래도 오세훈 서울시장이 내년 6월 지방선거에 있어서 국민의힘 후보를 유력한데 나름 경쟁력이 있으니까 이에 대해서 미리부터 견제욕을 던지는 것이다.
00:43이렇게 풀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0:46아시다시피 오 시장의 인지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기 때문에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제법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오거든요.
00:52민주당의 후보가 누가 되든 오 시장이 일부 앞서거나 비슷하거나 이 정도의 경쟁력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특히 민주당 입장에서 정부 여당 입장에서는 지금부터 미리 오 시장에 대해서 공격을 해두는 것이 낫겠다.
01:08이런 생각을 한 것으로 풀이가 되고요.
01:10또 아시다시피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서울 전역으로 확대했지 않습니까?
01:15그러다 보니까 강남권은 물론이고 강북권에서도 부동산 민심이 별로 좋지 않은 상황이거든요.
01:21그렇기 때문에 현재 민주당 입장에서는 지금부터 오세훈 시장의 예봉을 꺾어낼 필요가 있겠다.
01:28이런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이고요.
01:29아시겠지만 현재 민주당에서는 서울시장 후보로 박주민 의원, 박홍근 의원, 전현희 의원, 서영규 의원, 정원호, 송동구청장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거든요.
01:42그러니까 이런 정부 여당은 물론이고 이런 예비 후보들도 오세훈 시장의 비판 대열에 나서고 있는 그런 상황이다.
01:50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01:51또 다른 강력한 서울시장 후보로 떠오른 김민석 국무총리는 출마설에 선을 그은 것 같더라고요.
01:57네, 그렇습니다. 어제 서울시장 간부회의, 서울시내 시장이 주재하는 간부회의에서 그러한 뜻을 비췄다고 해요.
02:05그러니까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는 나서지 않겠다, 이런 말을 했고요.
02:11아무래도 최근 오세훈 시장에 대한 공격 선봉에 김민석 총리가 나서다 보니까 내년 서울시장에 나서는 거 아니냐, 이런 얘기가 많이 시점에 돌고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02:23그러니까 이런 부분에 대해서 쇠기를 박는 그런 역할을 한 것이다, 이렇게 볼 수 있겠는데, 아시다시피 정치는 생물 아니겠습니까?
02:33그렇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서는 서울시장 선거에 나설 의사가 없는 것은 분명해 보여요.
02:38하지만 각종 여론조사를 시뮬레이션을 해봤을 때 오세훈 서울시장과 대항해서 민주당 후보 누구도 경쟁력이 없고 김민석 총리만이 어느 정도 경쟁력이 있다.
02:50이럴 때는 자위반, 타위반으로 차출이 될 수 있는 그런 상황도 완전히 배제는 할 수 없다, 이렇게 볼 수 있겠고요.
02:59정치권에서는 김 총리가 내년 서울시장보다는 당대표 선거, 전당대회에 나서지 않겠느냐, 이런 가능성을 좀 더 보고 있는 그런 상황이고요.
03:12사석에서 김민석 총리가 그런 뜻을 내비쳤다는 그런 얘기도 좀 있습니다.
03:19참고로 정청료 대표의 임기는 내년 8월까지입니다.
03:23지난 8월 2일에 당대표로 당선됐기 때문에 내년 8월에 끝나게 되는데,
03:30이 경우에 당대표 재선을 노리고 있는 정청료 대표 입장에서는 상당히 다크호스를 만나게 되는 것이죠.
03:35아무래도 일부 친명 계연들 사이에서는 당정 간의 온도 차가 일부 있기 때문에
03:42이재명 대통령과 호흡이 아주 찰떡같이 잘 맞고 있는 김민석 총리를 당대표로 내세우는 것이 더 낫지 않겠느냐,
03:49이런 얘기도 일부 있다는 것이에요.
03:52특히 김 총리 입장에서도 내년에 당대표가 돼서 2028년 총선을 김민석 체제로 치르는 것이
03:59차기 대권 도전이라든지 이후 행보에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겠느냐,
04:05이런 분석도 하고 있다는 것이에요.
04:07또 다음 대표가 이제 2028년 총선 공천권을 행사하게 되거든요.
04:12그렇기 때문에 이제 그런 부분을 걱정하는 의원들이 김민석 총리에게
04:16서울시장보다는 차라리 당대표로 나서는 것이 어떻겠느냐,
04:19이렇게 권유를 하고 있다는 이런 전망도 있습니다.
04:22그러니까 당권을 놓고 정청래 대표와 김민석 총리 사이의 묘한 신경전도 있을 수 있을 것 같은데,
04:27공교롭게도 민주당이 내년 6월 지방선거 공천으로를 지금 손보고 있다고요.
04:31네, 그렇습니다.
04:32현재 정청래 대표는 원래 당원 주권주의를 계속 강조했던 분이거든요.
04:38그러니까 지금 현재 대의원들 표하고 일반 권리당원 표가 한 20대 1 정도로 이렇게 돼 있어요.
04:47그러니까 권리당원 표하고 일반 대의원 표하고 1대 1로 똑같이 하는 게 맞다,
04:53이런 주장을 하면서 1대 1로 바꾸는 그런 당원 당규 개정 작업을 지금 벌이고 있는 거거든요.
05:00이 투표는 이제 내일부터 모레까지 이틀 동안 시행이 되는데,
05:04정 대표가 원래부터 계속 이걸 주장한 강력한 개혁 대표로서,
05:08이 당원 주권주의를 위해서는 1대 1 이 부분이 반드시 실현되어야 된다고 지금까지 계속 강조했거든요.
05:14지난 당대표 선거 때부터 강조했었죠.
05:15그렇습니다.
05:16그거를 일성으로 강조했던 것이고요.
05:19그렇기 때문에 1인 1표를 행사하는 것이 보통 평등 직접 비밀 선거라는 헌법의 정신에 가장 부합한다.
05:28이렇게 계속 강조하고 있는 게 정청래 대표의 얘기인데,
05:31그런데 다만 투표 자격을 놓고는 좀 서랑설레가 있어요.
05:36왜냐하면 이번에 당규 개정을 위해서 투표에 참가하는 사람은 10월 한 달 동안만 당비를 냈던 사람들의 한정에서 투표권을 줬거든요.
05:46그런데 원래는 지금까지는 보통 한 6개월 정도 당비를 낸 당원들에게, 권리당원들에게 투표권을 줬던 것인데,
05:54이번에 좀 달리했기 때문에 이원주 최고위원 같은 경우는 갑작스러운 기준 변경을 했기 때문에
06:00이것은 당 지도부에 대한 표시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지적을 하기도 했습니다.
06:06이번에는 여론조사 얘기를 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06:09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또 부동산 문제 등으로 이 대통령 지지율이 조금 낮아지긴 했지만,
06:16국민의힘 지지율을 보면 오히려 반등하지 못하는 그런 모습이 있습니다.
06:20이유가 좀 뭐라고 분석하고 계십니까?
06:22아무래도 장동영 대표 등 당 지도부가 강성 지지층만 바라보고,
06:27중도층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면 도회시하고 있는 그런 부분이 바로 여론조사로 반영이 됐다, 이렇게 풀어할 수 있겠는데요.
06:34지금 화면을 보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06:38지금 현재 보시면 더불어민주당이 42%고, 국민의힘이 24% 아닙니까?
06:43그 전주에 비해서 더불어민주당은 2%포인트 오르는 반면에 국민의힘이 2%포인트가 떨어졌고요.
06:49그리고 무당층이 27%입니다.
06:52무당층이 오히려 국민의힘보다 지지율이 더 많은 그런 상황이라고 볼 수 있겠죠.
06:56그러니까 아시다시피 최근에 장동영 대표가 황교안 전 총리에 대한 영장 청구와 관련해서
07:06우리가 황교안이다, 이렇게 여쭙지 않습니까?
07:08아시다시피 황교안 전 총리 같은 경우는 강성 보수를 대표하는 대표적인 인물인데
07:14우리가 황교안이다 그러면서 스스로 강성 보수임을 천명한 그런 꼴이 돼버렸죠.
07:19그리고 그 외에도 윤석열 전 대통령을 면회를 가서 마치 유너개인을 주장하는 듯한 그런 인상을 주었던 것이고
07:30최근에는 황교안 그리고 전한길 씨 같은 분들과 내년 지방선거에서 연합을 하겠다.
07:38이런 취지의 언급도 했거든요.
07:40그런데 이런 것들이 다 뭉치다 보니까 국민의힘이 아무래도 강성 보수층으로 흘러가면서
07:48중도층에 소거하지 못하는 그런 것이 결국 지지율 답보에 영향을 미친 거거든요.
07:55아까 표를 보시면 알겠지만 국민의힘 지지율은 지금 24%에서 26% 박스권 안에 갇혀 있어요.
08:03그러니까 아무래도 국민의힘이 중도층에 대한 제일 중요한 게 선거에서 중수층이라고 하거든요.
08:11중도 수도권 청년층.
08:13이 중도 수도권 청년층에 아무래도 소구하는 그런 어떤 정책과 비전을 보여줘야
08:19국민의힘 지지율이 좀 상승하는 그런 일이 있을 텐데
08:24지금 현재 지금 장동영 지도부는 그 반대로 지금 가고 있는 그런 상황이기 때문에
08:29현재의 어떤 스탠스를 유지한다면 지지율이 올라가기는 어렵다는 것이
08:35여론조사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고요.
08:37최근에 대변인의 막말 논란도 있었잖아요.
08:39그렇습니다.
08:40박민영 대변인이 장애인인 김혜지 의원에 대해서 막말을 해서 강력 경고를 받았고요.
08:48그 외에도 합리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윤리위원장에게 사퇴 요구를 해서
08:54윤리위원장이 사퇴하겠다 이렇게 밝힌 일도 있지 않습니까?
08:58그러니까 지도부가 결국 이러한 행보를 통해서 당의 지지율을 오히려 떨어뜨리는
09:02그런 역효과를 내고 있는 것이죠.
09:04그렇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정치 분석가들은 장동영 대표 등 당 지도부가
09:10대우 각성해서 아까 얘기한 중수청 유권자들에게 호소할 수 있는
09:16어떤 혁신과 비전, 정책을 보여주지 않을 경우에는
09:20내년 지방선거에서 참패를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09:24이렇게 전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09:25네 알겠습니다. 여론의 역학관계까지 분석을 해봤습니다.
09:29지금까지 이동호 해설위원실장과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09:31고맙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