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일 전


[앵커]
고인의 유골을 바다에 뿌리는 '해양장', 올해 초 합법화 됐죠. 

그런데 장례업체들도, 바다를 터전으로 삼는 어민들도 반발하고 있습니다. 

바다 위에서 어떤 문제들이 벌어지고 있는 건지, 현장카메라 강태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장례를 마친 유족들이 배에 오릅니다.

배는 물결을 가르며 바다로 나아갑니다.

고인의 유골을 바다에 뿌리는 해양장입니다.

그런데 올해 들어 해양장 업체들이 줄줄이 단속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해안선에서 5km 이상 떨어진 곳에서만 장례를 허용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약 15분간 배를 타고 나가 멈춰 선 곳.

[현장음]
"여기가 한 4km 나와요."

그동안 수많은 유골을 뿌렸던 자리지만 지금은 불법 구역입니다.

[현장음]
"송도에서는 1.5km 밖에 안 돼요. 여기도 피해야 되고 저기도 피해야 되고."

[해양장 업체 대표]
"(거리를) 2배 이상은 나가야 되는 상황이 될 거예요. 시간도 2배 이상은 걸릴 거고. 활성화가 아니고 되레 제약을 더 만들어서 정부 취지하고 반대되는 게 아닌가."

보건복지부는 지난 1월 해양장을 포함해 자연에 유골을 뿌리는 산분장을 합법화했고, 2027년까지 산분장 비율을 30%로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정선 / 을지대 장례지도과 교수]
"제일 많이 이용하는 시설이 봉안 시설이기는 하나 포화 상태고, 산분장이라는 방법들이 사실은 좀 활성화돼야 (합니다.) 국민들이 지금은 조금 낯설지만 점차 익숙해질 거라 생각하고…"

하지만 업체는 오히려 제약이 생겼다며 불만이고, 어민들은 불안합니다. 

[김정태 / 인천 영암어촌계 계장]
"어민들의 삶의 터전인데 여기다 뿌리면 누가 좋아하냐 이거지."

[현장음]
"예. 되게 섬짓섬짓해요."

지역 이미지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현장음]
"상복을 입고 오셨지. 또 여기 우리 관광객들이나 낚시 어민들이 많이 오는데 그게 좀 불쾌할 수가 있죠."

인천해양경찰서는 최근 기준을 지키지 않은 해양장 업체 3곳을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현장카메라, 강태연입니다.

PD: 장동하
AD: 진원석


강태연 기자 tango@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고인의 유고를 바다에 뿌리는 해양장, 올해 초에 합법화됐죠.
00:05그런데 장례업체들도 바다를 터전으로 삼는 어민들도 반발하고 있습니다.
00:11바다 위에서 어떤 문제들이 벌어지고 있는 건지 현장카메라 강태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00:19장례를 마친 유족들이 배에 오릅니다.
00:23배는 물결을 가르며 바다로 나아갑니다.
00:26고인의 유고를 바다에 뿌리는 해양장입니다.
00:30그런데 올해 들어 해양장 업체들이 줄줄이 단속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00:37해안선에서 5km 이상 떨어진 곳에서만 장례를 허용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00:45약 15분간 배를 타고 나가 멈춰선 곳.
00:50그동안 수많은 유고를 뿌렸던 자리지만 지금은 불법 구역입니다.
00:56여기가 속도예요?
00:56보건복지부는 지난 1월 해양장을 포함해 자연의 유고를 뿌리는 3분장을 합법화했고
01:182027년까지 3분장 비율을 30%로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01:23제일 많이 이용하는 시설이 봉안 시설이기는 하나 포화 상태고 3분장이라는 방법들이 사실은 좀 더 활성화돼야
01:32국민들이 지금은 조금 낯설지만 점차 익숙해질 거라고 생각하고
01:37하지만 업체는 오히려 제약이 생겼다며 불만이고 어민들은 불안합니다.
01:42어민들이 삶의 터전인데 여기다 놓고 맨날 갖다 뿌리면 누가 좋아하냐 이거지.
01:49파는 하시는 곳이랑 그렇게 안 먼가 봐요.
01:51왜 섬취도 좋아해요.
01:52지역 이미지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01:57상의복을 입고 오셨지 또 여기 지금 관광객들이나 낚시 건물이 많이 있는데 그게 좀 문제할 수가 있죠.
02:07인천해양경찰서는 최근 기준을 지키지 않은 해양장업체 3곳을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02:14현장 카메라 강태현입니다.
02:22현장 라디오 마칩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