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1주 전


[앵커]
우리 정부도 모레 미중 정상회담 이후 모레 오후, 북미 정상간 회동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비하는 모습입니다.

기존 회담 장소로 거론됐던 판문점 외에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 원산 갈마지구 방문 가능성도 거론됩니다.

이상원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 정부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출국 일정 조정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외교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의 출국 일정은 유동적"이라며 "더 길게 머무를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1박 2일 계획에 당초 30일 오후 출국 예정이었지만, 북미 회동 가능성에 출국을 미룰 가능성도 있다는 겁니다. 

성사된다면 장소는 판문점이 일단 유력합니다.

[박지원 / 더불어민주당 의원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판문점에서 30~40분 가면 개성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판문각에서 만날 확률이 가장 많고요."

일각에선 북한의 해안 관광지역인 원산 갈마지구도 거론하고 있습니다.

[홍민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일단 김해공항에서 이제 트럼프 대통령이 에어포스 원을 타고 원산을 만약에 간다. 그런 곳에 가서 잠깐 1시간 정도 차담 정도를 할 수 있어요."

다른 소식통도 "원산 방문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지난 7월 원산 갈마지구를 정식 개장하면서 세계적 수준의 리조트 시설을 갖췄다고 선전해 온 바 있습니다.

부동산 개발업자였던 트럼프 대통령도 "북한이 아주 많은 콘도를 지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북한의 해안가 리조트 개발에 관심을 표명했습니다.

미 측은 30일 오후 김해공항 활주로 사용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다만 한 외교소식통은 "경호상 성사되기 어려운 얘기"라며 원산행 가능성을 낮게 전망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상원입니다.

영상취재 : 김기태 박희현
영상편집 : 강 민


이상원 기자 231@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우리 정부도 모레죠. 미중 정상회담 이후인 모레 오후, 북미 정상 간 회동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비하는 모습입니다.
00:09기존 회담 장소로 거론됐던 판문점 외에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 원산 갈마지구 방문 가능성도 거론됩니다.
00:18이상원 기자입니다.
00:22우리 정부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출국 일정 조정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00:27외교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의 출국 일정은 유동적이라며 더 길게 머무를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00:351박 2일 계획에 당초 30일 오후 출국 예정이었지만 북미 회동 가능성에 출국을 미룰 가능성도 있다는 겁니다.
00:44성사된다면 장소는 판문점이 일단 유력합니다.
00:47판문점에서 한 3, 40분 가면 개성이에요.
00:52그렇기 때문에 판문각에서 만난 확률이 가장 많고.
00:57일각에선 북한의 해안 관광지역인 원산 갈마지구도 거론하고 있습니다.
01:03일단 김해공항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에어포스 1을 타고 원산을 만약에 간다.
01:08그런 곳에 가서 잠깐 1시간 정도 차담 정도를 할 수 있어요.
01:12다른 소식통도 원산 방문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01:16북한은 지난 7월 원산 갈마지구를 정식 개장하면서 세계적 수준의 리조트 시설을 갖췄다고 선전해온 바 있습니다.
01:25부동산 개발업자였던 트럼프 대통령도 북한이 아주 많은 콘도를 지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01:31북한의 해안가 리조트 개발에 관심을 표명했습니다.
01:36미 측은 30일 오후 김해공항 활주로 사용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01:40다만 한 외교 소식통은 병호상 성사되기 어려운 얘기라며 원산행 가능성을 낮게 전망했습니다.
01:48채널A 뉴스 이상원입니다.
01:49채널A 뉴스 이상원입니다.
01:56채널A 뉴스 이상원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