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노동당 창건 8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한국과 미국을 직접 위협하는 발언은 하지 않았습니다.

'북미 대화' 재개 등을 염두에 두고 수위 조절에 나선 거란 분석이 나옵니다.

강진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열병식 연설 핵심 화두는 '국방력 강화 의지'였습니다.

적을 압도하는 정치사상과 군사 기술적 우세를 통해 일체의 위협을 소멸해야 한다는 겁니다.

혁명 무력과 함께 부정의와 패권에 반대한다고도 했는데, 미국을 콕 집어 거론하진 않았습니다.

[김정은 / 북한 국무위원장 (그제) : 이 기회에 우리 당과 공화국 정부가 앞으로도 강위력한 혁명 무력과 함께 부정의와 패권을 반대하고….]

'비핵화'를 요구하지 않는다면 미국과 대화할 수 있단 뜻을 내비친 상황에서, 발언 강도를 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문성묵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센터장(YTN 출연) : 미국과의 만남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는 것 같아요. 만약에 트럼프와 만나서 핵 보유를 인정받는다면 이건 가장 큰 성공이거든요.]

한국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도 없었습니다.

'적대적 두 국가론'을 못 박고 남한과 상종하지 않겠단 의사를 여러 차례 밝힌 만큼, 내부 결속 메시지에 집중한 거란 분석이 나옵니다.

[김정은 / 북한 국무위원장 (그제) : 오직 힘으로써만, 승리로써만 지켜지고 담보될 수 있는 우리 주권과 우리 위업의 무궁함을 우리는 오늘 다시금 확인하게 될 것입니다.]

중국과 베트남 등 최고위급 인사를 보낸 나라들의 입장 또한 의식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은 이달 말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고, 이번에 방북한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은 지난 8월에는 한국을 국빈 방문했습니다.

대통령실과 관계 부처는 김정은 위원장의 의중과 앞으로의 행보를 가늠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입니다.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을 찾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당장 만날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매우 낮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입니다.

대통령실은 그러나 남북 관계 개선의 '과도기적 단계'로 북미 대화 재개가 필요하다고 보고 외교적 노력을 계속 기울이겠다는 방침입니다.

YTN 강진원입니다.


영상기자 : 김정원
영상편... (중략)

YTN 강진원 (jinwon@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1012005551149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열병식에서 한국과 미국을 직접 위협하는 발언은 하지 않았습니다.
00:06북미 대화 재개득을 염두에 두고 수위 조절에 나선 거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00:11강진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00:15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열병식 연설 핵심 화두는 국방력 강화 의지였습니다.
00:22적을 압도하는 정치 사상과 군사 기술적 우세를 통해 일체의 위협을 소멸해 한다는 것.
00:27혁명 무력과 함께 부정의와 패권에 반대한다고도 했는데 미국을 꼭 집어 거론하진 않았습니다.
00:44비핵화를 요구하지 않는다면 미국과 대화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상황에서 발언 강도를 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00:52미국과의 만남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는 것 같아요.
00:55만약에 트럼프와 만나서 핵 보유를 인정받는다면 이건 가장 큰 성공이거든요.
01:01한국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도 없었습니다.
01:04적대적 두 국가론을 못 받고 남한과 상종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여러 차례 밝힌 만큼
01:09내부 결속 메시지에 집중한 거란 분석이 나옵니다.
01:13오직 힘으로서만 승리로서만 지켜지고 담보될 수 있는 우리 주권과 우리 위협의 무궁함을 우리는 오늘 다시금 확인하게 될 것입니다.
01:26중국과 베트남 등 최고위급 인사를 보낸 나라들의 입장 또한 의식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01:31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은 이달 말 경주 에이펙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고
01:37이번에 방북한 또런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은 지난 8월엔 한국을 국빈 방문했습니다.
01:44대통령실과 관계부처는 김정은 위원장의 의중과 앞으로의 행보를 가늠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01:50특히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입니다.
01:55경주 에이펙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을 찾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당장 만날 가능성은
02:01현재로서는 매우 낮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입니다.
02:05대통령실은 그러나 남북관계 개선의 과도기적 단계로 북미 대화 재개가 필요하다고 보고
02:10외교적 노력을 계속 기울이겠다는 방침입니다.
02:13YTN 강진원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