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4주 전


[앵커]
아는기자 시작합니다, 법조팀 김지윤 기자 나왔습니다.

Q1. 검찰청 폐지법, 막 통과됐어요. 일반 국민 입장에서, 뭐가 달라지는 거에요?

일반인들이 가장 많이 고소, 고발을 하는 사건이 있죠.

절도, 폭행, 사기, 명예훼손, 성범죄, 경찰에서 1차 수사를 하고 검찰이 2차 수사를 하는 사건들인데요.

점점 처리가 늦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Q1-1. 사건 처리가 지연될 수 있다. 당장 내일부터 문제가 생기는 겁니까?

실제 검찰 폐지까지 남은 시간, 1년입니다.

바꿔 말하면, 1년 내에 수사를 해야 되는 건데요.

문제는 올해 말, 내년 상반기 고소 고발장이 들어오는 사건들부터입니다.

수사할 시간이 줄어든 상황에서, 검사가 결론을 내지 못할 사건을 손대기가 어려워지는 겁니다.

Q2. 기업사건이나 정치인 사건도 처리가 어려워진다면서요?

법률가인 검사들이 수사를 잘할 수 밖에 없는 사건들이 있습니다.

증권범죄, 기업비리, 기술유출, 공정거래 사건이 대표적인데요.

내사단계를 포함해서 1년 넘게 수사가 이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내년 9월까지 카운트다운이 시작되면, 이런 복잡한 사건은 아예 시작할 엄두를못 내는 겁니다.

Q2-1 벌써 검찰청엔 수사 자제령이 내려졌다면서요?

정성호 법무부장관, 지난 7월 "공직자, 기업에 대한 과잉수사를 자제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여기에 '검찰 폐지'라는 시간적 제약까지 더해지면서 일부 검찰청에선 이미 '압수수색을 자제하라'는 취지의 지시가 내려가고 있다고 합니다.

검찰이 대기업이나 권력자 비리를 수사하는 장면, 앞으로는 보기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Q3. 수사는 그렇다 치고, 이미 기소가 돼서 재판중인 사건에도 영향이 있다면서요?

네, 1심 재판이 한참 진행 중인 사건을 생각해보면요.

법정에 들어가 변호사를 상대하는 건 검사들입니다.

그런데 중간에 검찰이 폐지될 경우, 검사들이 그대로 공소청으로 넘어가면 괜찮겠지만요.

검찰청에서 공소청으로 소속이 바뀌는 과정에서 담당 검사가 교체된다면, 사건을 잘 모르는 검사들이 재판을 맡게 됩니다.

중요한 사건일 수록, 대형 로펌에서 전문성을 쌓은 변호사들이 선임되는데요.

벌써부터 중요 사건 무죄율이 올라갈 거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Q4. 법무부가 남은 1년 동안, 선거사건 수사도 하지 말라고 했어요?

경찰이 잘하는 수사도 있지만, 우리나라 선거법은 워낙 복잡해서 검사들도 노하우가 있는 몇몇만 제대로 처리할 수 있는 분야가 선거범죄인데요.

내년 6월 3일,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예정돼 있는 상황에서 검찰이 빠지는 겁니다.

그만큼 선거범죄 처벌 공백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Q5. 1년 지나면 검찰청이 폐지되는 거에요. 일반인들 입장에서, 제일 큰 변화가 뭡니까?

일단 고소장을 어디에 낼 것이냐, 시작부터 헷갈릴 수 밖에 없습니다.

2020년 수사권 조정 전까지 단순한 구조였던 게요, 공수처가 설립되면서 변화가 생겼습니다.

검찰 폐지 이후엔 중수청까지 생기죠.

그림을 보시면,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기조차 힘든 아주 복잡한 구조로 바뀌게 됩니다.

지금까진 검찰에 고소장을 내면 검사가 알아서 처리해줬는데, 이 역할을 피해자가 선임한 변호사가 대신해야 될 거고요, 그만큼 비용을 부담하게 될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




김지윤 기자 bond@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한은 기자, 법조팀 김지훈 기자 나왔습니다.
00:056시 59분에 검찰청 폐지가 지금 확정이 됐습니다.
00:10이제 어떻게 되는 거예요, 국민 입장에서는?
00:12일반인들이 가장 많이 고소, 고발을 하는 사건들이 있습니다.
00:17절도, 폭행, 사기, 명예훼손, 그리고 성범죄.
00:22경찰에서 1차 수사를 하고 검찰이 2차 수사를 하는 사건들인데요.
00:26점점 처리가 늦어질 수밖에 없다는 관전이 나옵니다.
00:30절도, 폭행, 사기, 이런 것도 정말 우리 근처에서 흔히들 일어나는 것들인데 당장 내일부터 문제가 될 수 있는 겁니까?
00:39실제 검찰 폐지까지 남은 시간이 1년입니다.
00:43바꿔서 말하면 1년 안에는 수사를 해야 되는 건데요.
00:46문제는 올해 말 또는 내년 상반기 고소고발장이 들어오는 사건들부터입니다.
00:52수사할 시간이 줄어든 상황에서 검사가 결론을 내지 못할 사건을 손대기가 어려워지는 겁니다.
00:59그것도 그렇지만 기업 사건이나 흔히 말하는 부정부패, 정치인 사건, 이 부분도 처리가 영향을 미칠까요?
01:06법률가인 검사들이 수사를 잘할 수밖에 없는 사건들도 있습니다.
01:10증권 범죄, 기업 비리, 기술 유출, 공정거래 사건이 대표적인데요.
01:16내사 단계를 포함해서 1년 넘게 수사가 이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01:19내년 9월까지 카운트다운이 시작되면 이런 복잡한 사건은 아예 시작할 엄두를 못 내는 겁니다.
01:26벌써 검찰청엔 이 수사 자제령이 내려졌다고요?
01:29네, 맞습니다.
01:30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지난 7월 공직자, 기업에 대한 과잉 수사를 자제하라 이런 취지로 지시를 했습니다.
01:37여기에 검찰 폐지라는 시간적인 제약까지 더해지면서 일부 검찰청에서는 이미 압수수색을 자제하라 이런 지시가 내려가고 있다고 합니다.
01:46검찰이 대기업이나 권력자 비리를 수사하는 장면, 앞으로는 보기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01:52그래요, 참.
01:54수사는 그렇다 치고 이미 기소돼서 재판 중인 것들도 있잖아요.
01:58그런 것도 좀 영향을 미쳐요.
01:59네, 1심 재판이 한참 진행 중인 사건들을 생각해보면요.
02:03법정에 들어가서 변호사를 상대하는 건 검사들입니다.
02:06그런데 중간에 검찰이 폐지될 경우 검사들이 그대로 공소청으로 넘어가면 괜찮겠지만요.
02:13검찰청에서 공소청으로 소속이 바뀌는 과정에서 담당 검사가 교체가 된다면 사건을 잘 모르는 검사들이 재판을 맡게 됩니다.
02:21중요한 사건일수록 대형 로펌에서 전문성을 쌓은 변호사들이 선임이 되는데요.
02:26벌써부터 중요 사건 무죄율이 올라갈 거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02:29이것도 주목이 되던데 법무부가 남은 1년 동안 검찰은 선거 관련해서 수사하지 말라고 했다고요?
02:37네, 경찰이 잘하는 수사도 있지만요.
02:40우리나라 선거법은 워낙 복잡해서 검사들도 노하우가 있는 면면만 제대로 처리할 수 있는 분야가 바로 선거범죄인데요.
02:48내년 6월 3일 전국 동시지방선거가 예정돼 있는 상황에서 검찰이 빠지는 겁니다.
02:53그만큼 선거범죄 처벌 공백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02:57앞으로 1년을 살펴봤고 1년이 지날 경우에는 아예 폐지가 돼요.
03:02그럼 국민들 입장에서, 일반인들 입장에서는 뭐가 제일 달라지는 거예요?
03:06일단 고소장을 어디에 낼 것이냐, 시작부터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03:112020년 수사권 조정 전까지 단순한 구조였던 게요.
03:16공수처가 설립되면서 변화가 생겼습니다.
03:18그런데 검찰 폐지 이후엔 중수청까지 생기죠.
03:21그림을 보시면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기조차 힘든 아주 복잡한 구조로 바뀌게 됩니다.
03:28지금까지는 검찰에 고소장을 내면 검사가 알아서 처리를 해줬는데,
03:32이 역할을 피해자가 선임한 변호사가 대신해야 될 거고요.
03:36그만큼 비용을 부담하게 될 거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03:39앞으로 1년 동안 철저히 살 따져봐야 될 게 많은 것 같아요.
03:43김지훈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03:45김지훈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03:51김지훈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