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5주 전


[앵커]
한 인기 유튜버가 '우리나라 빵 값이 너무 비싸다'며 990원 짜리 빵을 파는 팝업 베이커리를 열었다가 뜨거운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빵집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임대료, 관리비, 재료비를 감안하면 원가도 안 나오는 가격인데, 마치 폭리를 취하는 것마냥 몰아간다"면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김설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사람들이 통제선을 따라 길게 줄을 섰고, 한쪽에 마련된 대기석도 이미 만석입니다.

일부 인기 빵들은 일찌감치 동이 나 진열대가 텅 비어있습니다.

빵 판매가 시작된 지 3시간이 넘은 지금, 예약 대기를 해보니 700번대 입니다.

몰려드는 사람들로 구매 가능한 빵 개수는 1명 당 3개로 제한됐습니다.

유명 경제 유튜버가 요즘 빵값이 비싸다며 초저가 빵을 파는 팝업 스토어를 열자 사람들이 몰려든 겁니다.

소금빵과 베이글, 바게트는 990원으로 시중가격의 절반도 되지 않습니다.

산지 직송으로 원가를 낮추고 인건비 절감을 위해 빵 모양을 단순화하는 전략을 썼습니다.

'빵플레이션' 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할 만큼 최근 빵값 상승세가 가파른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김석현 / 서울 광진구]
"다른 빵집들이 좀 많이 비싸다는 생각을 하던 찰나에 맛있고 저렴한 빵을 판다는 말을 듣고 여기 왔습니다."

하지만 제빵업계는 불가능한 가격을 제시해 자영업자들이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고 반발합니다.

[이현준 / 베이커리 사장]
"원가가 1천원을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요. 밀가루도 다 수입해 들어오고 버터도 다 수입이고요.

빵에 들어가는 재료 대부분이 수입이고 임대료, 인건비, 복잡한 유통구조까지 고려하면 현실성이 없다는 겁니다.

해당 빵집은 단기간 운영되는 기획성 가게이지만, 향후 빵값 논란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됩니다.

채널A 뉴스 김설혜입니다.

영상취재: 채희재
영상편집: 이승근



김설혜 기자 sulhye87@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한 인기 유튜버가 우리나라 빵값이 너무 비싸다며 990원짜리 빵을 파는 팝업 베이커리를 열었다가 뜨거운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00:09빵집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임대료, 관리비, 재료비를 감안하면 원가도 안 나오는 가격인데
00:16마치 폭리를 취하는 것 마냥 몰아간다면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00:21김서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00:22사람들이 통제선을 따라 길게 줄을 섰고 한쪽에 마련된 대기석도 이미 만석입니다.
00:32일부 인기 빵들은 일찌감치 동이나 진열대가 텅 비어 있습니다.
00:38빵 판매를 시작한 지 3시간이 지난 지금 예약 대기를 해보니 700번대입니다.
00:43몰려드는 사람들로 구매 가능한 빵 개수는 1인당 3개로 제한됐습니다.
00:48유명 경제 유튜버가 요즘 빵값이 비싸다며 초저가 빵을 파는 팝업 스토어를 열자 사람들이 몰려든 겁니다.
00:58소금빵과 베이글, 바게트는 990원으로 시중가의 절반도 되지 않습니다.
01:05산지직송으로 원가를 낮추고 인건비 절감을 위해 빵 모양을 단순화하는 전략을 썼습니다.
01:12빵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할 만큼 최근 빵값 상승세가 가파른 상황에서
01:17소비자들은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01:29하지만 제빵업계는 불가능한 가격을 제시해
01:32자영업자들이 풍리를 취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고 간발합니다.
01:36원가가 천 원이 넘어가는 기본가 많아요.
01:39밀가루도, 우리나라 밀가루는 다 수입이 들어오고
01:42버터도 다 수입이고요.
01:44빵에 들어가는 재료 대부분이 수입이고
01:48임대료, 임건비, 복잡한 유통구조까지 고려하면
01:51현실성이 없다는 겁니다.
01:54해당 빵집은 단기간 운영되는 기획성 가게지만
01:57향후 빵값 논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02:02채널A 뉴스 김선희입니다.
02:14구독과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02:15구독과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02:19ко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