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세종시에서 집중호우에 40대 남성이 실종된 사실을 23시간 동안 재난 당국이 파악하지 못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세종시와 세종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 17일 오전 2시21분쯤 40대 남성 A씨가 세종시 어진동 다정교 아래 제천에서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 당시 세종시 재난안전대책본부(재대본)는 17일 오전 1시10분을 기해 비상대응을 2단계로 격상하고 재난 상황 관리를 위해 상황판단 회의를 개최했다.
 
하지만 경찰은 사고 발생 23시간이 지난 18일 오전 1시41분이 돼서야 폐쇄회로TV(CCTV)를 통해 A씨가 급류에 휩쓸려 떠내려간 것을 확인했다. 경찰은 공식 실종신고 내용을 소방본부 측에 전파하며 공조 요청을 했고, CCTV를 통해 확인한 수난사고 발생 사실도 공유했다. 그러나 18일 오전 9시 세종시 재대본이 작성한 호우 대처 보고 자료엔 관내 실종자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기재됐다.
 
관련기사 “각목·대나무로 실종자 수색” 동시다발 수해, 장비도 없다 호우 경보에도 환불 안돼…캠핑장 ‘안전불감증’ 논란 [사진] 팔당호 뒤덮은 쓰레기 [사진] 산청 수해현장 찾은 이 대통령 세종시는 “소방본부가 18일 오전 2시2분 재대본에 보고할 당시 ‘회식 후 실종사건’으로 전달해옴에 따라 재난 피해가 아니라고 판단해 인명 피해 상황으로 접수·관리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용산 대통령실은 21일 “대통령실이 철저한 대응을 주문했음에도 세종시에서 실종 시민을 23시간 동안 경찰과 소방 당국, 지자체 재난 지휘부가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며 “심각한 공직 기강 해이나 잘못이 발견된다면 엄정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21일 오후 2시19분쯤 세종동 금강교 인근 수풀에서 시신 1구가 발견됐다. 경찰은 시신의 인상착의가 실종자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고 지문 채취, 유전자정보 검...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3250?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국지성 폭우가 일반화된 만큼 지역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대책이 시급합니다.
00:08대통령실이 철저한 대응을 주문했음에도 세종시의 경우는 급류 실종 시민을 무려 23시간 동안
00:18경찰과 소방당국, 지자체 재난지휘부가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00:24경찰이 소방본부 사고 상황을 전파했음에도 세종시의 재난컨트롤타워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00:33사고 자체를 한참 늦게 인지했고 제대로 보고하지도 않았습니다.
00:40만약 심각한 공직기강 해의나 잘못이 발견된다면 엄하게 책임을 묻고 철저한 재발방지 대책을 강구할 것입니다.
00:50재난은 정쟁의 대상이 아닙니다.
00:53여야정이 함께 재난 극복의 총력을 다해야 합니다.
00:58공직자의 가장 중요한 책무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이름을 행동으로 증명하겠습니다.
01:05이상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