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오늘


고위급 인선 마무리… 위성락 등 잇단 방미
한미 재무·통상 수장 '2+2 고위급 협의체' 재가동
'관세·비관세·안보' 패키지 고려한 다채널 협상 총력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자,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이 집값만큼이나 이 정부의 마음을 애타게 하는 게 하나 더 있죠.
00:06바로 미국과의 관세 협상입니다.
00:09정부는 통상과 안보를 아우르는 패키지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00:16저는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이 관세, 비관세 장벽을 중심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데
00:25우리가 그동안 제기한 사안들은 통상이나 투자, 구매, 또 안보 관련 전반에 걸쳐 망라가 돼 있기 때문에
00:37이러한 패키지를 종합적으로 감안해서 앞으로 협의를 진전시키자고 했습니다.
00:45한미 관세 협상의 종료 시한이 오늘로 이제 딱 11일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00:51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다시 미국으로 달려갔다는 소식이 지금 언론을 통해서 전해지고 있는데
00:58관세 협상에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잘 진행이 되고 있는 걸까요?
01:02지금 어떻게 예상하고 계세요?
01:04저희가 소비 쿠폰에 관심을 갖다 보니까 가장 중요한 관세 협정에 대한 부분들을 조금 놓치고 있었던 게 아닌가 싶습니다.
01:12말씀하신 것처럼 11일 남았습니다.
01:14불과 2주도 안 남은 그런 상황이다라고 말씀을 좀 드릴 수 있겠는데
01:17일단 지금 현재 위성락 실천 같은 경우는 미국으로 달려갔고 그전에 실무자들도 현재 지금 미국에 당도해 있는 상황입니다.
01:25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현재 지금 구윤철 부총리 겸 재정기획부 장관이 선출이 됐고요.
01:31그다음에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같은 경우는 인선이 됐기 때문에
01:35이 두 분이 22일 날 미국으로 출국할 것으로 현재 지금 알려지고 있습니다.
01:40현재 미국에는 통상교섭본부장이라든지 조현 외교부 장관이 이미 미국에서 이것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01:46실질적으로 이번에 우리의 실무 장관급들이 다 도미함으로써
01:52마지막 단판 무대가 될 것이다라는 것이 현재 지금 전반적인 기대감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죠.
01:58문제는 이제 우리가 어떤 전략을 펼치느냐라는 부분들인 것 같습니다.
02:02일단 정부의 최우선 목적은 관세 인하 폭을 크게 인하시키는 것이 방법이고요.
02:09또 한 가지는 비관세 장벽에 대한 부담, 철관 관세라든지 자동차 관세라든지
02:15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고율 관세를 좀 낮추는 부분들이 돼 있다라는 부분들이고요.
02:20마지막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우리가 안보 분야에 있어서 한미 간에 서로 윈윈할 수 있는
02:25그런 협상 구도를 마련하겠다라는 겁니다.
02:27물론 미국이 밝히고 있는 여러 가지 부분들도 있습니다.
02:30농축산물이라든지 온라인 플랫폼 규제 완화라든지 구글 지도라든지 이런 부분들도 있긴 하겠습니다만
02:36이번에 박미를 통해서 불과 남은 열흘 사이에 미국과 우리와의 단판이 이루어짐으로써
02:45실질적인 관세 협정이 조만간 마무리 국면으로 전환되기를 기대한다 이렇게 좀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02:51알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워낙 또 농산물 쌀 가지고도 지금 소고기도 물로 마찬가지고요.
02:59우리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글쎄요. 우리가 잘 대응을 해야 될 준비를 해야 될 날 이제 11일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03:06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마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