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지난달 발표된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규제 지역 아파트 전셋값이 크게 올랐습니다.

전세 수요는 늘었지만, 공급은 줄어들기 때문인데 내년까지 전세난이 장기화할 거란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 대책' 한 달 만에 아파트 전셋값 상승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대책 시행 전후 한 달을 비교해보니 해당 지역 전셋값 상승률은 2%대에 달했습니다.

같은 기간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과 비교하면 서울의 경우 두 배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전셋값이 오르는 건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 때문입니다.

강력 규제로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크게 줄면서 매매에서 전세로 주택 수요가 옮겨 갔지만, 공급 물량은 점점 부족해지고 있습니다.

임대차 보호법 시행으로 전세계약 갱신이 늘어난 데다가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는 전세를 낀 매매, 이른바 '갭 투자'가 차단돼 매물이 급감했습니다.

[박 원 갑 /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 토지거래허가구역에 직접 살아야 하니 전세 시장에 유통 매물이 줄어드는 게 문제라고 볼 수 있는데요, 내년에는 입주 물량도 줄어서 전세시장 불안이 좀 더 심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내년 서울의 신축 아파트 입주 예정물량은 2만9천 가구로, 올해보다 30% 넘게 줄어든 수준입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내년 전셋값 상승률을 4%로 전망했는데 현실화한다면 지난 2021년 기록한 5.1% 이후 최대 상승 폭입니다.

전세난 장기화 가능성에 최근엔 월세마저 덩달아 치솟고 있습니다.

지난달 서울 주택 월세는 한 달 전보다 0.53% 오르며 통계작성 이래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부동산 대책 여파로 전·월세 시장이 모두 흔들리며 무주택자의 주거불안 우려는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YTN 김태민입니다.

영상편집 : 서영미
디자인 : 정민정



YTN 김태민 (tm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1123224829954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지난달 발표된 11호 부동산대책 이후 규제지역 아파트 전셋값이 크게 올랐습니다.
00:06전세 수요는 늘었지만 공급은 줄어들었기 때문인데 내년까지 전세난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00:14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00:19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대책 한 달 만에 아파트 전셋값 상승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00:29대책 시행 전후 한 달을 비교해보니 해당 지역 전셋값 상승률은 2%대에 달했습니다.
00:34같은 기간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과 비교하면 서울의 경우 2배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00:40전셋값이 오르는 건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 때문입니다.
00:44강력 규제로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크게 줄면서 매매에서 전세로 주택 수요가 옮겨갔지만 공급 물량은 점점 부족해지고 있습니다.
00:53임대차 보호법 시행으로 전세계약 갱신이 늘어난 데다가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는 전세를 낀 매매, 이른바 갭투자가 차단돼 매물이 급감했습니다.
01:03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는 직접 살아야 하니 전세시장의 유통매물이 줄어드는 게 문제라고 볼 수 있는데요.
01:13내년에는 입주 물량도 줄어서 전세시장 불안이 좀 더 심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01:19내년 서울의 신축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2만 9천 가구로 올해보다 30% 넘게 줄어든 수준입니다.
01:28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내년 전셋값 상승률을 4%로 전망했는데 현시로 한다면 지난 2021년 기록한 5.1% 이후 최대 상승폭입니다.
01:38전세난 장기화 가능성에 최근엔 월세마저 덩달아 치솟고 있습니다.
01:41지난달 서울주택 월세는 한 달 전보다 0.53% 오르며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01:48부동산 대책 여파로 전월세 시장이 모두 흔들리며 무주택자의 주거불안 우려는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01:55YTN 김태민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