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1주 전


[앵커]
저는 몰랐습니다.

수출용 김치에 적인 배추의 원재료명이 '차이니즈 캐비지' 였다네요. 

이제는 중국 배추 아닌, '김치 캐비지'로 표기가 가능해졌습니다. 

세계 규격에 당당하게 이름을 올리며 김치 종주국의 위상을 인정받게 됐습니다. 

오은선 기자입니다.

[기자]
한 외국인 유튜버가 직접 김치를 만들면서 배추를 '중국 배추'라고 소개합니다.

[현장음]
"가장 먼저, 준비한 를 소금에 잘 절여줍니다."

일본에서 판매한는 김치 제품에도 '중국 배추'가 적혀 있습니다.

김치에 사용하는 배추의 공식 영어 명칭이 차이니즈 캐비지, 중국 배추이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외국에 수출하는 김치의 원재료명에는 배추의 공식 명칭인 '차이니즈 캐비지'로만 적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김치 캐비지', 즉 김치 배추로 표기할 수 있게 됐습니다.

정부가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총회에서 김치의 세계 규격에 '김치 캐비지'를 추가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김치 종주국으로서 한국의 위상이 국제 규범에 반영된 겁니다. 

이번 결정으로 앞으로 수출용 제품 라벨을 만들 때 한국산 원재료 표기를 명확히 할 수 있게 됐습니다.

[배성윤 / 서울 서대문구]
"차이니즈 캐비지라고 표기 됐을 때는 외국 사람들이 아 이게 중국의 파오차이라고 오해를 할 수 있다."

정부는 국내 농가와 가공업체의 김치 수출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채널A 뉴스 오은선입니다.

영상취재:정기섭
영상편집:이혜리


오은선 기자 onsun@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저는 몰랐는데요. 그동안 수출용 김치에 배추의 원재료명이 차이니지 캐비지로 적혀있었다네요.
00:08이제는 중국 배추가 아닌 김치 캐비지로 표기가 가능해졌습니다.
00:13세계의 규격에 당당하게 이름을 올리면서 김치 종주국의 위상을 인정받게 됐습니다.
00:18오은선 기자입니다.
00:21한 외국인 유튜버가 직접 김치를 만들면서 배추를 중국 배추라고 소개합니다.
00:30일본에서 판매하는 김치 제품에도 중국 배추가 적혀있습니다.
00:37김치에 사용하는 배추의 공식 영어 명칭이 차이니지 캐비지, 중국 배추이기 때문입니다.
00:44지금까지 외국에 수출하는 김치의 원재료명에는 배추의 공식 명칭인 차이니지 캐비지로만 적을 수 있었습니다.
00:51하지만 앞으로는 김치 캐비지, 즉 김치 배추로 표기할 수 있게 됐습니다.
00:55정부가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총회에서 김치의 3개 규격에 김치 캐비지를 추가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01:05김치 종주국으로서 한국의 위상이 국제규범에 반영된 겁니다.
01:10이번 결정으로 앞으로 수출용 제품 라벨을 만들 때 한국산 원재료 표기를 명확히 할 수 있게 됐습니다.
01:16중국은 국내 농가와 가공업체의 김치 수출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01:32채널A 뉴스 오은선입니다.
01:46한국산 원재료 표기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