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43수능 끝나면 그동안 수험생들 고생했다고 엄마 아빠가 애 데리고 고기라도 좀 먹이고 그럴 분들 많으시죠.
00:52할아버지 할머니가 또 우리 손주 고생했다고 고기 사줄 그럴 자리가 오늘 밤에 있으실 겁니다.
00:58그런데 문제는 요즘 연말이 가까워 오는 이 시점에 소고기 값이 심상치가 않다는 겁니다.
01:07국산 소고기 안심 가격은 100g에 14,396원.
01:14이게 어느 정도 수준이냐면 전년과 대비해서 10% 이상 오른 수준입니다.
01:19자 그러면 한우는 너무 비싸니까 미국산이나 호주산이라도 먹자.
01:26그런데 이것도 또 미국산 소고기 역시도 가격이 평년 대비 20%가 넘게 올랐습니다.
01:34냉동 갈비 기준 100g에 4,490원.
01:39전년 대비 5% 상승했고요.
01:41평년과 비교하면 20% 가까이 비싼 겁니다.
01:44한우는 원래 비싸고 미국산은 엄청 올랐고 이제 연말 회식 때 소고기는 포기해야 되는 건가요?
01:53왜 이렇게 비싼 거예요, 소고기가?
01:56일단 지금은 공급이 상당히 부족해요.
01:59공급 부족이요?
02:00네.
02:00이제 공급이라고 하면 도축 마리수가 많이 줄었기 때문에.
02:04이게 우리나라만의 얘기인가요?
02:05전 세계적인가요?
02:06일단 한우만 놓고 보면 상당히 많이 줄었고 외국 같은 경우도 도축 마리수가 줄은 요인도 있고 이제 외국산 수입 소고기 같은 경우는 환율 부담까지도 여기 얹어지기 때문에 최근에 좀 가격이 많이 오른 측면이 있는데 일단 한우만 놓고 본다면 수요 예측에 좀 실패한 부분이 분명히 있어요.
02:242020년, 2021년 이때 많이 늘렸거든요.
02:28입식도 많이 늘렸고 사육 마리수도 많이 늘었고 그래서 도축 마리수도 많이 늘렸는데 사실 수요가 거기 따라가지 못했단 말이죠.
02:37그래서 2023년부터는 다시 도축 마리수를 줄이기 시작했어요.
02:42그런데 이게 반도체 같은 것처럼 그때그때 수요에 따라서 바로바로 조절할 수 있는 게 아니라.
02:47그렇죠.
02:47이제 소라는 게 이제 입식부터 실제 휴가까지.
02:50기간이 필요하잖아요.
02:512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단 말이죠.
02:53그러니까 그 기간 안에 수요 예측을 맞추는 게 쉽지는 않은데 지금은 정반대로 가고 있죠.
02:58보통은 수요와 공급이 만나야지 적정선이 만들어지는데 지금은 수요가 올라가는데 공급이 부족하니까 가격이 계속해서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상황인 거고.
03:11이게 이제 앞으로 좀 다시 정상적으로 돌아오려면 시간이 필요할 것 같아요.
03:16말씀드린 것처럼 도축 마리수를 다시 늘리려면.
03:18또 2년이 필요한 거잖아요.
03:19좀 시간이 지금 늘리고 있는데 아무래도 올해 연말까지는 계속해서 한우 가격 그리고 수입 소고기 가격이 올라가고 상당히 부담을 안고 드셔야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요.
03:32특히 한우 같은 경우는 경기에 따라서 또 이 소비량이 좀 왔다 갔다 하거든요.
03:36아니 소비 쿠폰 발행돼서 그걸로 소고기 드시는 분들 많았거든요.
03:40요즘에 그 말씀 드리려고 한 건데 소비 쿠폰도 발행이 되고 요즘에 또 경기가 조금 좋아진다고 하니까 한우 소비도 조금씩 늘어나는데 공급이 지금 줄잖아요.
03:50그러니까 가격이 조금 더 탄력적으로 오르는 그런 경향을 보이는 거죠.
03:54그렇군요.
03:55그렇다고 해서 또 뭐 돼지고기 먹으려고 해도 돼지고기도 요즘 또 그렇게 싸지도 않더라고요.
04:01내년에나 마음 놓고 소고기 먹을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04:05자 그리고요.
04:07이제 연말 하면 또 크리스마스 다가오죠.
04:10크리스마스 때 또 많은 분들이 케이크도 삽니다.
04:16내가 집에 가져가려고 케이크를 사기도 하고 또 누구 선물하려고 사기도 하고요.
04:21또 디저트로도 아주 인기죠.
04:23파티 때는 또 연말 파티 때는 케이크 하나씩은 꼭 다들 준비를 합니다.
04:28그런데 이 케이크 디저트 가격이 엄청 올랐다는 겁니다.
04:35이건 물론 특별한 경우 심지어 이런 경우도 있다라고 저희가 준비를 한 건데
04:41A호텔의 케이크가 38만 원입니다.
04:46B호텔의 케이크 30만 원입니다.
04:50또 다른 세 번째 C호텔의 케이크 제일 싼 게 8만 원
04:5414만 원까지 한다고 합니다.
04:59예술제품도 하니까
05:01저는 동네 파리 뭐 어쩌고 하는 빵집
05:08거기서 2만 4천 원 정도면
05:12저는 여태까지 그런 케이크만 주로 사와봤는데
05:1638만 원짜리 케이크는 뭐가 다른가요?
05:20일단 뭐
05:21보신 적 있으세요?
05:23아니요. 본 적 없어요.
05:24그래요?
05:24사실 지금 처음 접했고요.
05:27가격이 올랐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05:28저렇게 실제로 본 건 처음입니다.
05:31예쁘긴 예쁜 것 같네요.
05:32뭔가 고급스러운 시장도 하고 해서 가격이 좀 더 비싼 것 같은데
05:37아까 동네 제과점 말씀하셨잖아요.
05:392만 원대 말씀하셨잖아요.
05:42요즘에 2만 원대 케이크도 보기 쉽지 않아요.
05:44아, 그래요?
05:452만 원대 케이크이면 아마 크기가 조금 작을 겁니다.
05:48아니면은 아주 기본 케이크.
05:49할인 쿠폰 받아갖고
05:51그런 것 좀 해서 한 3, 4천 원 깎아서 사거든요, 저는.
05:54많이 올랐어요, 정말.
05:56동네 가장 대중적인 프랜차이즈 제과점에서 사도
05:59만약에 4인 가족이 드시려면 3만 원대 케이크는 요즘에는 사야 돼요.
06:04그리고 이제 걱정이 연말 성수기가 되면 연말 프리미엄도 여기에 붙어서
06:09가격이 조금 더 오르는 경향들이 있거든요.
06:12그만큼 지금 디저트 가격이 너무 많이 올랐습니다.
06:17그래서 일각에서는 디저트 인플레이션 이런 얘기도 하죠.
06:20디저트플레이션이요?
06:22디저트 인플레이션.
06:23디저트플레이션이 디저트 값이 너무 많이 올랐다.
06:26네, 딱 나오네요.
06:28왜 이렇게 오를까?
06:29사실 지금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요인이 하나도 없어요.
06:35특히 이제 이 디저트의 원재료는 다 수입산이거든요.
06:39대부분 그렇죠.
06:40밀가루부터 초콜릿 이런 것들 다 수입을 해야 설탕까지 마찬가지고요.
06:45그런데 최근에 이 원산지에서도 가격이 많이 오른 데다가
06:49환율도 많이 올랐기 때문에 들어올 때 조금 더 우리가 부담을 안고
06:53들어오는 측면이 있어서 디저트 가격이 연말되면 어디까지 오를지 정말 알 수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