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낙찰 업체 아닌 제3의 다른 업체가 공사 진행
"국과수 결과 등 확인…화재 원인 시간 더 걸릴 것"
소방청 업무포털 등 일부 행정정보시스템 정상화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수사 중인 경찰이 배터리 이전 작업 과정에서 불법 하도급 정황을 포착했습니다.

이전 설치 경험이 없었던 업체가 작업을 맡았고, 절연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등 주의 의무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김기수 기자입니다.

[기자]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배터리 이전 작업 과정에서 불법 하도급이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전기공사업법에 따르면 전기공사 수주업체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업체에 하도급을 줄 수 없습니다.

하지만 경찰 조사 결과 배터리 이전 작업을 낙찰받은 업체가 아닌 제3의 다른 업체가 공사를 진행한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처음 배터리 이전 작업을 수주를 받았던 업체 두 곳이 다른 한 업체에 하도급을 줬고,

이 하도급을 받은 업체가 또 다른 두 업체에 재하도급을 준 것입니다.

경찰은 이들 업체가 무정전·전원 장치. 즉, UPS 신규 설치 작업 경험은 있었지만, 이전 설치는 이번이 처음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조대현 / 대전경찰청 형사기동대장 : 해체하고 이전을 해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훨씬 더 위험성이 큰데 이 부분에 대해서 그러한 작업 경험이 많지 않기 때문에 공사하는 사람들이 조금 그 부분을 소홀히 대하지 않았나….]

여기에 작업자들이 부속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절연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등 주의 의무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찰은 정확한 화재 원인에 대해선 국과수 감정과 압수물 분석 결과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장애가 발생한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가운데 소방청 업무포털과 국립보건연구원 대표 홈페이지 등이 정상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복구에 속도를 내고 있음에도 복구율은 60%대에 머물러 완전 정상화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상황입니다.

YTN 김기수입니다.

영상기자: 권민호
영상편집: 원인식
디자인: 정하림




YTN 김기수 (energywat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1022190315603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불러온 국정자원 화재를 수사 중인 경찰이
00:05배터리 이전 작업 과정에서 불법 하도급 정황을 포착했습니다.
00:10이전 설치 경험이 없던 업체가 작업을 맡았고,
00:13절연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등 주의 의무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00:18김기수 기자입니다.
00:22대전 국가정보자원 관리원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배터리 이전 작업 과정에서
00:27불법 하도급이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00:30정기공사업법에 따르면 정기공사 수주 업체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00:35다른 업체의 하도급을 줄 수 없습니다.
00:37하지만 경찰 조사 결과 배터리 이전 작업을 낙찰받은 업체가 아닌
00:41제3의 다른 업체가 공사를 진행한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00:45처음 배터리 이전 작업을 수주받았던 업체 두 곳이 다른 한 업체의 하도급을 줬고,
00:50이 하도급을 받은 업체가 또 다른 두 업체에 재하도급을 준 겁니다.
00:54경찰은 이들 업체가 무정전 전원장치, 즉 UPS 신규 설치 작업 경험은 있었지만
01:00이전 설치는 이번이 처음이었다고 밝혔습니다.
01:03해체하고 이전을 해야 되는 작업이기 때문에 훨씬 더 위험성이 큰데
01:08이 부분에 대해서 그러한 작업 경험이 많지 않기 때문에
01:14공사하는 사람들이 조금 그 부분을 소홀히 대하지 않았나.
01:18여기에 작업자들이 부속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절연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등
01:23주의 의무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01:27경찰은 정확한 화재 원인에 대해선 국과수 감정과 압수물 분석 결과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01:32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대답했습니다.
01:36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장애가 발생한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가운데
01:40소방청 업무 포털과 국립보건연구원 대표 홈페이지 등이 정상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01:45하지만 정부가 복구의 속도를 내고 있음에도 복구율은 60%대에 머물러
01:50완전 정상화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상황입니다.
01:54YTN 김규수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