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서은숙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죠.지난달 원화 가치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율 변동은 우리 물가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실제로 외식 가격도, 기름값도 치솟고 있습니다.서은숙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와 알아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최근에 코스피가 고공행진을 하다가 조정을 받는 국면이 역력해지는 것 같아요. 지금은 AI 버블론이라든지 금리를 낮추지 못할 것이라든지 여러 가지 우려들이 섞이면서 조정을 받는데 지금 상황을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서은숙]
일단은 조정 장세라고 시장에서는 지금 분석을 하고 있는데요. 여러 가지 이유들이 존재를 합니다. 일단 그래픽을 한번 보실까요? 보시면 10월 27일 사상 최초로 4000포인트를 넘어섰단 말이에요. 그러고 난 다음에 11월 3일 4221포인트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어요. 그리고 불과 3주 만에 3853포인트, 그러니까 11월 21일이었죠, 지난 금요일. 급락을 했습니다. 368포인트, 약 8.7%가 빠진 거죠. 방금 말씀하신 것처럼 이유가 세 가지 정도로 좁혀지고 있는데요. 첫 번째도 AI버블론이 다시 재점화됐습니다. 11월 20일날 미 연준의 리사 쿡이라는 이사가 고평가된 자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증가했다고 언급을 했어요. 이날 사실 엔비디아의 실적이 발표됐거든요. 그런데 사실 엔비디아 자체 실적이 나쁜 게 아니고 엔비디아가 가지고 있는 회계상 매출 채권에 대한 규모가 굉장히 크게 증가했어요. 작년 대비해서 100% 정도 급증했거든요.


제품은 팔았지만 돈을 아직 받지 못했다는.

[서은숙]
네, 외상 매출죠. 이걸 두 가지 정도로 우리가 볼 수 있는데 보통 이렇게 외상 매출이 갑자기 급증할 때는 어떻게 보면 실적을 부풀린 게 아니냐라는 의심도 있을 수 있고 두 번째 훨씬 더 중요하게 보는 것 중 하나는 엔비디아의 GPU 칩이라든가 반도체 칩이 문제가 아니고 이 칩을 사용하는 AI 기업들, 그러니까 이 산업에서 과연 수지가 맞냐, 이런 이슈가 나타나기 시작한 거죠. 그래서 AI 기업들이 어느 정도...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1124072644079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죠.
00:03지난달의 원화가치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00:08환율 변동은 우리 물가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00:12실제로 외식 가격도 기름값도 치솟고 있습니다.
00:16서은숙 상병대 경제금융합보 교수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00:19어서 오십시오.
00:20안녕하세요.
00:21최근에 코스피가 고공행진을 하다가 조정을 받는 국면이 역력해지는 것 같아요.
00:27지금은 AI 버블론이라든지 금리를 낮추지 못할 것이라든지 여러 가지 우려들이 섞이면서 조정을 받는데
00:34지금 상황을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00:37일단은 조정 장세라고 시장에서는 지금 분석을 하고 있는데요.
00:42여러 가지 이유들이 존재를 합니다.
00:45일단 그래픽을 한번 보실까요?
00:47보시면 사실 10월 27일 사상 최초로 4천 포인트가 우리가 넘어섰단 말이에요.
00:53그러고 난 다음에 11월 3일 4,221포인트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어요.
00:59그리고 불과 3주 만에 지금 3,853포인트.
01:03그러니까 11월 21일이었죠.
01:04지난 금요일로 급락을 했습니다.
01:06368포인트, 약 8.7%가 지금 빠진 거죠.
01:10그러니까 방금 말씀하신 것처럼 EU가 한 세 가지 정도로 좁혀지고 있는데요.
01:17첫 번째가 AI 버블론이 다시 재점화됐습니다.
01:20그러니까 11월 20일 날 미국 연준의 리사 쿡이라는 이사께서 고평가된 자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증가했다라고 언급을 했어요.
01:32이날 사실은 엔비디아의 실적이 발표가 됐거든요.
01:36그런데 사실 엔비디아 자체의 실적이 나쁜 게 아니고 엔비디아가 가지고 있는 회계상 매출 채권에 대한 규모가 굉장히 크게 증가했어요.
01:46작년 대비해서 100% 정도 급증했거든요.
01:48그러니까 제품은 팔았는데 아직 돈을 받지 못했다는 뜻입니까?
01:51네, 외상 매출이죠.
01:52사실 이거를 두 가지 정도로 우리가 볼 수가 있는데 보통 이렇게 외상 매출이 갑자기 급증할 때는 사실 어떻게 보면 실적을 부풀린 게 아니냐라는 의심도 있을 수 있고요.
02:04두 번째 훨씬 더 중요하게 보는 것 중에 하나는 엔비디아의 GPU 칩이라든가 반도체 칩이 문제가 아니고
02:11이 칩을 사용하는 AI 기업들, 이 산업에서 과연 수지가 맞냐, 이러한 이슈가 나타나기 시작한 거죠.
02:20그래서 AI 기업들이 이제 생산성, 어느 정도 유지를 하지만 수지가 맞지 않는 것 때문에 오히려 주간 거래가 굉장히 급격하게 떨어졌거든요.
02:33나스닥 시장에서 그래서 글로벌 기술주들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지금 보이고 있어요.
02:38그래서 한국 반도체도 직격탄을 맞은 상태다라고 이제 보여지고요.
02:42두 번째가 외국인들이 이제 역대급으로 매도를 했잖아요, 지금.
02:47그래서 사실 환율이 이것 때문에 굉장히 많이 치솟고 있거든요.
02:51이렇게 많이 매도한 원인을 우리가 한번 봐야 되는데 이게 이제 가장 중요한 이슈라고 볼 수가 있는데요.
02:58어떻게 보면 연준의 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아진 것 때문입니다.
03:03사실 우리가 이제 12월 금리 인하 확률이 거의 100%였거든요.
03:09그런데 이제 이게 지금 11월 초 100%에서 30%까지 떨어졌다가
03:13지금 다시 이제 지난 주말에 뉴욕 연준 이사가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라는 언급을 하면서
03:21다시 70%까지 올라가긴 했는데
03:23미 연준 의장의 입장에서는 사실 금리를 인하시킬 만한 경제 지표들이 안 보인다라고 하는 거거든요.
03:31그리고 지금 이제 안개 속이다.
03:33안개 속에서는 어떻게 보면 속도,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면서 안전하게 가는 게 맞다라고 얘기를 한 게 있단 말이에요.
03:40그러다 보니까 여전히 금리 동결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요.
03:43금리가 인하하지 않는다는 것은 대부분 이제 돈을 빌려서 투자한 사람들 입장에서는
03:48우리가 이렇게 레버리지 투자라고 얘기를 하잖아요.
03:50이 투자를 한 사람 입장에서는 이제 대출한 거에 대한 비용 부담이 굉장히 압박이 오는 거죠.
03:57그래서 이거를 우리가 보통은 강제 청산 당한다라고 얘기하는데
04:00일시적으로 이제 청산하고 이제 가거든요.
04:04그러다 보니까 이게 동시에 이제 빠지는 굉장히 주식, 채권, 코인, 금
04:10이게 전부 다 동시에 다 빠지는 유동성 위기 조정 상태이다라고 우리가 보통 해석을 합니다.
04:16네, 외국인이 역대급 많이 팔면서 환율도 치솟고 있다라고 말씀을 하셨는데
04:21이렇게 보니까 지난달에 원화의 실질 가치가 금융위기 이후에 1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더라고요.
04:28네, 맞습니다.
04:29또 다른 배경을 짚어주신다네요.
04:30굉장히 이제 좀 심각한 상황이고 우리가 1,500원을 돌파할 가능성도 지금은 배제할 수 없다라고 얘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04:38그래서 우리가 이제 좀 봐야 될 거가 실질 실효 환율이에요.
04:43원달러 환율은 사실은 뭐 이렇게 지금 현재 11월 21일 다시 1,475.6건으로 급등하는 상황이 지금 발생을 했는데
04:52실질 실효 환율을 한번 보면은 실질 실효 환율이 뭐냐면요.
04:56물가와 교역국의 상황을 다 따진 한 나라의 화폐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거거든요.
05:01그래서 이제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이다, 1,500원이다 하는 거는 그냥 명목 가치를 나타내는 거고요.
05:07실질적인 이제 실효 환율 다시 말하면은 원화의 실제 가치, 구매력 이거를 보면은 이게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금융위기 때가 88.88이었거든요.
05:17이 이후에 16년 만에 최저 수준입니다.
05:20지금 정확히는 2009년 8월 이후에 최저 수준이라고 보여지는데요.
05:25이게 이제 왜 이렇게 원화의 가치가 그러니까 달러가 강세인 것도 있지만 원화의 가치 자체가 약세다, 약해졌다라고 보는 거죠.
05:34그래서 요거가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가 당연히 외국인들이 이렇게 굉장히 큰 규모로 매도를 하고 나가니까 단전히 환전 수요 급증이 있겠죠.
05:44그래서 외국인들은 한 달간에 15조, 한 7천억 원 정도를 순매도 했거든요.
05:50주식을 팔면 원화를 받잖아요.
05:52이걸 다시 달러로 바꿔서 본국으로 송금을 해야 되니까 원화 매도 압력이 굉장히 커졌다라고 얘기를 할 수가 있고요.
05:57두 번째는 이게 굉장히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인데요.
06:01예전에는 외국인들만 나갔다면 지금은 한국 투자자들도 같이 미국장으로 옮기고 있습니다.
06:07서학개미들.
06:08네, 서학개미들이죠.
06:09그래서 3분기, 올해 3분기에만 서학개미들과 기업들이 외국에 해외 투자로 내보낸 돈이 1,158억 달러예요.
06:19우리나라 돈으로 약 170조 원 정도가 됩니다.
06:22그러니까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900억 달러만 늘었어요.
06:27순유출이 258억 달러가 되는 거죠.
06:31우리가 3분기에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혹시 얼마인지 아세요?
06:35344억 달러거든요.
06:37이게 이제 우리나라 돈으로 약 49조 원에 달해요.
06:40예전 같으면 경상수지가 흑자이면 원달러 환율이 좀 안정이 되는 그런 걸 보였는데
06:45지금은 이거를 능가하는 훨씬 많은 우리 달러 수요가 굉장히 커지고 있기 때문에
06:52이게 어떻게 보면 원달러 환율을 계속 올리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고요.
06:58세 번째가 이제 한미금리 차이입니다.
07:00지금 한미금리가 뭐 지금 어쨌든 우리 3.754% 사이와 4%가 미국금리고
07:07우리가 2.5%잖아요.
07:10그래서 이게 이제 결국은 달러를 갖고 있는 것이 훨씬 더 이자를 많이 받는다는 생각 때문에
07:16달러를 계속 보유하려고 하는 추세가 굉장히 크거든요.
07:19원화가 인기가 이제 없어지는 거죠.
07:21사실 어떻게 보면은 자산으로서는 그래서 이런 것 때문에 원달러 환율이 굉장히 높아지고
07:27구조적으로도 어떻게 보면은 실효 환율 자체가 굉장히 떨어지고 있다라고 우리가 해석을 할 수가 있습니다.
07:34알겠습니다.
07:35원화가치가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07:36최근에 어떤 기업분을 만났는데 그분이 이런 말씀하시더라고요.
07:40관세 지났더니 이제는 환율이다.
07:42그래서 사업 계획을 못 짜겠다고 그런 말씀을 하시던데
07:45굉장히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07:46기업도 불확실하지만은 이런 환율의 변동은 사실 우리한테도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07:51최근에 기름값이 굉장히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데요.
07:56물가에도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되지 않겠습니까?
07:58당연히 이제 물가에 이제 지금 이제 환율을 지나서 이제 물가를 굉장히 걱정해야 되는 상황이라고 봐야 되겠죠.
08:06한국개발연구원이 발표한 내용에 보면은 분석이 환율이 1% 정도 오르면 소비자 물가가 0.04%포인트 정도 상승한다라고 지금 하고 있거든요.
08:16그래서 어떻게 보면 환율이 지금 약 9.3% 정도 급등했으니까
08:19단순 계산하면은 소비자 물가가 0.37% 정도 추가 상승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어요.
08:25지금 그래프에서 나와 있는데 수출이 물가 변화가 뚜렷하게 지금 보입니다.
08:30수출 물가가 10월에 4.1% 여기에서 지금 수입 물가는 10월에 1.9%로 상승했거든요.
08:38그래서 수출 물가가 5, 9월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한 거는 환율 효과가 어떻게 보면은 반영된 거다라고 볼 수가 있고요.
08:45특히 이제 수출 물가 같은 경우가 중요한 건 시차예요.
08:49어떻게 보면 환율 상승이 1개월에서 3개월 정도 시차를 두고 소비자 물가에 반영되는 그러한 특징을 갖고 있거든요.
08:57그래서 11월에 지금 환율 급등이 된 효과가 12월에 부터 시작해서 내년 2월까지 본격적으로 물가에 반영될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졌습니다.
09:06그래서 당장 올 겨울부터 장바구니 물가하고 난방비 등에서 고환율 청구서가 날아들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졌다고 봐야 되겠죠.
09:16아무래도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항목들이 많기 때문에 에너지도 그렇고
09:21그다음에 식료품도 대부분 원재료 같은 경우가 수입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잖아요.
09:26이런 것들이 결국은 외식 물가로 전부 다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리가 볼 수가 있습니다.
09:31물가는 수입 물가, 도매물가, 소매물가 이렇게 있는데 시차를 두고 이렇게 차례로 영향을 미치니까요.
09:38결국엔 소비자 물가까지 오게 될 것 같습니다.
09:40당장 지금 외식 메뉴 같은 것들 가격이 많이 올랐어요.
09:45가격 정보 포털 자료를 보니까요.
09:48칼국수 가격 엄청나게 많이 올랐네요.
09:50내용 어떻게 보셨습니까?
09:51우리가 보면 칼국수라고 하면 서민들이 가장 많이 먹는 편하게 사 먹을 수 있는 음식 중에 하나로 보잖아요.
09:58다시 얘기하면 만 원으로 사 먹을 수 있는 상품이 이제 점심, 이게 런치플레이션이라고 부르거든요.
10:04점심때 만 원으로 사 먹을 수 있는 항목들이 굉장히 많이 줄어들었다.
10:08그렇게 안 보이네요, 이제.
10:10그래서 서울에서도 이미 1만 원을 넘은 곳이 굉장히 많고요.
10:14칼국수 같은 경우에 4.91% 지금 증가한 걸로 나오지 않습니까?
10:18이게 이제 10년 전하고 비교하면 50.44%가 상승합니다.
10:222배 정도가 올랐다고 봐야 되는 거죠.
10:24이게 이제 어떻게 보면 왜 이렇게 오를까라고 하는 원인을 한번 살펴봐야 되는데
10:29첫 번째가 원재료 비용이 급증한 겁니다.
10:32조금 전에 설명드린 것처럼 원달러 환율이 굉장히 올라가면서
10:36밀가루 가격도 오르고 그다음에 들어가야 되는 에너지, 식용유, 전부 다 다 조미료, 이런 거 전부 다 수입품이 굉장히 많거든요.
10:45그러니까 이런 부분들이 전부 다 수입품목이다 보니까
10:47이게 환율 역량을 직접 받았다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10:51그래서 첫 번째가 원재료 비용 급증이고요.
10:55그다음에 인건비 부담이라든가 최저임금 오른 것도 역량을 좀 받았고요.
11:00그다음에 세 번째가 에너지 비용 상승도 역량을 받았다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11:05그래서 이게 이제 단순히 식당 주인들이 가격을 올리는 게 아니고
11:09고안율이 수입 물가를 밀어 올리고 있고
11:12이게 외식 물가로 좀 전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11:14라고 해석을 할 수가 있겠습니다.
11:16그래서 일만은 칼국수는 어떻게 보면 상징적인 숫자이고요.
11:22앞으로 환율 안정이 좀 선행되지 않으면
11:24외식 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를 거다라고 예측을 할 수가 있겠습니다.
11:29방금 짚어주신 것처럼
11:30앞으로 시차를 두고 서민 체감 물가 더 오를 거고
11:34또 원화 약세가 계속되면 이것도 분명히 물가에 영향을 줄 것이고요.
11:39연말 물가 어떻게 전망하세요?
11:40지금 조금 전에 이제 아까 설명을 드린 것처럼
11:44이게 시차를 두고 오르잖아요.
11:46환율이 오른 거가 수입 물가의 12월부터 시작해서
11:501월까지 지금 2월까지 11월에 급등한 환율에 영향을 받게 되어 있거든요.
11:56그러니까 당연히 지금보다 계속 물가가 올라갈 가능성이 굉장히 크겠죠.
12:01그래서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 자체가 굉장히 올라갈 걸로
12:06우리가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12:08알겠습니다.
12:08시중에 돈도 많이 풀려있다 보니까 물가가 비상이 아닐까 싶은데요.
12:13한국은행이라든지 우리 정부의 고심도 깊어질 것 같습니다.
12:16이번에는 다음 이슈 하나 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2:19최근에 많은 치탄을 받고 있는 기업이죠.
12:21홈플러스의 대주주주인, 사모펀드, MBK 파트너스.
12:25지금 금융당국에서 엄중한 조치를 하겠다, 제재를 하겠다, 중징계를 한다.
12:30이런 이야기가 들리는데 어떤 내용들 언급되고 있습니까?
12:32이게 이제 그래픽을 한번 보시면요.
12:35제재 절차가 이렇게 나와 있거든요.
12:37제재 절차를 한번 보시죠.
12:39제재 절차를 보면 금감원이 현장 검사를 하고, 그 다음에 징계안을 사전 통보하고, 그 다음에 금감원의 제재심의위원회가 열립니다.
12:47그리고 금융위의 증권선물위원회, 그 다음에 금융위의 정례회의 최종 확정 순서대로 진행이 되거든요.
12:54그래서 사실 사전 통보가 이루어지면 통상 한 달 내에 제재심이 열리게 되어 있습니다.
12:59그래서 중징계를, 직무 정지라고 하는 중징계를 사전 통보했잖아요.
13:05사실 직무 정지는 굉장히 큰 기간 전용 사모펀드에 대한 첫 중징계 사례다라고 우리가 볼 수가 있거든요.
13:13전례가 없는 예.
13:14전례가 없는 굉장히 강력한 조치예요.
13:16그래서 금융사 임원에게 직무 정지는 사실은 사형 선고나 다름이 없다라고 우리가 얘기를 할 수가 있죠.
13:23그런데 이렇게 강력한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있잖아요.
13:27MPK가 2015년에 홈플러스 인수하고 난 다음에 1조 원 이상을 배당으로 가져가고, 그 다음에 주요 점포 부동산을 매각을 했어요.
13:36단기 수익을 챙기면서 홈플러스 자체의 재무 악화는 굉장히 심화된 그러한 상태거든요, 지금.
13:43그래서 이번에 홈플러스를 사실은 매각하려고 하고 있는데, 인수 후고 두 곳의 재무 상태도 굉장히 안 좋은 상태예요.
13:50그래서 이게 홈플러스를 인수한 뒤에 자금을 회수하는 그러한 과정에서 불건전 영업 행위와 내부 통제 의무 위반 혐의를 포착했다라고 금감원은 지금 얘기를 하고 있고요.
14:03쉽게 말해서 MPK가 홈플러스에서 돈을 빼내면서 투자자들의 이익을 침해했다라고 우리가 볼 수가 있는 거죠.
14:10그래서 이런 것 때문에 지금 중징계를 사전 통보했고요.
14:15사실 이찬진 금감원장이 취임을 하면서 일성한 표현이 MBK 파트너스에 대한 엄중한 조치가 필요하다라고 얘기를 했고요.
14:24그래서 제재가 확장될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졌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14:29알겠습니다.
14:29막말로 대체 MBK 파트너스가 망치 회사가 한두 개냐라는 말이 나올 법도 한데.
14:34이게 사실은 어떻게 보면 국민연금하고 이게 전부 다 연결이 돼 있어요.
14:39그래서 국민연금이 MBK에다가 3천억 원을 출자를 했단 말이에요.
14:43그래서 이 징계가 확정되면 출자 철회를 해야 됩니다.
14:48국민연금의 어떻게 보면 수탁자 책임 때문에 당연히 철회를 해야 되는 상황이겠죠.
14:55그래서 투자자 이익이 우선이기 때문에 국민연금 같은 경우에는.
14:59그래서 출자의 철회 가능성이 큰데요.
15:02그래서 국민연금뿐만이 아니고 지금 다른 공공연기금들도 지금 돈을 투자하고 있는 상태거든요.
15:09그러면 아마 연세적으로 다 뺄 가능성이 굉장히 큽니다.
15:13그렇게 되면 사실 회생이 굉장히 불가능한 상황으로 이어지지 않을까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15:20알겠습니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15:22지금까지 서은숙 산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와 함께했습니다.
15:25잘 들었습니다.
15:26감사합니다.
15:26감사합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