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7주 전
군 당국이 최전방에 설치한 고정형 대북 확성기를 4일부터 전면 철거에 들어갔다. 지난해 6월 윤석열 정부가 북한의 오물풍선 도발에 대응해 확성기를 꺼낸 지 14개월 만이다. 이재명 정부는 출범 직후 확성기 방송을 중단했고, 이날 확성기까지 철거하면서 잇따라 대북 유화 메시지를 발신하고 있다. 다만 북한은 여전히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입장이라 향후 반응이 주목된다.
 

 ━
  軍 "긴장 완화 도움 되는 실질 조치"   
  국방부는 4일 “우리 군은 오늘부터 대북 확성기 철거를 시작했다”며 “이는 군의 대비 태세에 영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남북 간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 조치를 시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군 소식통들에 따르면 이번 철거는 최전방 군사분계선(MDL) 가까이에 설치했던 24개의 고정형 대북 확성기가 대상이다. 16개의 이동형 확성기는 지난해 말부터 사실상 운영하지 않았다. 이날부터 수 일에 걸쳐 모든 고정형 확성기를 뗀다는 게 국방부의 설명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북한과의 사전 협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앞선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때처럼 선제적으로 철거를 결정했다는 설명이다. 북한은 이날 오후까지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지 않은 상태다. 
 
앞서 이재명 정부는 출범 1주일 만인 6월 11일 오후 2시 부로 확성기 방송을 중단했다. 군 당국은 이 때부터 철거까지 검토해왔다고 한다. 대통령실은 방송 중단을 발표하며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중대한 도발이 없었던 상황에서 긴장 완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로 이번 결정을 내렸다”며...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6684?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우리군은 오늘부터 대북 확성기 철거를 시작하였습니다.
00:04이는 군의 대비태세에 영향이 없는 범위 내에서
00:06남북 간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조치를 시행하는 것입니다.
00:11북한은 대남 확성기를 재배치하고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00:16이번 대북 확성기 철거가 합의하에 이루어진 것인지
00:20아니면 우리 측의 선제적 조치인지 궁금합니다.
00:22북한과의 사전 협의는 없었습니다.
00:24북한이 방송을 다시 재개했다거나 이런 동향이 혹시 있었는지
00:29북한은 대남 확성기를 정비하는 모습들이 일부 있었고
00:37철거하는 모습은 없었습니다.
00:40방송을 잠깐 동안 지직 소리가 나긴 했으나
00:44그런 것들이 대남 방송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00:47정비 차원에서 점검을 하는 것으로 생각을 했고
00:53지금 우리가 먼저 철거 작업을 시작했기 때문에
00:57아직까지 북한군의 다른 동향은 없습니다.
01:00우리 대북 확성기 숫자하고 북한이 운영하는 대남 확성기 숫자가
01:05어느 정도 비례한다 정도의 수치로 혹시 이해하면 될까요?
01:09어느 정도 그쪽에서...
01:10비슷했는데 북한이 몇 개를 더 설치해서
01:13개수는 북한이 조금 더 많은 상태였습니다.
01:18말씀하시는 건 고정식 해당...
01:20총 합해서요.
01:21고정식 이동식 다...
01:22북한은 대부분이 고정식이고
01:23우리는 이제 고정형 이동형 기동형 이렇게 두 가지 종류가 있었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