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앵커]
와인의 본고장, 프랑스 파리의 식탁에 와인 대신, 초록병의 한국 소주가 놓였습니다.

K문화 인기에 힘입어, 우리 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세계를 가다, 파리에서 조은아 특파원이 전해드립니다.

[기자]
프랑스 파리 번화가 오데옹역 근처의 한 식당.

젊은 층부터 중년 남성들까지 모인 테이블에 초록색 병이 놓여 있습니다.

바로 한국 술, 소주입니다.

식당 홀에도 복숭아맛, 자몽맛 등 다양한 소주가 가득합니다.

최근 파리에서 이른바 '핫 플레이스'로 떠오른 '소주 바'입니다.

수저 세트부터 한국 술 광고가 인쇄된 물병까지 포장마차 특유의 분위기를 고스란히 재현했습니다.

[레아 바사르/프랑스인 손님]
"'소맥'과 소주를 맛봤어요. 한국 음식에 딱 맞는 술이라고 생각했어요."

K-팝과 K-드라마의 인기에 힘입어 한국 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유명 스타들이 소주를 즐겨 마시는 모습이 알려지면서 직접 맛보려는 파리지앵들이 늘고 있는 겁니다.

이런 관심을 반영하듯 현지시각 어제 파리의 한 식당에서는 소주 등 한국 술 시음회도 열렸습니다.

이들은 기존에 마시던 와인과 비교해 소주가 목넘김이 부드럽다고 말합니다.

[파트나 라파엘 마리 / 프랑스인 고객]
"(프랑스 와인 등과 비교했을 때 소주는 마실 때) 느낌이 아주 좋고 부드러워요."

한쪽에서는 붉은 오렌지 향부터 레몬 향까지 소주와 비슷한 청주로 만든 퓨전 형태의 K-칵테일도 등장했습니다.

소주가 한식과 잘 어울린다며 한국인처럼 말하는 파리지앵도 있었습니다.

[크리스티안 말람바포티/프랑스인 고객]
"(소주는) 육개장, 해장국 같은 국물과 아주 잘 어울린다고 생각해요."

20대 프랑스인 두 명은 '프랑스식 소주'를 직접 만들기도 했습니다.

이 소주는 한국 소주의 정체성을 살려 쌀을 원료로 하지만 프랑스 코냑의 증류기를 활용해 부드러운 맛을 냅니다.

'프랑스산'이라 적힌 이 제품의 도수는 한국과 비슷한 17도 수준.

한국 병보다 큰 700ml 용량으로 보드카 느낌을 낸 것이 특징입니다.

[마르탱 프라타롤리 / 프랑스 소주 창업자]
"프랑스 기계에 맞지 않는 한국 공정을 따르기 보단 프랑스에서 이미 쌀로 술을 만드는 사람들에게 조언을 얻어 만들었고, 한국의 전통을 녹이려 노력했습니다."

한국에서 프랑스로 수출된 소주는 지난해 약 13억 원 규모로 5년 전보다 8.4배나 많습니다.

파리에서 채널A 뉴스 조은아입니다.

영상취재: 이수연(VJ)
영상편집: 조성빈


조은아 기자 achim@dong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와인의 본고장, 프랑스 파리의 식탁에 와인 대신 초록병에 한국 소주가 놓였습니다.
00:17K-문화의 인기에 힘입어 우리 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00:21세계를 가다 파리에서 조은아 특파원이 전해드립니다.
00:24프랑스 파리 번화가 오대옥 옆 근처의 한 식당.
00:31젊은 층부터 중년 남성들까지 모인 테이블에 초록색 병이 놓여 있습니다.
00:37바로 한국술 소주입니다.
00:40식당 홀에도 독숭아 맛, 자몽 맛 등 다양한 소주가 가득합니다.
00:45최근 파리에서 이른바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소주 바이입니다.
00:49수저 세트부터 한국술 광고가 인쇄된 물병까지.
00:53포장 맛자 특유의 분위기를 고스란히 재현했습니다.
01:08K-POP과 K-드라마의 인기에 힘입어 한국 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01:13특히 국내 유명 스타들이 소주를 즐겨 마시는 모습이 알려지면서 직접 맛보려는 파리지행들이 늘고 있는 겁니다.
01:21이런 관심을 반영하듯 현지 시각 어제 파리의 한 식당에서는 소주 등 한국술 시음회도 열렸습니다.
01:28이들은 기존에 마시던 와인과 비교해 소주가 목넘김이 부드럽다고 말합니다.
01:40한쪽에서는 붉은 오렌지향부터 레몬향까지 소주와 비슷한 청주로 만든 퓨전 형태의 케이크 칵테일도 등장했습니다.
01:49소주가 한식과 잘 어울린다며 한국인처럼 말하는 파리지행도 있었습니다.
01:5320대 프랑스인 두 명은 프랑스식 소주를 직접 만들기도 했습니다.
02:11이 소주는 한국 소주의 정체성을 살려 쌀을 원료로 하지만 프랑스 본약의 증류기를 활용해 부드러운 맛을 냅니다.
02:18프랑스산이라 적힌 이 제품의 도수는 한국과 비슷한 17도 수준.
02:25한국병보다 큰 700ml 용량으로 보드카 느낌을 낸 것이 특징입니다.
02:30한국에서 프랑스로 수출된 소주는 지난해 약 13억 원 규모로
02:365년 전보다 8.4배나 많습니다.
02:51파리에서 채널A 뉴스 조은아입니다.
03:06파리에서 채널A 뉴스 조은아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