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옮긴 지 불과 3년 만에 다시 청와대로 옮기게 됐죠.

국방부도 다시 용산으로 옮기는 등 연쇄 비용이 발생하면서, 두 차례에 걸친 대통령실 이전 비용이 무려 1,3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자세한 내용 화면으로 보시겠습니다.

대통령실 청와대 복귀에 따라 국방부도 청사를 다시 용산으로 옮깁니다.

네트워크 구축에 133억 원이 들고, 시설 보수 65억 원, 이사비 40억 원 등으로, 총 238억 원 정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는데요,

이 예산은 현재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만 남겨두고 있습니다.

청와대 복귀에 관한 예산은 앞서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259억 원 예비비로 편성됐는데요,

두 예산을 합하면 복귀에만 500억 원 정도가 들어가는 셈입니다.

앞서 윤석열 정부 시절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옮기는 데 쓴 비용, 832억 원 정도로 파악됐죠.

애초 윤 정부는 "496억이면 가능하다"고 밝혔지만, 외교부 공관 리모델링, 경찰 경호부대 이전, 국방부 이사 비용 등 비용이 잇따라 발생하며 지출은 눈덩이처럼 불어났습니다.

국회예산정책처 자료를 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용산 이전에 쓴 비용, 정확히 832억 천6백만 원이고요,

이 비용에 이번 복귀 비용을 합치면,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청와대 복귀에 1,300억 원이 투입되는 것입니다.

대통령실은 춘추관 등 일부 시설을 다음 달 청와대로 옮기고, 집무실은 연내, 관저는 내년 상반기 이전을 목표로 순차적으로 옮길 방침입니다.

용산이냐, 청와대냐 대통령실 위치를 둘러싼 상징적인 의미도 중요하겠지만, 용산과 청와대를 오가면서 국민 혈세가 낭비되는 모습은 씁쓸하기만 합니다.





YTN 최세은 (cse101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1124075939866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옮긴 지 불과 3년 만에 다시 청와대로 옮기게 됐죠.
00:06국방부도 다시 용산으로 옮기는 등 연쇄 비용이 발생하면서
00:09두 차례에 걸친 대통령실 이전 비용이 무려 1,3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00:16자세한 내용 화면으로 보시겠습니다.
00:20대통령실 청와대 복귀에 따라 국방부도 청사를 다시 용산으로 옮깁니다.
00:25네트워크 구축에 133억 원이 들고 시설 보수 65억 원, 이사비 40억 원 등으로 총 238억 원 정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는데요.
00:36이 예산은 현재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만 남겨두고 있습니다.
00:41청와대 복귀에 관한 예산은 앞서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259억 원 예비비로 편성됐는데요.
00:48두 예산을 합하면 복귀에만 500억 원 정도가 들어가는 셈입니다.
00:53앞서 윤석열 정부 시절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옮기는 데 쓴 비용 832억 원 정도로 파악이 됐죠.
01:01애초에 윤 정부는 496억이면 가능하다고 밝혔지만
01:05외교부 공관 리모델링, 경찰 경호부대 이전, 국방부 이사비용 등 비용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지출은 눈덩이처럼 불어났습니다.
01:15국회 예산정책처의 자료를 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용산 이전에 쓴 비용 정확히 832억 1,600만 원입니다.
01:26이 비용에 이번 복귀 비용을 합치면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청와대 복귀에 1,300억 원이 투입되는 건데요.
01:34대통령실은 춘출관 등 일부 시설을 다음 달 청와대로 옮기고
01:39집무실은 연내, 관전은 내년 상반기 이전을 목표로 순차적으로 옮길 방침입니다.
01:46용산이냐 청와대냐 대통령실 위치를 둘러싼 상징적인 의미도 중요하겠지만
01:51용산과 청와대로 오가면서 국민 혈세가 낭비되는 모습은 씁쓸하기만 합니다.
01:56용산이냐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