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일 전


[앵커]
아는기자, 사회부 강병규 차장 나와있습니다. 

Q1. 강 차장, 이진숙 전 방통위원장이 체포됐는데, 수갑까지 찼더라고요?

네, 방금 보신 것처럼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 서울 영등포경찰서로 수갑을 찬 채 압송됐는데요. 

오늘 오후 4시 4분쯤 서울 강남구 자택 지하주차장에서 체포돼서 오후 5시 40분쯤 서울 영등포경찰서로 압송됐습니다.

[밑그림]
이 전 위원장 취재진 앞에서 수갑 찬 손을 들어올려 흔들어보이면서 경찰 체포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이진숙 / 전 방송통신위원장]
"이진숙이 여기 수갑차고 있습니다. 민주당 의원들은 제가 대통령의 가치와 철학에 배치돼서 없앴다고 사퇴하라고 했습니다. 그것도 모자라서 이제 저 이진숙한테 이렇게 수갑까지 채웁니다."

Q2. 전직 장관급 인사인데 수갑까지 채우는게 맞느냐는 지적도 있어요.

경찰은 경찰관 직무집행법에 관련 조항이 있다고 합니다. 

현행범이나 3년 이상의 징역 등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피의자이거나 도주 방지, 공무집행에 대한 항거 제지를 위해 수갑 등을 사용할 수 있다고 돼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체포영장 집행을 상당히 이례적으로 보는 시선도 있는데요. 

흉악사건 피의자도 아니고 장관급인 전직 방통위원장을 지낸 인사를, 그것도 정치권발 고소 고발 사건 조사를 위해. 수갑까지 채워 체포하는 게 과한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있습니다. 

Q3.이 전 위원장 측 주장은 어땠나요?

이 전 위원장 변호인 주장은 이렇습니다. 

경찰이 방통위원장실로 전화를 해서 지난달 27일 출석을 요구했다고 하고요. 

하지만 이날 국회 본회의 참석 일정 때문에 불출석 사유서도 제출했다는게 이 전 위원장 측 주장입니다. 

또, 고발장 접수가 4월인데 변호사 선임은 7월에 이뤄졌고, 9월 초까지 2개월 간 경찰은 아무 연락도 없었다며 체포영장 집행이 너무 갑작스럽다고 비판했습니다.

Q4. 경찰은 뭐라고 하나요?

체포영장을 집행한 영등포경찰서 관계자는요. 

"원래 체포하면 수갑을 채우게 돼 있다"며 "원칙대로 했다"고 주장합니다.

또 다른 경찰 관계자도 "대상자 신분 등도 감안해야겠지만 꼭 흉악범만 수갑을 채운다는 규정은 없다"며 이 전 위원장의 출석 불응이 '여러차례' 였다는 걸 강조했는데요.

현직 부장검사에게 물어보니 돌발 행동 예방 차원에서라도 체포시 수갑을 채우는 건 원칙적으로 맞다면서도, 강력 사범도 아닌데 주거지에서 체포한 건 다소 과하다고 볼 소지가 있다는 의견이었습니다. 

네 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


강병규 기자 ben@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이 시각 세계였습니다.
00:30권 위원장, 취재진 앞에서 수갑 찬 손을 들어올려 흔들어 보이면서 경찰 체포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00:35이진숙 여기 수갑 차고 있습니다.
00:41민주당 의원들은 제가 대통령의 가치와 철학과 배치돼서 없앤다고 사퇴하라고 했습니다.
00:50그것도 모자라서 이제 저 이진숙한테 이렇게 수갑까지 채웁니다.
00:55전직 장관급 인사고 도망간 것도 아닌 것 같은데 수갑까지 채우는 건 맞느냐 이런 지적 정당한 겁니까?
01:03경찰은 경찰관 직무집행법에 관련한 조항이 있다고 말합니다.
01:08현행법이나 3년 이상의 징역 등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피의자이거나
01:13도주 방지, 공무집행에 대한 항거 제지를 위해 수갑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돼 있습니다.
01:19하지만 이번 체포영장 집행을 상당히 이례적으로 보는 시선도 있었는데요.
01:24흉악 사건 피의자도 아니고 장관급인 전직 방통위원장을 지낸 인사를
01:28그것도 정치권발, 고소고발 사건 조사를 위해 수갑까지 채워 체포하는 게 과한 것 아니냐는 지선도 있습니다.
01:36왜 이게 수갑까지 채워서 체포를 하느냐.
01:39그러니까 경찰은 불렀는데 안 나왔다는 거예요?
01:42이 전 위원장 측은 뭐라 그래요?
01:43네, 이 전 위원장 변호인 주장은 이렇습니다.
01:46경찰이 방통위원장실로 전화를 해서 지난달 27일 출석을 요구했다고 하고요.
01:51하지만 이날 국회 본회의 참석 일정 때문에 불출석 사유서도 제출했다는 게 이 전 위원장 측 주장입니다.
01:57또 고발장 접수가 4월인데 변호사 선임은 7월에 이뤄졌고
02:029월 초까지 2개월간 경찰은 아무 연락도 없었다며
02:05체포영장 집행이 너무 갑작스럽다 이렇게 비판했습니다.
02:09수갑이나 이 체포영장 집행이 갑작스럽다는 거나 이런 거에 대해서 경찰은 뭐라고 합니까?
02:13네, 체포영장을 집행한 영등포 경찰서 관계자 말을 들어봤는데
02:17원래 체포하면 수갑을 채우게 돼 있다며 원칙대로 했다고 주장합니다.
02:22또 다른 경찰 관계자도 대상자 신분 등을 감안해야겠지만
02:26꼭 흉악범만 수갑을 채운다는 규정은 없다며
02:29이 전 위원장의 출석 불응이 여러 차례였다는 걸 강조했는데요.
02:34현직 부장검사에게 물어봤는데요.
02:35돌발 행동 예방 차원에서라도 체포 시 수갑을 채우는 건 원칙적으로 맞다면서도
02:41강력사범도 아닌데 주거지에서 체포한 건 다소 과하다고 볼 소지가 있다는 의견이었습니다.
02:47잘 들었습니다.
02:47안은 기자, 강병규 처장이었습니다.
02:56한글자막 by 한글자막 by 한글자막 by 한글검수
02:59한글검수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