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튀르키예 7.8 대지진에도 홀로 우뚝! K-건설의 ‘철벽 방어’ 차나칼레 대교
채널A Life
팔로우
그저께
튀르키예 지진 속에서도 살아남은
차나칼레 19215 대교
2023m의 주탑 간 거리와
터키 공화국 100주년을 맞춰 설계
재미있는 건썰을 맘껏 풀어내는
본격 국내 최초 건썰 토크쇼 [건썰의 시대]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사실 저는 아이는 없습니다만
00:23
뉴스를 보게 되면
00:24
저 보호자 없는 아이들이 만약 저런 상황에 처하게 된다면
00:27
어떻게 하나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되고
00:29
문득물득 이 건물은 안전한 거야
00:32
우리나라도 지진에서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하는데
00:34
이런 생각도 들게 되고
00:36
여러 가지 안전과 삶에 대한 생각을 여러 번 하게 되는 경우가
00:40
더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00:43
건설의 숨은 노력과 놀라운 지혜
00:45
위기관리의 시대로 함께 떠나보시죠
00:48
재난과 위급 상황이라고 하면
00:54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자연재해
00:56
재난이잖아요
00:57
자연으로부터 발생이 되는 건데
00:59
저는 조만간 큰 게 온다 큰 게 온다
01:02
이런 뉴스를 너무 많이 들어가지고
01:04
진짜
01:04
지진 이야기 일단 우리가 빼놓고 갈 수가 없습니다
01:08
미얀마 지진 기억들 하실 겁니다
01:10
지진 강도가 그때 규모 7.7이었어요
01:14
엄청 많았어요
01:15
1912년 지진 이후에 113년 만에 가장 큰 지진이었어요
01:19
이 미얀마 지진이 태국까지 왔잖아요
01:22
그 당시 때 건물 흔들리는 영상 보면
01:25
진짜 소름 끼치고
01:26
제가 그 자리에 있었으면 저는 진짜 주저앉았을 것 같더라고요
01:30
또 하나가 마지막으로
01:32
요즘 영화 장면 같잖아요
01:34
어후
01:35
저게 지금
01:36
이거 엄청 유명하잖아요
01:37
너무 유명하잖아요
01:38
일반 영상이죠
01:39
네 어떤 분이 뛰어넘는
01:40
그냥 뛰어넘고
01:41
그냥 뛰어넘고
01:42
맞아요
01:42
멋진 아까
01:43
그 다리 뛰어넘으신 분이 알고 보니까 한국인이셨더라고요
01:46
그 다리 뛰어넘으신 분이 알고 보니까 한국인이셨더라고요
01:47
저도 그게 좀 놀라웠는데
01:49
놀라웠는데 52층이면 바람도 엄청나게 불었을 거고
01:54
또 흔들리고 있는 구름다리를
01:56
사랑하는 가족을 위해서
01:58
그거를 뛰어간 거야.
02:01
나 같았으면 저거 뛰었을까?
02:02
막 그 생각이 드는 거예요.
02:04
저희 남편이 유명한 겁쟁이란 말이에요.
02:07
정말 유명하시죠.
02:09
정말 창피할 때가 많아요.
02:12
저희 남편이 옛날에 무슨 어디서
02:14
뛰어내리는 무슨 촬영을 하는데
02:15
그 생각을 했대요.
02:16
저기에 드림이가 있다고 생각하면 내가 뛸 수 있어.
02:20
할 수 있어.
02:21
그러고서 뛰었다는 얘기를 하더라고요.
02:23
그래서 이게 저분도 그렇고
02:24
이 아빠, 엄마에게 모성이 있듯이
02:27
또 아빠한테는
02:28
내 식구들을 보호하고자 하는 어떤
02:31
그런 구성이.
02:33
희스테리컬 데 스트렝스라고 부른다고 해요.
02:35
말하자면 이제
02:36
극구의 어떤 위기 상황이 됐을 때
02:38
아드레날린이 몸에서 순식간에 나오면서
02:42
평상시에 발휘하지 않았던
02:44
초인적인 어떤 배려.
02:46
자신의 어떤 한계의 몇 배에 다른
02:48
근력이나 반응 속도
02:50
보여준다는 거거든요.
02:51
나의 생존도 중요하지만
02:53
아이들이나 아내 같은 가족의 생존이 걸렸다고 했을 때
02:57
이제 괴력같이 몇 배 더 나오게 된다는 거죠.
03:00
사람은 위기의 순간에 발휘하는 괴력이 있는데
03:05
건설 기술에도 이런 괴력같은 기술이 없을까요?
03:09
당연히 있습니다.
03:10
있어요?
03:11
극한 상황에서 설계된 성능 이상으로 버티기도 하고요.
03:15
스스로 보호하기도 하는 그런 기술들이 있거든요.
03:17
2023년에 치르키의 대지진.
03:21
맞아요.
03:22
또 참사였어요.
03:23
이 치르키의 당시 지진 규모가 한 7.8 정도 됐거든요.
03:28
미얀마 지진하고 거의 비슷했거든요.
03:30
네 거의 비슷했어요.
03:30
그래서 이게 완공된 지 얼마 안 된 건물들이 다 와르로 다 무너지고
03:35
병원 뭐 할주로 상관없이 다 부서졌거든요.
03:39
근데 이 지진 속에서 꿋꿋하게 살아난 시설물이 하나 있습니다.
03:44
뭐죠?
03:45
찬아칼레 19215 대교라는 뜻이에요.
03:48
한번 보시죠.
03:49
아 이건가요?
03:50
네.
03:50
우와.
03:51
우와.
03:51
길이 엄청 매운데?
03:52
길죠.
03:53
엄청 기네.
03:54
티르키에의 겔리볼루라는 지역이 있어요.
03:58
네.
03:58
거기랑 이제 아시아의 랍세키라는 지역을 연결하는 다리에요.
04:01
아 유럽과 아시아가 만난다네.
04:03
네 맞습니다.
04:04
이 길이를 좀 설명드리면 육지에 닿지 않는 길이를 다 빼고
04:08
네.
04:09
3563m 돼요.
04:12
닿는 거를 포함하면 4608m 정도 돼요.
04:18
4.16kg가 된다는 거군요.
04:19
네 맞아요.
04:20
우리나라 건설사가 티드케이랑 협력해서 건설한 겁니다.
04:24
우리의 기술력이 이제 그쪽에 가서 발휘가 된 거군요?
04:27
이제 케이 건설의 기술력이 전 세계에 증명된 상징적인 사례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04:34
이 다리로 인해서 기존에 이제 페리로 한 1시간 반 걸리던 그 거리를
04:39
이제 한 6분 만에 이 다리를 통해 차로 관통하게 되는 거죠.
04:43
이 다리에 기둥 있는 저 빨간색 부분을 주탑이라고 하거든요.
04:48
주탑과 주탑 사이의 거리가 2023m예요.
04:52
2kg가 넘네요?
04:54
2023년도에 터키공화국이 건국한 지 100주년이었어요.
04:58
그래서 이 기념하는 숫자를 2023을 넣은 거예요.
05:00
꼭 주탑과 주탑 사이의 거리.
05:03
기념은 알겠는데 기념한다고 건축 설계를 거기에 맞춰서 할 수 있다는 게
05:09
저는 더 놀라운데요?
05:10
놀라운 기술력이죠.
05:11
안전으로 치면 사실 중간에 하나 더 박아도 되는데
05:14
그게 더 친절할 것 같은데.
05:15
기념하기 위해서 그걸 2023m를
05:19
요즘 설계 기술은 딱 맞아떨어지게 다 할 수 있어요.
05:22
그렇게도 안전의 이상이 없다고
05:25
안전의 이상이 없게 만들 수 있다고 하기 때문에
05:28
그렇게 할 수 있는 거잖아요.
05:29
실제로 검증이 된 거잖아요.
05:31
그럼요.
추천
1:40
|
다음 순서
101m 기와 7만장 싹 바꿨다…국보 종묘, 5년 만에 돌아왔다
중앙일보
2025. 4. 20.
0:30
[예고] 건썰이 이렇게 매워도 돼요? 파고들수록 길이 보이는 '길'에 얽힌 건썰 대방출
채널A Home
2025. 7. 4.
2:21
일본에 갔던 ‘관월당’ 100년만에 건물 통째 귀환
중앙일보
2025. 6. 24.
0:49
[속보] 문화유산 '성북동 별서' 화재..."파괴 진화 조치" [지금이뉴스] / YTN
YTN news
2025. 6. 30.
2:06
흉물이 '랜드마크'로...청주 명암타워 리모델링 첫발 / YTN
YTN news
2025. 1. 17.
2:20
조선 왕실 사당 '관월당', 100년 만에 고국 품으로 / YTN
YTN news
2025. 6. 24.
0:26
미얀마 강진 여파 태국 방콕 건물 붕괴..."9명 숨지고 117명 실종" / YTN
YTN news
2025. 3. 28.
0:52
천년 고찰 '고운사' 전소...보물 '가운루·연수전'도 소실 / YTN
YTN news
2025. 3. 26.
2:32
연휴 고궁 나들이 해볼까...새 단장 궁궐 2곳 특별전 / YTN
YTN news
2025. 5. 2.
1:54
100년 전 경상감영 '관풍루' 찾았다…복원 사업 탄력
MBN News
2020. 6. 22.
0:30
[예고] 장윤정♥도경완 가족의 우주 이민 계획?! 건썰의 시대 우주 편 출격 준비 완료!
채널A Home
2025. 7. 17.
2:27
튀르키예, 내진 설계 강화했지만...지진 피해 우려는 여전 / YTN
YTN news
2025. 4. 5.
0:42
일제가 허문 경복궁 영훈당, 2027년까지 복원한다
연합뉴스TV
2024. 3. 13.
0:25
[부산] 대저대교 건설사업 착공...2029년 완공 예정 / YTN
YTN news
2024. 10. 23.
2:26
수백 년 문화유산 잿더미로...이 시각 안동 / YTN
YTN news
2025. 3. 28.
1:54
'비밀의 문' 열린 국립고궁박물관…지하 수장고 첫 공개
연합뉴스TV
2024. 6. 6.
0:32
일제가 철거한 국내 유일 고려 때 사찰 벽화, 가상현실로 부활 / YTN
YTN news
2022. 10. 25.
14:40
[풍경여지도] 천년고도(古都)의 숨결 - 경북 경주 1부
연합뉴스TV
2023. 10. 8.
3:50
[선공개] 입시제도 개편으로 내신 5등급제! 내신 앞에 무너진 고1 목동키즈가 눈물 흘린 사연은?
채널A Home
3일 전
0:47
[3차 티저] "좋은 보호자 NO! 망치는 보호자!" 늑대로 만든 당신을 위한 맞춤 솔루션 | 개와 늑대의 시간 8/5(화) 첫방송
채널A Home
6일 전
0:30
[예고] 마음과 달리 쉽게 빠지지 않는 체중! 장내 균형을 잡는 것이 올바른 다이어트의 핵심
채널A Home
2025. 7. 21.
1:22
'배심원들' 박형식, 당차면서도 순수한 청년창업가 권남우役...'스크린 첫 데뷔'
eNEWS24
2019. 3. 28.
1:02
상류사회, 박해일X수애 첫 만남 '적나라한 욕망' 예고편 화제
eNEWS24
2018. 7. 20.
8:50
'살려달라' 30차례신고 조사해보니 허위신고?
채널A Life
오늘
5:12
[차차차] 광고가 아닌 스토리에 주목하는 자동차 기업들은?
채널A Life
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