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 팬데믹 선포로 바이러스 확산 공포가 퍼지면서 사람과 반려동물 간 감염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반려동물로 전파된다는 증거는 없다지만, 이것도 아직은 추정일 뿐. 동물권단체는 비위생적인 개농장이 감염 통로가 될 수 있다며 개 식용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김지영 기자입니다.
【 기자 】 비좁은 우리 안에 마스크를 쓴 사람들이 바짝 붙어 서 있습니다.
중국의 야생동물 식용 문화가 코로나19의 감염 통로일 수 있다는 추정을 근거로, 개 식용 금지를 촉구하는 퍼포먼스입니다.
▶ 인터뷰 : 김경은 / 동물권단체 '케어' 국장(어제) - "동물로 인한 바이러스가 해마다 상존하며 이종감염이 반복되는 한국은 개, 고양이 도살을 중단해야 한다."
「최근 홍콩에서 코로나19 확진자의 반려견이 '약한 양성'을 보인 사례가 나오면서,」 사람과 동물 간 감염 우려가 커진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