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한미 두 나라가 그동안 이어온 관세·안보 분야 협상의 결과물인 공동설명자료, 이른바 '조인트 팩트시트'가 확정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내용을 직접 발표하며, 우리 경제와 안보의 최대 변수 중 하나였던 한미 통상 협상과 안보 협의가 최종 타결됐다고 강조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강진원 기자!

[기자]
용산 대통령실입니다.


'팩트시트'가 합의됐단 소식을 이 대통령이 직접 알린 거죠.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오늘 오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을 찾아 카메라 앞에 섰습니다.

불과 몇 분 전 급하게 기자단에 공지된, 예정에 없던 일정이었습니다.

이 대통령은 관세와 안보 분야 합의 내용이 담긴 공동설명자료, '조인트 팩트시트' 작성이 마무리됐다고 전하며, 한미 통상 협상과 안보 협의가 최종 타결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우리 경제와 안보의 최대 변수로 꼽히던 과제를 매듭지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새 정부 출범 이후 5개월여 동안 미국과 벌여온 치열했던 협상의 결과물이 담겼습니다.

우선 관세 분야를 보면요.

미국은 한국산 제품에 매기는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고, 대신 한국은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를 하기로 했습니다.

이 가운데 현금 투자는 2,000억 달러인데요.

우리 외환시장의 충격을 막기 위해 한국의 달러 조달 한도는 연간 기준, 최대 200억 달러로 정해졌습니다.

미국이 부과하는 반도체 관세는 경쟁국보다 불리하지 않은, 즉 '최혜국 대우'를 받기로 했고, 걱정했던 농축산물 시장 개방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안보 분야에선 한국의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권한 확대와 관련해, 미국 정부의 지지를 얻은 게 성과로 꼽힙니다.

우리의 숙원사업인 핵추진잠수함 건조에 대해, 미국이 승인했다는 문구가 포함된 것도 눈에 띕니다.

팩트시트에는 건조 장소가 담기지 않았지만,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한국 내 건조를 전제로 양국 논의가 진행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공동설명자료에는 또 미국 상선뿐만 아니라 미국 군함까지 국내 조선소에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주한미군 주둔을 통한 미국의 한국 방위 공약이 재확인됐고,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해 협력을 지속한다는 내용도 명시됐습니다.

이 대통령... (중략)

YTN 강진원 (jinwon@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1114154715497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한미 두 나라가 그동안 이어온 관세 안보 분야 협상의 결과물인 공동설명자료, 이른바 조인트 팩트시트가 확정됐습니다.
00:09이재명 대통령은 내용을 직접 발표하며, 우리 경제와 안보의 최대 변수 중 하나였던 한미통상협상과 안보협의가 최종 타결됐다고 강조했습니다.
00:19대통령실 취재기자 연결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강진원 기자.
00:24용산 대통령실입니다.
00:26팩트시트가 합의됐다는 소식, 이 대통령이 직접 알렸죠?
00:33그렇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오늘 오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을 찾아서 카메라 앞에 섰습니다.
00:39불과 몇 분 전 급하게 기자단에 공지된 예정이 없던 일정이었습니다.
00:44이 대통령은 관세와 안보 분야 합의 내용이 담긴 공동설명자료, 그러니까 조인트 팩트시트 작성이 마무리됐다고 전하면서
00:52한미통상협상과 안보협의가 최종 타결됐다고 밝혔습니다.
00:57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우리 경제와 안보의 최대 변수로 꼽히던 과제를 매듭지었다고 강조했습니다.
01:04실제로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새 정부 출범 이후 5개월여 동안 미국과 벌여온 치열했던 협상의 결과물이 담겼습니다.
01:11우선 관세 분야를 보면요. 미국은 한국산 제품에 매기는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고
01:19대신 한국은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를 하기로 했습니다.
01:25이 가운데 현금 투자는 2천억 달러인데요.
01:27우리 외환시장의 충격을 막기 위해서 한국의 달러 조달 한도는 연간 기준 최대 200억 달러로 정해졌습니다.
01:35미국이 부과하는 반도체 관세는 경쟁국보다 불리하지 않은, 즉 최해국 대우를 받기로 했고
01:42걱정했던 농축산물 시장 개방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01:47안보 분야에선 한국의 우라늄 농축과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 권한 확대와 관련해서
01:52미국 정부의 지지를 얻은 게 성과로 꼽히고 있습니다.
01:56우리의 수건 사업인 핵추진 잠수함 건조에 대해서 미국이 승인했다는 문구가 포함된 것도 눈에 띕니다.
02:03팩트 시트에는 건조 장소가 담기진 않았는데요.
02:07이에 대해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한국 내 건조를 전제로 양국 논의가 진행됐다고 설명했습니다.
02:15공동 설명 자료는 또 미국 상선뿐만 아니라 미국 군함까지 국내 조선소에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02:23주한미군 주둔을 통한 미국의 한국 방위 공약이 재확인됐고
02:27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을 위해서 협력을 지속한다는 내용도 명시됐습니다.
02:33이 대통령은 통상 분야 합의를 두고 우리 경제가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02:39상업적 합리성 있는 프로젝트에 투자한다는 걸 양국 정부가 확인한 거라고 평가했습니다.
02:47안보 분야에선 국방력 강화와 전자권 환수를 통해 한반도 방위에 대한 우리의 주도적 의지를 천명했고
02:53미국은 이를 지지하며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강력히 피력했다고 언급했습니다.
02:59이재명 대통령은 미국과의 협상 과정을 두고 혹여 우리의 국익을 훼손하지는 않을지 우려가 컸다고 말했습니다.
03:17그러면서 특히 어려웠던 점을 토로했습니다.
03:20대외관계에 있어서는 국내의 정치적 입장이 다르더라도 국익과 국민을 위해 합리적 목소리를 내주면 좋은데
03:27빨리 합의해라 빨리 하지 못하는 게 무능한 거라는 취지의 내부 압박이 참 힘들었다고 말했습니다.
03:35적어도 국익과 관련된 건 정쟁의 대상이 돼선 안 된다는 생각을 내비친 건데요.
03:40그러면서 우리가 가진 유일한 힘은 버티는 것이었다고 강조했습니다.
03:45우리가 갖지 못한 것들을 추가로 얻어내기 위해서 능동적인 협상을 한 게 아니라
03:50상대 욕으로 어쩔 수 없이 손실을 최소화하는 일종의 비자발적 협상을 한 상황에서
03:56그게 유일한 방법이었다는 의미입니다.
04:00이 대통령은 한미통상과 안보협의가 매듭지어졌지만 이제 시작이라고도 했습니다.
04:06국익을 지키려는 각국의 총성 없는 전쟁은 계속될 것이고
04:09국제사회의 불확실성도 단기간에 해소되지 않을 게 분명하다는 겁니다.
04:13이 대통령은 이 과정에서 영내 주변국들과 안정적 관계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는 소신도 거듭 밝혔습니다.
04:21특히 한중관계를 거론했습니다.
04:24중국과 꾸준한 대화를 통해 양국관계의 발전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길을 흔들림 없이 이어가겠다고 공언했습니다.
04:32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에서 YTN 강준원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