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무더운 여름철, 울산시가 양산을 무료로 빌려주는 '양심양산' 사업을 운영 중입니다.

하지만 빌려 갔다가 다시 반납되는 양산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시민의 양심에 기댄 정책이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JCN 울산중앙방송 라경훈 기자입니다.

[기자]
울산 태화강국가정원.

관광안내소 앞 양산꽂이에 양산이 비치돼 있습니다.

이 양산들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양심양산'.

자외선을 차단하고 체감온도를 7도가량 낮춰주는 효과 덕분에 울산시는 지난 2022년부터 이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울산시가 시민들에게 무료로 빌려주고 있는 '양심양산'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민들이 양산을 빌려간 뒤 반납하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해 이곳에 비치된 양산 가운데 회수된 건 절반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이수미 / 울산 태화강국가정원 해설사 : 작년 같은 경우는 300개 정도가 배포됐다고 들었고요. 그중에 절반이 회수됐다고 얘기를 들었습니다.]

다른 지역도 상황은 마찬가지.

양산꽂이는 텅 비어있고 누군가 사용하다 가져다 놓은 듯한 우산이 꽂혀 있기도 합니다.

매년 천 개가 넘는 양산이 태화강국가정원과 울산대공원 등 울산의 주요 관광지 8곳에 비치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회수율은 28.7%.

10개를 빌려주면 3개도 채 돌아오지 않는 상황입니다.

이렇다 보니 각 지자체들은 깊은 고민에 빠졌습니다.

남구청은 그동안 동 행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사업을 운영해왔지만, 낮은 회수율 등의 이유로 올해는 아예 사업을 중단했습니다.

반면 북구청은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대여 장소를 확대하고 특수 제작한 양산으로 회수율을 높여보겠다는 계획입니다.

[민갑규 / 울산 북구청 안전총괄과 자연재난팀장 : 폭염이 심해짐으로 인해서 온열환자가 계속 늘고 있거든요. 양심양산이다 보니까 회수율을 높이는 고민을 해야 되거든요. 양산에다가 사용 후 되돌려주시라는 문구를 넣고 대여 대장을 만들어서 며칟날 빌려 갔는지 연락처를 (적도록) 해서….]

시민의 양심에 기대 시작된 정책이 기대만큼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각 지자체는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JCN 뉴스 라경훈입니다.





YTN 라경훈 jcn (kimmj022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803085520941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무더운 여름철 울산시가 양산을 무료로 빌려주는 양심 양산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00:06하지만 빌려갔다가 다시 반납되는 양산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서 시민의 양심에 기댄 정책이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00:14JCN 울산중앙방송 라경훈 기자입니다.
00:20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관광안내소 앞 양산꼬지에 양산이 비치돼 있습니다.
00:25이 양산들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양심 양산.
00:31자외선을 차단하고 체감온도를 7도가량 낮춰주는 효과 덕분에 울산시는 지난 2022년부터 이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00:40울산시가 시민들에게 무료로 빌려주고 있는 양심 양산입니다.
00:44하지만 대부분의 시민들이 양산을 빌려간 뒤 반납하지 않고 있습니다.
00:49지난해 이곳에 비치된 양산 가운데 회수된 건 절반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00:53작년 같은 경우는 300개 정도가 배포가 되었다고 들었고요.
00:58그중에 절반이 회수가 되었다고 얘기를 들었습니다.
01:01다른 지역도 상황은 마찬가지.
01:04양산꼬지는 텅 비어있고 누군가 사용하다 가져다 놓은 듯한 우산이 꽂혀있기도 합니다.
01:10매년 1,000개가 넘는 양산이 태화강 국가정원과 울산대공원 등 울산의 주요 관광지 8곳에 비치되고 있습니다.
01:17지난해 회수율은 28.7%, 10개를 빌려주면 3개도 채 돌아오지 않는 상황입니다.
01:25이렇다 보니 각 지자체들은 깊은 고민에 빠졌습니다.
01:29남구청은 그동안 동행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사업을 운영해 왔지만 낮은 회수율 등의 이유로 올해는 아예 사업을 중단했습니다.
01:37반면 북구청은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대여장소를 확대하고 특수제작한 양산으로 회수율을 높여보겠다는 계획입니다.
01:47폭염이 심해짐으로 해서 온열 환자가 계속 늘고 있거든요.
01:51양심, 양심에다 보니까 회수지율을 높이는 고민을 해야 되거든요.
01:55양산에다가 사용 후 되돌려주시라는 문구를 넣고 대여대장을 만들어서 며칠날 빌려가셨는지 연락처 해서...
02:03시민의 양심에 기대 시작된 정책이 기대만큼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각 지자체는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02:12JCN 뉴스 라경훈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