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7주 전


[앵커]
아는기자 정치부 정연주 기자 나왔습니다.

Q1. 정 기자, 민주당 융단폭격 맞고 있는데, 이런 상황 예상하지 못한 것 같아요?

어제 주식시장 폭락이 너무 컸죠.

그날 아침에 지도부에 물었더니, 세제 영향만이 아닐 수도 있다, 지켜보자 했거든요. 

그런데 개미 투자자 원성이 체감되니까 김병기 원내대표. "10억 원 대주주 기준 상향 가능성 검토 등을 살피겠다"고 했습니다.

원성 진화해야 하니까 일보 후퇴한 거죠.

Q2. 대주주 기준 하향 반대 청원까지 나왔더라고요?

네, 청원 동의 속도 어마어마합니다. 

그저께죠. 정부 세제개편안 발표날 국회 청원이 올라왔는데요. 

하루 만에 국회 상임위 자동 회부 기준인 5만 명 달성했고 오늘 7만 명을 훌쩍 넘겼습니다.

Q3. 민주당 지지층도 시끌시끌할 것 같은데요.

이재명 대통령 지지자들 들끓고 있습니다. 

이 대통령 팬사이트 가봤더니요.

"세제개편안 때문에 대통령 욕먹인다"면서 김병기 원내대표, 진성준 정책위의장 성토 중이더라고요. 

김병기 원내대표를 향해선, "허수아비냐" "무능하다" 진성준 의장에게는 "당적 파라" "주식도 모르면서 신념이 너무 강하다"고요.

진 의장 사무실 번호, 개인 전화번호 공유도 하더라고요.

Q4. 진 의장도 코너에 몰린 것 같은데, 오늘 오히려 입장 고수하는 SNS를 올렸어요?

맞습니다. 

진 의장 오늘 SNS에 "주식 시장 안 무너진다" "세입기반 원상회복 조치"라면서 기존 입장 고수했습니다. 

10억 원 기준 지켜야 한다는 말은 없지만 김병기 원내대표 행보와는 일단 대조적이죠.

Q5. 반응은 어때요?

불씨를 더 키운 듯 합니다. 

진 의장 블로그 가보니까.

30분 만에 댓글이 300개를 넘더니 "월요일 주식 떨어지라고 고사를 지낸다" "120조 원 증발 책임 위자료 소송 진행하겠다" 분노 글로 도배가 됐더라고요.

진 의장 의원직 제명 청원도 올라왔습니다. 실제로 추진될 가능성은 사실상 없지만요.

Q6. 정청래 신임 당 대표도 임기 시작하자마자 이것부터 해결해야 겠어요.

네, 급한 불부터 꺼야겠죠. 

정청래 신임 당대표, 임기 시작하자마자 주식시장 개장부터 대기해야 할 상황이 됐는데요. 

오늘 당선 직후 대주주 양도세 기준 어떻게 할 거냐 물었더니 "오늘은 전당대회 관련된 것만 물어봤으면 좋겠다"라고 답을 피했습니다.

Q7. 지도부 차원에서 재논의가 있을 것 같은데요.

지도부 취재를 해봤더니, 사실 세제 발표 전부터 "여론 타격 클 거"라는 우려가 나왔다고 합니다. 

한 지도부 의원은 "이 대통령의 코스피 5천 목표와는 결이 안 맞는다"라고 주장했다고 하는데요. 

공개 발언에 나선 지도부도 있죠.

이언주 최고위원은 어제 "세수 효과도 별로 없는데 구태여 낮출 이유가 뭔가"라며 비판하더니 오늘은 "세제개편안은 증시 대폭락 원인"이라면서 "다행히 재검토하겠다고 한다"며 이틀 연속 여론 달래기에 나섰습니다.

정청래 대표의 차기 정책위의장 인선도 일종의 시그널이 될 것 같습니다.

Q8. 대주주 기준 바뀌는 걸까요?

아직 정해진 건 없습니다.

당 정책위 관계자, "하루 아침에 뒤집으면 정부 정책에 신뢰가 깨진다"며 "50억 원으로 환원은 어렵지 않나" 라고 하더라고요.

취재해보니 김병기 원내대표는 미세조정에 무게를 둔 것 같습니다. 

Q9. 대통령실도 이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있을 것 같은데요. 어떤 입장인가요.

좀 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입니다. 

"시장 분석이 더 필요하다"며 "새 입장이 필요하면 밝히겠다"고 하는데요.

이 대통령. 주변에 "재정이 부족하다" 여러 번 토로했다고 알려졌거든요. 

세수를 어떻게든 확충해야 하는데, 부동산 세제는 안 건드리겠다 천명한 마당이라 결국엔 대주주 양도세와 같은 이른바 '부자 증세'를 추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겁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


정연주 기자 jyj@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아는 기자, 정치부 정연주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00:05정 기자, 민주당이 융단폭격을 맞고 있습니다.
00:08이런 상황 예상하지 못한 것 같은데요.
00:10어제 주식시장 폭락이 너무 컸죠.
00:13그날 아침에 지도부에 물어보니까요.
00:15세제 영향만이 아닐 수도 있다, 지켜보자 했거든요.
00:19그런데 개미투자자 원성이 체감되니까
00:21김병기 원내대표, 10억 원 대주주 기준 상향 가능성 검토 등을 살피겠다고 했습니다.
00:27원성을 진화해야 하니까 일보 후퇴한 거죠.
00:30대주주 기준 하향 반대 청원까지 나왔던데요.
00:33청원 동의 속도가 어마어마합니다.
00:36그저께 정부 세제 개편안 발표날 국회 청원이 올라왔는데요.
00:40하루 만에 국회 상임위 자동회부 기준인 5만 명 달성했고
00:44오늘 7만 명을 훌쩍 넘겼습니다.
00:47보니까 민주당 지지층도 시끌시끌한 것 같던데요.
00:51이재명 대통령 지지자들도 들끓고 있습니다.
00:53이 대통령 팬사이트를 가봤더니요.
00:56세제 개편안 때문에 대통령 욕먹인다면서 김병기 원내대표, 진성준 정책위의장 성투 중이더라고요.
01:04김병기 원내대표를 향해서는 허수아비냐, 무능하다.
01:07진성준 의장에게는 당적을 팔아, 주식도 모르면서 신념이 너무 강하다고 하고요.
01:13진의장 사무실 번호, 개인전화번호 공유도 하더라고요.
01:16이렇게 보면 진의장도 코너에 몰린 것 같긴 한데, 오늘 오히려 그 입장을 고수하는 SNS 글을 올렸던데요.
01:24네, 맞습니다. 진의장 오늘 SNS에 주식시장 안 무너진다, 세입기반 원상회복 조치라면서 기존 입장 고수했습니다.
01:3310억 원 기준 지켜야 한다는 말은 없지만, 김병기 원내대표 행보와는 일단 대조적이죠.
01:38반응은 어때요?
01:39네, 불씨를 더 키운 듯합니다. 진의장 블로그를 가보니까 30분 만에 댓글이 300개를 넘어서더니,
01:47월요일 주식 떨어지라고 고사를 지낸다, 120조 원 증발 책임 위자료 소송 진행하겠다면서 분노글로 도배가 됐더라고요.
01:56진의장 의원직 제명 청원도 올라왔습니다. 실제로 추진될 가능성은 사실상 없지만요.
02:02오늘 선출된 정청래 신임 당대표, 임기 시작하자마자 아마 이 문제부터 좀 해결을 해야 될 것 같은데요.
02:08네, 급한 불부터 꺼야겠습니다. 정청래 신임 당대표, 임기 시작하자마자 주식시장 개장부터 대기를 해야 할 상황이 됐는데요.
02:18오늘 당선 직후 대주주 양도세 기준 어떻게 할 거냐 물었더니, 오늘은 전당대회 관련된 것만 물어봤으면 좋겠다라면서 답을 피했습니다.
02:27지도부 차원에서 재논의를 할까요? 어떻습니까?
02:31네, 제가 지도부를 취재를 해봤더니 사실 세제 발표 전부터 여론 타격이 클 거라는 우려가 나왔다고 합니다.
02:37한 지도부 의원은 이 대통령의 코스피 5천 목표와는 결이 안 맞는다고 주장했다고 하는데요.
02:44공개 발언에 나선 지도부도 있죠.
02:46이현주 최고위원은 어제 세수 효과도 별로 없는데, 구태여 낮출 이유가 뭔가라며 비판하더니,
02:53오늘은 세제 개편하는 증시대평랑 원인이라면서 다행히 재검토하겠다고 한다며 이틀 연속 여론 달리기에 나섰습니다.
03:01정청래 대표의 차기 정책위의장 인선도 일종의 시그널이 될 것 같습니다.
03:06그렇다면 대주주 기준은 바뀌는 걸까요?
03:10아직 확정된 건 없습니다.
03:13당 정책위 관계자 하루아침에 뒤집으면 정부 정책의 신뢰가 깨진다면서 50억 원으로 한 원은 어렵지 않나라고 말을 하더라고요.
03:22취재를 해보니까 김병기 원내대표는 미세 조정에 무게를 둔 것 같습니다.
03:27대통령실도 이 상황을 심각하게 지켜보고 있을 것 같은데, 현재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습니까?
03:33네, 좀 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입니다.
03:35시장 분석이 더 필요하다면서 세입장이 필요하면 밝히겠다라고 하는데요.
03:41이 대통령, 주변에 재정이 부족하다고 여러 번 토로했다고 알려졌거든요.
03:45세수를 어떻게든 화충을 해야 하는데 부동산 세제는 안 건드리겠다고 천명을 한 마당이라,
03:51결국엔 대주주 양도세와 같은 이른바 부자 증세를 추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겁니다.
03:58네, 잘 들었습니다.
03:59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
04:03네, 잘 좀 더 지켜보겠다라고 합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