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북마크
공유
더보기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역사적으로 풍자와 해학의 민족이었던 우리 민족, 말맛이 살아있는 '속담' 퀴즈!
채널A Entertainment
팔로우
3개월 전
#하석진
#이상엽
#궤도
#황제성
#윤소희
Q.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말'이 들어가는 속담 뜻풀이
#전현무 #하석진 #이상엽 #궤도 #황제성 #윤소희
지식 충전 퀴즈쇼 [브레인 아카데미]
매주 목요일 밤 10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오래전부터 우리 조상들은요. 복잡한 상황을 짧고 효과적으로 말하고 싶어 했습니다.
00:05
우리 민족의 해악과 풍자정신이 깊은 표현. 뭘까요?
00:09
속담, 속담. 그렇죠. 속담입니다. 속담.
00:12
속담. 속담.
00:14
지금 혹시 떠오르는 속담이 있습니까?
00:16
낱말은 새가 듣고 반말은 쥐가 듣는다.
00:18
낱말은 새가 듣고 반말은 쥐가 듣는다.
00:20
닥쳤던 개. 닥쳤던 개.
00:22
큰일 났네.
00:25
백숙. 백숙된다.
00:26
정말 큰일 났네.
00:27
백숙된다.
00:27
속담은 짧은 문장 하나로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서
00:32
일상에서 사용할 때 말의 생동감과 설득력을 더해줄 수 있습니다.
00:37
그리고 속담에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생활 방식, 문화가 담겨 있어서
00:41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말 맛을 살리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하는데
00:46
여기서 문제 드리겠습니다.
00:48
속담 문제인가 보다.
00:49
오늘 근데 대체 몇 문제가 지금 있을까?
00:51
그러니까요. 오늘 제가 왔네요.
00:52
아, 시일이야. 모든 문제가.
00:54
자, 문제 주세요.
00:55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를 맞춰보세요.
01:07
뭐야?
01:07
전 쌀 생각했었는데
01:21
쌀.
01:22
근데 쌀은 또 그것도 어려운 것 같아요.
01:24
쌀이 고마운 경우가 좀 애매하니까.
01:26
난 처음에 손인 줄 알았어, 손.
01:28
손 많은 집은 장맛도 쓰다.
01:30
손이 나는 그 손님 손인 줄 알았어.
01:32
그러니까 손을 보탠다는 표현도 많이 쓰잖아요.
01:35
그러니까요.
01:35
손이 고마우면 빚이 사러 갔다가 주부 사온다.
01:37
손은 보태고 떡은 뗀다. 이거 리사네.
01:39
말 많은 집은.
01:41
말 많은 집은 장맛도 쓰다.
01:43
말은 보태고 떡.
01:44
말이 고우면 빚이 사러 갔다가 주부 사온다.
01:47
맞아.
01:47
뭔가 말...
01:48
맞아, 맞아.
01:49
아, 맞네.
01:49
그리고 속담에 말이라는 말이 워낙 많이 들어갑니다.
01:51
말에 대한 속담이 많으니까.
01:53
말 많은 집은 장맛도 쓸 것 같아.
01:55
왜?
01:55
산으로 가는 거지.
01:56
네, 사공이 많으면 산으로 가는 거지.
01:57
소금 쳐라.
01:58
더 이따 끊어라.
01:59
간이 점점 세지는 것처럼.
02:01
가만히 두지를 못하고.
02:02
가만히 좀 줘라 이거지.
02:03
만드는 시간이 길어지니까.
02:04
마지막은 말이 맞는 것 같긴 한데.
02:07
말이 고마우면.
02:08
비지만 살아가는데 주부까지 사오니까.
02:10
예쁘게 말하면 저런 거지.
02:12
많은 말이 고와야.
02:13
그런데 말은 보태고 떡은 뗀다는 대체 뭔 뜻이야?
02:16
그러니까 말은 보태고 떡은 뗀다는 왠지 부정적인 얘기잖아.
02:20
말을 보탠다는 게 좋은 의미는 아닐 것 같아.
02:22
말이 제일 맞죠.
02:23
정확히 맞죠.
02:24
다 통용되어 있는 것도 말이에요.
02:26
자, 도전.
02:27
동갑.
02:28
네, 정답.
02:29
말이요.
02:30
말.
02:31
말이 어떤 말을 말하는 겁니까?
02:33
말하는 말이요.
02:35
맞는 것 같은데.
02:35
띄는 말과 하는 말은 장음 단음이 다릅니다.
02:39
하는 말이면 말.
02:41
말이요.
02:43
말.
02:44
네.
02:45
자, 정답 확인하겠습니다.
02:46
말.
02:48
아, 제발.
02:49
맞을까.
02:49
말 많은 분이 장맛도 쓰다.
02:51
정답입니다.
02:52
정답은 말입니다.
02:54
아, 다행이다.
02:55
이 과가 잘한다.
02:56
말 한마디가 천량 빚을 갚는다는 우리 속담도 있듯이 우리 선조들은 말을 사람의 운명까지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할 정도로 중요하게 생각을 했습니다.
03:00
그만큼 말과 관련 있는 속담들이 참 많다는 거죠.
03:01
말 한마디가 장은 고추장 된장 같은 걸 말하는데.
03:02
장맛이 쓰다.
03:03
장맛이 쓰다.
03:04
장맛이 쓰다.
03:05
장맛이 쓰다.
03:06
장맛이 쓰다.
03:07
장맛이 쓰다.
03:08
그렇지.
03:09
장맛이 쓰다.
03:10
장맛이 쓰다.
03:11
장맛이 쓰다.
03:12
장맛이 쓰다.
03:13
장맛이 쓰다.
03:14
장맛이 쓰다.
03:15
말과 관련 있는 속담들이 참 많다는 거죠.
03:18
첫 번째 속담은 장은 고추장 된장 같은 걸 말하는데 살림 전반을 뜻하거든요.
03:22
장맛이 쓰다는 건 살림이 잘 돌아간다는 얘기일까요 아닐까요.
03:26
안 돌아간다는 거죠.
03:28
그러니까 말이 많으면 집안 살림이 잘 안 돌아가니까 말은 좀 최대한 자제하고 진중하게 하라 그런 의미가 있습니다.
03:36
그럼 말은 보태고 떡은 뗀다는 뭘까요.
03:38
이기적인 행동.
03:39
얌체.
03:40
얌체.
03:41
얌체.
03:42
말은 보태워지고 떡은 떨어진다는 건데 떡은 음식이니까 돌려서 먹다 보면 많은 사람들이 떼 먹고 점점 양이 줄잖아요.
03:49
그런데 반대로 말은 어때요.
03:51
점점 소문이 돌아다니까.
03:53
널리 퍼지면 퍼질수록 과장되고 없던 말까지 붙잖아요.
03:59
발 없는 말이 천리 간다는 말처럼 소문이 빠르고 왜곡되기 쉽다는 걸 경계하는 표현입니다.
04:05
좋은 말이다.
04:07
세 번째 속담은 어느 정도 짐작은 되죠?
04:10
예쁜 말.
04:11
두부 장소의 말이 다정하고 상냥하면 저렴한 비지를 사러 갔다가도 더 비싼 두부를 사온다.
04:17
이런 얘기입니다.
04:18
그러니까 말의 힘이 얼마나 큰지를 일상의 장면에 비유해서 보여주는 것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
5:28
|
다음 순서
[선공개] 궁궐을 피바다로 만들었던 연산군! 그 옆을 지키는 최악의 간신 '임숭재'가 죽기 직전 남긴 유언
채널A Home
4개월 전
5:03
[선공개] 행성들의 이름은 무엇? 오늘 좀 멋있는 과학 전문가 궤도가 설명해주는 행성 이름
채널A Home
5개월 전
4:08
[선공개] 법의학=죽은 사람을 해부하는 학문? 사람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주는 역할을 하는 법의학!
채널A Home
4개월 전
1:00
[예고] 갱년기 걱정에 시달리는 여성들의 궁금증을 해결할 화끈한 테라피♨ 방송 최초 갱년기 자가 검진 대공개!
채널A Home
9개월 전
0:36
[11회 예고] '아이'만 보면 레이저 발사하는 늑대 3호?! 강형욱이 경악한 이유는?
채널A Home
5일 전
0:38
[예고] "어릴 때 헤어진 친아빠를 찾아주세요" 얼굴조차 모르는 아빠를 찾을 수 있을까?
채널A Home
5일 전
0:36
[예고] 가을에 관절염 환자가 많이 발생한다?! 퇴행성 관절염에 도움을 주는 이것의 정체는?
채널A Home
5일 전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