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다음 자음과 모음을 모두 사용하여 단어를 만들어보세요.
'ㄱㅇㄱㅇㅐㅇㄷㅌㅐㅗㅏㅗㅏ'
#전현무 #하석진 #이상엽 #궤도 #황제성 #윤소희
지식 충전 퀴즈쇼 [브레인 아카데미]
매주 목요일 밤 10시 방송
카테고리
📺
TV트랜스크립트
00:00잘 뵙겠다.
00:01자 그러면 어쨌든 다른 주보다 저를 좀 많이 쳐다보네요.
00:05아유, 왜냐하면
00:06기대하는 게 좀 있나 봐요.
00:06아니, 본인 표정 잘 모르시죠?
00:09귀신 본 것 같아요.
00:10지금 저렇게 나와가지고
00:11이 공간에 조용하고 나하고 둘이 있는 것 같아요.
00:16아 그럴 것 같아요, 진짜.
00:17너무 기분이 이상해요, 지금.
00:18그러니까.
00:20자, 첫 번째 문제 풀기에 앞서서
00:22가볍게 몸 풀기 문제를 하나 준비해봤는데
00:24네, 좋습니다.
00:25여러분, 초성 퀴즈 다 아시죠?
00:27아, 재밌죠?
00:28정말 잘합니다.
00:29화면에 초성을 띄워줄 테니까
00:31재성시부터 궤도시까지 쭉 이렇게
00:33차례대로 말하면 되는 거고
00:35물론 겹치면 안 됩니다.
00:37상의할 수는 없어요.
00:38정답인지 아닌지는
00:40국립국어원에 등록된 단어인지를 가지고 판정하겠습니다.
00:43무슨 수영 같잖아.
00:44몇 글자리?
00:45두 글자, 세 글자겠죠?
00:47자, 그러면 문제 주세요.
00:50다음 초성을 이용해 단어를 만들어 보세요.
00:53아, 세 글자짜리구나.
00:59큰일 났다.
01:00큰일 났다.
01:01나 생각 안 나.
01:03나 아무것도 생각 안 나는데.
01:05내 친구 이름 생각도 나는데.
01:07난 미치겠네.
01:08좀 더 아무 생각이 안 나요.
01:10자, 이제 재성 씨부터 출발.
01:12갑니다.
01:13자, 사원증.
01:15사원증?
01:18자, 이거는 인정하고 들어갈게요.
01:20자, 이상엽 씨.
01:21사우정.
01:22사우정.
01:23정답입니다.
01:23감사합니다.
01:25잘했어요.
01:27자, 전현무 씨.
01:28수영장.
01:29수영장.
01:30정답입니다.
01:32자, 하석훈 씨.
01:33송아지로 가겠습니다.
01:35송아지.
01:36이런 걸 어떻게 생각하겠습니까?
01:37거의 뭐 표준 답이죠.
01:40자, 윤서희 씨.
01:40소유주.
01:42정답입니다.
01:43자, 이제 궤도 시험 가시는 선호입니다.
01:45자, 궤도 씨.
01:50선인장 가겠습니다.
01:51선인장.
01:52정답입니다.
01:53네.
01:54아, 저희 다 풀었네, 이번에도.
01:55사실 황재성 씨께 처음이라 그냥 넘어갔는데.
01:59네?
01:59국립국어원에 지금 등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02:02사원증이 없어요?
02:03네, 사원증이 없습니다.
02:04오.
02:05또 기억나는 거 있어요?
02:06소우주?
02:08소우주도 좋죠.
02:09술 한 툰 안 되나요?
02:10네?
02:10술 한 주.
02:11술 한 주 좋죠.
02:12술 한 주 좋겠지.
02:13신의 주.
02:14네, 그것도 있죠.
02:14생각해보면 굉장히 많아요.
02:16네.
02:17그러니까 우리가 흔히 쓰는 말 중에도 현재 등록이 안 돼 있는 표현도 있고, 정작 등록이 돼 있는 표현인데도 우리가 모르는 경우도 많죠.
02:24몸, 다들 풀렸죠 이제?
02:26네.
02:28몸풀기인데 땀이 났어.
02:29저도요.
02:30아, 땀이 쫙 났습니다 아주.
02:32자, 이제 첫 번째 문제를 풀어볼 텐데, 이번에는 자음과 모음을 활용한 문제를 준비했습니다.
02:38너무 인상 쓰지 마시고요, 전현모 씨.
02:40문제를 내 때마다 인상을 쓰는데.
02:43문제 드립니다.
02:44다음, 자음과 모음을 모두 사용하여 단어를 만들어 보세요.
02:50단, 회전하지 않습니다.
02:52좋다.
02:52정말 다 써야 된다는 거예요?
02:58이 단어인 거죠, 문장이 아니고?
03:02네, 단어입니다.
03:03하나가 나오나요?
03:06그렇죠.
03:06어, 주즈?
03:07토닥토닥.
03:10토닥.
03:11안 되고.
03:12오타, 오타도 있고.
03:13다 써야 되는 거예요?
03:14단어니까 단어.
03:15모두 사용해야 합니다.
03:17빠지는 게 있으면 안 돼요.
03:18자음 7개, 모음 7개.
03:20그러면 4글자를 기본으로 하면, 4글자, 5글자를 기본으로 하면
03:25받침이 보통, 3개는 받침이 들어오는 게 좋거든요.
03:29그리고 2개는 합쳐야 돼요.
03:50왔어?
03:51왔어요, 오랜만이네요.
03:53벌써 왔어요?
03:53오랜만에 왔어요.
03:54왜 뭐가 왔어?
03:55던져봐요.
03:56어, 우리나라 땅을 엄청 멀켰던 왕이 있었죠.
03:59아!
04:00어?
04:01나도 뭔지 알았어.
04:02야, 속진이 봐라.
04:04와아.
04:05그분이시구나.
04:07와아.
04:08속진아.
04:08자, 도전 왔어요.
04:09네.
04:10정답.
04:10네, 정답.
04:11광개토대왕입니다.
04:12와아.
04:14정답을 화면으로 확인해 보시죠.
04:16전화음을 어떻게 지금, 어떡하나.
04:19정답을 화면으로 확인해 보시죠.
04:21정답을 화면으로 확인해 보시죠.
04:25진짜 대박이다.
04:26와아.
04:28진짜 대단하다.
04:29아, 속진입니다.
04:30섹시.
04:31자, 광개토대왕.
04:32정답입니다.
04:33와아.
04:34속진아.
04:35와, 오빠가 한 방에 있으시네요.
04:37역시.
04:38어디, 어디에 힘들었는 거야?
04:39오와, 오와가 있길래 왕을 한 번 해봤어요.
04:42오와, 오와라 왕이다.
04:43오와, 오와에 또 하나 있길래 광을 해보니까
04:46광, 광, 광개토대왕 하니까
04:48다 들어가는 거예요?
04:50긴 난다.
04:51왕과 광으로 일단 카드를 소진하는 법을 먼저 생각을 했었습니다.
04:55토닥토닥 누구였죠, 아까?
04:57좀 토닥토닥 해주세요.
04:58그냥 한 번 던져본 거예요, 여러분들.
05:02못 하셨죠?
05:03네, 그래요.
05:04자.
05:06여러분, 저 한글 자음이 모두 몇 개죠?
05:0814개요.
05:0914개, 그렇습니다.
05:10한글 자음 14개.
05:11모음은 몇 개죠?
05:12오, 모음은 자음만큼 있진 않죠.
05:15자음보다는 작겠죠?
05:1610개 아니?
05:1610개네.
05:1710개, 그렇습니다.
05:18한글은 자음 14개, 모음 10개의 조합인데
05:20이 20억자로 조합을 하면 얼마나 많은 글자를 만들 수 있을까요, 대략?
05:25이거는 기도로 맞춰야지.
05:26수학이다.
05:27아...
05:28경우의 수.
05:2814개랑 15개.
05:30엄청 많을 것 같은데, 숫자를 못 세겠네.
05:34네, 이거는 세 개가 어려워요.
05:36모음으로 조합할 수도 있잖아요.
05:37두 가지 이상이 모음이.
05:38그러니까요.
05:39와도 있고, 막 하니까.
05:40값을도 있고.
05:41한 만 개?
05:42만 개.
05:43만음절.
05:44그렇습니다.
05:44음절만 무려 11,172개가 나온대요.
05:48와...
05:49어마어마하죠?
05:5011,172개.
05:52한글은 간단한 원리만 알면 누구나 글자를 만들 수 있어서
05:55배우기 쉽고 표현도 효율적인 문자고요.
05:57그래서 세계적으로도 정말 쉬운 문자 중에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06:01외국 사람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제일 먼저 하는 말이
06:04너무 빨리 읽는 법을 알았다.
06:06맞아, 맞아.
06:07이게 우리 발음 기회를 따서 한 건데
06:09이게 과학적으로 만들어진 언어라
06:12이제 문법 이리로 가면 힘들어지는데
06:15읽기는 너무 쉽다.
06:16간판 바로 바로 읽고.
06:17와, 힘이 하던데.
06:18보는 데를 읽으니까.
06:19그렇죠.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