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제
카테고리
📺
TV트랜스크립트
00:00여러분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English Trainer 마이유 인사드리겠습니다
00:22안녕하세요 저는 영어 왕초보 대표 박세희입니다
00:25월컴 투 왕초보 영어 월컴 투 왕초보 영어 월컴 투 왕초보 영어 you guys today is Monday 월요일입니다
00:30한주고 맑았습니다 주말에 좀 공부하셨어요? 주말에요 그럴리가요 열심히
00:36그렇군요 저는 혹시 반전을 기대했건만 자 우리 가족 영어 해볼까요
00:42옷은 원래 공유하는 거야 동생아 라고 해서 혹시 어떻게 좀
00:48저는 다행히 동생과 체형이 많이 달라요
00:51근데 엄마랑 같아서 엄마가 제 옷을 스틸을 많이 하셨어요
00:57맙소사 스틸 전문용어군요
01:00그렇죠 물론 저도 엄마 옷을 많이 스틸했고 서로서로
01:04당단점이 있을 것 같기는 해요
01:06내가 입고 싶지만 돈 주고 사기 좀 그랬다
01:09그럼 이제 좀 이렇게 타협을 해서
01:12하지만 또 내가 중요한 날에 동생이 입고 나갔다
01:16이러면 또 눈물 날 것 같고요
01:17아우 그렇죠 아니 그러니까 곱게 입고 와도 어쨌든 입고 나갔다는 거가
01:23네 좀 약간의 그런 건 또 생각 못했네요
01:25네 화를 돋웁니다
01:26자 그럼 그런 대화 내용을 한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01:29미션 우리말로 드릴 테니까요 영어로 최대한 많이 바꿔보도록 하세요
01:33미션 공개합니다 미션 공개
01:34미션 공개
02:04첫 번째 미션 보니까요
02:06왜 물어보지도 않고 내 드레스 가져갔어
02:10아 드레스 정도면 뭐
02:12이거는 진짜 혼줄나야 돼
02:14아니 드레스는 지금 아니 만약에 개인 소유물이면
02:18이거 대여비로 돈도 벌 수 있어요
02:21아 그 정도군요
02:22드레스는 값어치가 꽤 됩니다
02:24특히 한 번도 안 입었다면
02:25아 그러면 정말 이거는
02:28개저제
02:28아우 크게 싸움나요
02:30알겠습니다
02:31자 두 번째 미션입니다
02:33언니가 내 옷 입는 거 진짜 싫어
02:36이렇게 이제 본인의 의견을 얘기하게 됩니다
02:39그럴 수 있죠
02:40자 뭐 하는 게 정말 싫다라고 하는 것을
02:43어떻게 영어로 만들 수 있을지
02:44오늘 또 핵심입니다
02:46야 좋은데요
02:47자기 의사 표현을 이렇게 영어로 할 수 있다니
02:49벌써 신납니다
02:49그렇다면 말도 안 하고 내 옷을 가져간 언니에게 화내러 가볼까요
02:54좋습니다
02:54슬기롭게
02:55도전
02:56왜 물어보지도 않고 내 드레스 가져갔어
03:00뭐?
03:01뭐?
03:02뭐?
03:04아니
03:06without asking to me
03:08you
03:09this dress is mine
03:11why
03:12why did you
03:13wear my dress?
03:15아...
03:16Don't over react!
03:17I was just borrowing it.
03:19I was just borrowing it.
03:20One more time, one more time.
03:22Don't over react.
03:23What?
03:24What?
03:25I was just borrowing it.
03:28와, 정말 방귀 낀 놈이 썩네 그냥.
03:32I was about to return it.
03:35I was about to return it.
03:37잠깐만, 뭐 묻은 거 같은데?
03:39아, 정말! 언니가 내 옷 입는 거 진짜 싫다고!
03:43뭐라고 얘기하는 거야?
03:45I hate you wear my clothes.
03:50It's okay.
03:52Just calm down.
03:54I'm not okay, I'm not okay.
04:00결국 그 자매와, 자매가 아예 그냥 옷을 가져갔다고 들었어.
04:05큰일 나요.
04:06이러다가는 거의 뭐 야 너 그러면 호적에서 너 이름 왜 빼?
04:10막 이런 얘기까지 나온다니까요.
04:12이게 옷이 굉장히 또 민감할 수 있단 말이죠.
04:14맞아요.
04:15네.
04:16특히나 자매들 사이에서는 온 문제로 정말 치열하게 싸워요.
04:21맙소사.
04:22네.
04:23이런 상황은 많이 있을 수도 있고요.
04:24이런 장면을 또 우리가 TV에서 볼 수도 있는 거잖아요.
04:26그렇죠.
04:27그래서 알아도 들어야 됩니다.
04:28아, 좋습니다.
04:29네, 제가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04:30일단 전체 대화 잘 들어보시고요.
04:32긴 칸 최대한 많이 채워보도록 하세요.
04:33전체 대화 주세요.
04:34주세요.
04:35네, 오늘의 다이알로그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04:57자, 일단은 우리 미션 문장부터 가져갈 텐데요.
05:00왜 물어보지도 않고 내 드레스 가져갔어?
05:03화가 난 거야.
05:04그러네.
05:05Why did you take 가져갔어?
05:07뭐를?
05:08My dress.
05:09Without asking.
05:10질문 없이.
05:12Without은 뭐뭐 없이로 해석을 해야 될 것 같아요.
05:15오케이.
05:16오케이.
05:17한번 나눠볼까요?
05:18Why did you take my dress까지 할게요.
05:21오, 드레스 알겠습니다.
05:23예, 드레스인 것 같습니다.
05:24오케이.
05:25드레스.
05:26네.
05:27자, 여기서 사실 어려운 단어 자체는 없는 것 같아요.
05:30그렇죠?
05:31무슨 뭐 덩어리라든가.
05:32So, why did you take my dress without asking.
05:36정답, 드레스 맞는지.
05:38Of course.
05:39자, 발음할 때 너무 드레스는 좀 심하죠.
05:42그렇죠?
05:43네.
05:44DR이 충돌을 하면 ㅈ 비슷하게 발음이 되는데 사실 ㅈ은 아니에요.
05:48그래서 DR 할 때 R 발음을 혀를 제대로 당겨주면 그런 현상이 날 수밖에 없습니다.
05:54네.
05:55읽을 때 드레스 라고 하지 마시고요.
05:57입 모양을 모은 채 드레스.
06:00드레스 가볼게요.
06:01드레스.
06:02드레스.
06:03드레스.
06:04훨씬 좋죠. 그렇죠?
06:05So, my dress를 가져갔냐.
06:07어? 여기 지금 take 나왔네요.
06:10네.
06:11해석제가 뭐라고 했죠?
06:12어...
06:13take를 뭐로...
06:14가져가다.
06:15예스.
06:16자, 여러분 이거 기억나세요?
06:18take하고 bring은 다릅니다.
06:20네.
06:21bring이라고 하는 건 상대방 쪽으로 가까이 붙인다고 최근에 얘기했었죠.
06:26갖다 주는 개념.
06:27맞아요.
06:28그렇죠?
06:29그렇지만 take 같은 경우에는 상대방으로부터 멀어지는 느낌.
06:31아삭한다는 느낌이 좀 있단 말이에요.
06:33우와.
06:34네. 그렇기 때문에 why did you bring이라고 해버리면 내 쪽으로 가까이 붙여놨니가 되는 거예요.
06:40그러면 여기에서 bring 쓰면 안 되겠네요.
06:42안 되죠.
06:43그렇죠.
06:44여기서 오히려 bring 하면 좋은 거죠.
06:45그렇죠?
06:46take 한마디로 나로부터 멀게 만들었냐라고 하는 게 맞습니다.
06:50그래서 사전에서 가져오다 가져가다 이렇게 한다고 해서 그거에 완전히 암기 수준으로 가면 안 돼요.
06:56네.
06:57이거는 융통성 있게 가야 됩니다.
06:59이렇게 좀 여기서 take 가져가는 느낌.
07:01멀어지는 느낌.
07:02자, 여기서 핵심은 바로 이겁니다.
07:05핵심 패턴 without asking 있죠.
07:08네.
07:09이거 심지어 frame patterns 중에 하나예요.
07:13뼈대 패턴입니다.
07:14without ing 하면 ing 하지 않은 채 이건데요.
07:19좀 어색하죠 한국어로.
07:21그래서 뭐뭐하지 않고 손을 안 씻고 밥을 먹었다.
07:26기도를 안 하고 뭘 했다.
07:28안 하고 라는 느낌을 줄 때 without 어떤 행동하는 것 이라고 얘기를 해요.
07:34예를 들어서 먹지 않은 채 먹지도 않고 그러면 뭐라고 해요.
07:38without eating.
07:39그렇죠. without ing 붙여서 without eating.
07:43이거 어떻게 할까요.
07:44안녕이라고 말하다가 뭐예요.
07:46say hello.
07:48say up.
07:49헤어질 때.
07:50say bye.
07:51say goodbye.
07:52그러면 안녕이라고 하지도 않은 채 이러면 어떻게 할까요.
07:56without saying goodbye.
07:57그렇죠. without saying goodbye.
08:00자, 그러면 문장으로 만들게요.
08:03네.
08:04나 먹지도 않고 잤어.
08:06이렇게 할게요.
08:07나 잤어 먹지도 않고.
08:09I slept without eating.
08:12그렇죠.
08:13I worked without eating.
08:16이런 느낌 그렇죠.
08:17자, how about this.
08:18그녀는 떠났어.
08:19안녕이라고 하지도 않은 채 떠났대요.
08:22아이고.
08:23she left without saying goodbye.
08:26그렇죠.
08:27여기서 ing만 제대로 맞춰준다면 완벽합니다.
08:30오.
08:31이거는 되게 고급스러운 문장 되지 않았어요.
08:34그러니까 이렇게 긴 문장을 진짜 써본 적도 없는 건데
08:37툭툭툭 나오는 게 지금 너무 신기해서 제가 놀랐어요.
08:39너무너무 좋아요.
08:40이거 더 좋아질 겁니다.
08:41이거 솔직히 말해서 하루에 몇 번만 해도 실력이 훅훅 늘 수밖에 없거든요.
08:46자, 한번 같이 읽어보도록 할게요.
08:49I slept without eating.
08:51I slept without eating.
08:52I slept without eating.
08:53She left without saying goodbye.
08:55She left without saying goodbye.
08:57자, 이번에는 살짝 분노하는 느낌으로 읽어보겠습니다.
09:00네.
09:01Why did you take my dress without asking?
09:04Why did you take my dress without asking?
09:07OK.
09:08좋아요.
09:09연기 들어가야 돼요.
09:10자, 두 번째 볼게요.
09:11관인 반응하지 마.
09:13그냥 빌린 거잖아.
09:15약간 실제 느낌 아닙니까?
09:16그렇죠.
09:17그렇죠.
09:18미안해.
09:19이런 게 아니라.
09:20좀 오버하지 마.
09:22약간 이런 느낌이라서.
09:23그러면 don't be over 할게.
09:26don't be over.
09:27don't be over.
09:28오버 되지 마.
09:29be, be over.
09:31그냥 don't over 하면 이상할 것 같아요.
09:33나름대로 비동사 갖춰줬네요.
09:35be over.
09:36I was just borrowing it.
09:38난 그걸 단지 빌린 것 뿐이야.
09:40OK.
09:41so, don't be over.
09:43I was just borrowing it.
09:45정답 볼게요.
09:47오!
09:48아, 오버가 들어가긴 했네요.
09:50우리가 오버한다고 할 때
09:52be over 이렇게 쓰지 않아요.
09:54오버가 된 건 끝났다 라고 할 때
09:56game over 같은 데는 쓰는 겁니다.
09:57아, be over는 끝난 거죠.
09:58그렇습니다.
09:59그래서 우리가 과민반응하는 거 있잖아요.
10:02아, 막 이런 식으로.
10:03right?
10:04그거는 react 한다는 거.
10:05여러분, reaction이라고 들어봤어요?
10:06네, 반응하다.
10:07right?
10:08so, 그것에다가
10:09over를 넣을 때만 가능합니다.
10:11so, over react.
10:14실제로
10:15over하다.
10:16go overboard.
10:17라는 표현이 있기도 해요.
10:18그건 또 나중에
10:19잡아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0:20so, don't over react.
10:22하지 마.
10:23I was just borrowing it.
10:25이라고 얘기를 했어요.
10:27그렇죠?
10:28자, 여기서 과민반응해가 아니라 하지?
10:30하지 않아.
10:31하지 마.
10:32마.
10:33right?
10:34명령어는 명령어지만 부정한 명령이에요.
10:36그렇죠?
10:37하지 마라고 얘기를 했어요.
10:39그러면 동사원형 앞에 뭘 붙였어요?
10:41동사원형 앞에 not.
10:42don't.
10:43don't.
10:44right?
10:45so, don't 하고 나서 동사원형 쓰면
10:47원래 뭐 뭐 해는 동사원형으로 출발을 하잖아요.
10:50네.
10:51근데 그 앞에 don't만 붙인 겁니다.
10:52right?
10:53네.
10:54자, 예를 들어서
10:55너 우리한테 거짓말 하지마.
10:57우리한테 거짓말 하지마.
10:58우리한테 거짓말 하지마.
10:59어떻게 할까요?
11:00don't lie to us.
11:02아, 그렇죠.
11:03don't lie to us.
11:04yes.
11:05자, 이번에는요.
11:06근처에 라는 게 주위에 라고 할 때
11:08near someone.
11:09이렇게 하면 되거든요.
11:10자, 그러면 영화에서 그런 거 있잖아요.
11:12네.
11:13내 근처에 오지마.
11:14내 근처에 오지 말라고.
11:15뭔가 대치 상황인 거예요.
11:17자, 내 근처에 오지마.
11:19어떻게 할까요?
11:20don't come near me.
11:22near me.
11:23그렇죠.
11:24don't come near me.
11:25이렇게 만들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11:27둘 다 행동하지 마라.
11:28자, 읽어볼게요.
11:29don't lie to us.
11:31don't lie to us.
11:32don't come near me.
11:33don't come near me.
11:34don't come near me.
11:35여기서 챌린지 하나 걸겠습니다.
11:37근데 슬기씨는 이거 잘해가지고
11:39굉장히 기분 상한 거 뭐라 그러는 줄 아세요?
11:42좀 기분 상해 있는 거.
11:43이거.
11:44you're up.
11:45up.
11:46이렇게 시작해요.
11:47upset.
11:48yes.
11:49그러면 기분 상하지 마.
11:50상해하지 마.
11:51그럼 어떡할 거 같아요.
11:53yeah.
11:54형용사니까.
11:55don't be upset.
11:56그렇죠.
11:57슬기씨 전문입니다.
11:58네.
11:59여기서 don't 동사 원형이라고 했었잖아요.
12:01그랬을 때 upset은 형용사니까 혼자 못 쓰죠.
12:04그래서 비동사의 원형 BE를 쓴 겁니다.
12:06so don't be upset 이 정답이 되겠죠.
12:09네.
12:10자, 그리고 여기서 지금 빌린 거라고 했을 때
12:12빌리다란 동사 뭐 썼어요?
12:14borrow.
12:15borrow, right?
12:16얼마 전에 최근에 했었던 거 복습해 보겠습니다.
12:19borrow는 빌리다인데
12:21빌려주다가 뭐였는지 기억나세요?
12:23빌려주다?
12:24반대로.
12:25랜드.
12:26오.
12:27지금 눈이 지금 살짝 흔들어졌었는데
12:30맞습니다.
12:32여러분 기억나시죠?
12:33랜드 랜드 랜드 랜드 했었던 거.
12:36오케이.
12:37좋습니다.
12:38자, 그러면 우리 읽어볼게요.
12:39don't over react.
12:41I was just borrowing it.
12:43don't over react.
12:45I was just borrowing it.
12:46아주 좋습니다.
12:47자, 두 문장 했으니까 피터와 트레이닝 할게요.
12:49Why did you take my dress without asking?
12:53Why did you take my dress without asking?
12:55Why did you take my dress without asking?
13:00Don't over react.
13:03I was just borrowing it.
13:06Don't over react.
13:07I was just borrowing it.
13:10Don't over react.
13:12I was just borrowing it.
13:14네, 다음 문장 한번 볼게요.
13:19아, 막 돌려주려던 참이 없다고.
13:23오, 맞아요.
13:25Be about to.
13:27뭐뭐 하려고 했다.
13:28뭐뭐 하려고 하던 참이다.
13:30이렇게 외웠던 기억나요?
13:31예전에 한번 했습니다.
13:32네.
13:33I was about to.
13:35돌려주다.
13:36네.
13:37돌려주다는 혹시 return it?
13:40오.
13:41Yes.
13:42Return.
13:43오, 오케이, 오케이, 오케이.
13:44우리가 보통 무슨 뭐, rental car, right?
13:48그런 것도 다시 반환해서 주는 거.
13:51return, right, right.
13:53자, 맞는지 보겠습니다.
13:54I was about to return it.
13:56그거를 return 하려는 참이었다고.
13:59Very nice.
14:01return, 돌려주다, 반납하다가 되겠고요.
14:04이건 사실은 give back이랑 비슷해요.
14:07So, I was going to give it back to you.
14:09뭐 이런 식으로 사용하셔도 됩니다.
14:11근데 오늘은 좀 이 단어를 한번 해보고 싶었어요.
14:14이 return이라는 거 발음할 때 R이 두 개죠. 그렇죠?
14:18그래서 얘를 너무 편하게 발음하시면 안 되고요.
14:21R 발음 항상 말씀드리지만 입 모양 좀 모으시고
14:24or, 혀가 많이 당겨져야 됩니다.
14:26처음에 we 할 때도 입 모양 모아지죠.
14:30we,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라 turn 할 때도 혀가 다시 뒤로 당겨져야 돼요.
14:35so, we, 그 다음에 turn, return, return.
14:42가보세요.
14:44return, return.
14:46아, 좋습니다.
14:47그래서 입 모양이 모아져 있고 혀의 core가 뒤로 당기듯이.
14:51오케이.
14:52자, 얘 정말 너무 중요해요.
14:55핵심 패턴입니다.
14:56네.
14:57바로 이 부분.
14:58이 부분.
14:59네.
15:00슬기 씨 혹시 be about 동사원형
15:02뭐뭐하려는 참이다 배워본 적 있나요?
15:04다른.
15:05고등학교 때 뭐뭐하려고 한다.
15:07그래서 제가 한번 영어를 정말 정복해보자 할 때
15:10영어 일기를 꽤 오래 썼거든요.
15:12오케이.
15:13너무 좋아요.
15:14항상 이 패턴을 썼던 것 같아요.
15:15뭐뭐하려는 참이다.
15:16뭐뭐하려고 했다.
15:17뭐뭐하려고 했는데 못했다.
15:19뭐 이런 거를 계속 여기에다가만 썼어요.
15:21오케이.
15:22be about는 그렇게 익히신 거 너무 잘한 거예요.
15:25얘도 핵심 frame patterns 중에 하나.
15:29뼈대 패턴 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얘는 대체할 수 있는 게 없는 건 아닌데 빈도가 높아요.
15:34네.
15:35about이라고 하는 거는 거의 약 이런 식이죠.
15:38네.
15:39그래서 실제로 그거를 한 거는 아니에요.
15:41하지만 굉장히 그 행동에 가깝다라는 느낌이죠.
15:43about.
15:44right.
15:45so i'm about to do something 이 얘기는 아직은 한 거는 아니지만
15:49막 그러려는 참이다.
15:51그리고 비동사 과거 영어로 쓰면 i was about 하면 하려는 참이었어.
15:55이런 말투를 이제 만들어낼 수가 있는 거죠.
15:57그렇죠?
15:58예를 들어서 집에 가다가 동사로 뭐예요 여러분들?
16:01집에 가다?
16:03go to home.
16:04go to home.
16:05go to home.
16:06go back home.
16:07그냥 go home.
16:08right.
16:09여기서 실수가 나올 줄이야.
16:11자 그러면 나 집에 가려는 참이야.
16:14나 집에 가려는 참이라고.
16:16어떻게 할까요?
16:17i'm about to go home.
16:19그렇죠?
16:20i'm about to go home.
16:21about인 거예요.
16:22자 두번째 시제 좀 바꿔 볼게요.
16:24그녀는 먹으려는 참이었어.
16:26그녀는 막 먹으려는 참이었다.
16:28그때 뭐 이런 느낌.
16:30she was about to eat.
16:34그렇죠.
16:35she was about to eat.
16:37and then 이러면서 뭔가 스토리가 이어진다든가
16:39자 이렇게 만들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16:41시제는 비동사에서 이렇게 바꿔 주시면 돼요.
16:45you got it?
16:46오케이. 읽어볼게요.
16:47i'm about to go home.
16:49i'm about to go home.
16:50she was about to eat.
16:52she was about to eat.
16:54네. 이거는 return 하려는 참이었으니까
16:56아직 안 한 거죠.
16:57그렇죠.
16:58return을 안 했으니까 지금 조금의 싸움이.
17:01그렇죠. 당장 달라고 이래야 되는데.
17:04맞아요.
17:05자 읽어볼게요.
17:06i was about to return it.
17:08i was about to return it.
17:10자 마지막 미션입니다.
17:13너무 중요합니다.
17:15언니가 내 옷 입는 거 진짜 싫어.
17:19묵직하게 한마디 던지네요.
17:22i hate.
17:23나 정말 싫어.
17:24when you wear my 옷.
17:27언니가 내 옷 입을 때 싫어.
17:30그러면 i hate해서 끊어줘야겠네요.
17:33네.
17:34when you wear my 옷으로 했으니까
17:38드레스가 아니고 그러면은
17:40clothes로 그럴까요?
17:42오케이.
17:43클로스.
17:44클로스.
17:45클로스.
17:46지금 클로스라고 쓰셨는데
17:47맞는지 한번 보겠습니다.
17:48i hate when you wear my cloth.
17:50클로스.
17:51자.
17:52아.
17:53아.
17:54아.
17:55클로스까지 하면 천이에요.
17:56천.
17:57아 그래요?
17:58네.
17:59그게 붙어서 이렇게 붙어서 옷이 만들어졌죠.
18:00내 천을 입는 거 정말 싫어.
18:02이런 느낌이 돼버렸어요.
18:03어.
18:04클로스가 원래 옷 아닌가요?
18:05클로스 이렇게 되고요.
18:06예.
18:07클로스.
18:08예가요?
18:09라고 해서 es를 붙여야 됩니다.
18:10아.
18:11네.
18:12앞으로는 이렇게 만들어 주세요.
18:13지금까지 제가 한참 잘못 알고 있었네요.
18:15네.
18:16th es를 엄청 고민하실 거예요.
18:18클로스 이렇게 하시려고 하는데
18:22그게 아니라 그냥 th es 자체를 z에 가깝게 발음하시면 됩니다.
18:26오.
18:27클로스.
18:28클로스라고 하셔도 소통이 아주 잘 될 수가 있어요.
18:31네.
18:32자.
18:33여기 중요한 게 있습니다.
18:34난 뭐가 싫다 라고 하면 그냥 i hate something.
18:39그냥 명사를 넣으면 되잖아요.
18:40네.
18:41i hate you.
18:42i hate that.
18:43i hate my car.
18:44something like that.
18:45right?
18:46i hate something 쓰면 돼요.
18:47하지만 여기서는 지금 보세요.
18:48i hate 하고 나서 어떤 상황이 나왔죠.
18:51네.
18:52이 상황은 단순하게 명사 덜렁하나 둥 놀 수는 없는 겁니다.
18:56오케이.
18:57자 그래서 우리가 어떤 상황이 참 나는 싫다 라고 얘기할 때는요.
19:01i hate when 쓰고 나서 문장을 그냥 넣어 주시면 돼요.
19:05오케이.
19:06그러면 그 문장에 나온 상황 자체가 난 너무 싫어.
19:08이렇게 더 디테일하게 갈 수 있습니다.
19:10자.
19:11let me show you.
19:12그대로 가져왔어요.
19:13네.
19:14i hate 하고 it을 넣어도 되고 빼도 돼요.
19:17오케이.
19:18so i hate or i hated when 평소문.
19:21이렇게 하면 평소문의 내용이 벌어질 때 나는 정말 짜증이 난다.
19:25이런 느낌 쓸 수 있습니다.
19:26네.
19:27이게 원래 it을 쓰면 문장 구조적으로 더 완성되었다라고 또 얘기가 있어요.
19:33그리고 it을 빼면 구어채에서 it이 귀찮아서 빼는 사람도 굉장히 많습니다.
19:37so i hate it when 어쩌고 저쩌고 이렇게 쓰던가.
19:40or i hate when 어쩌고 저쩌고.
19:42둘 다 가능해요.
19:43네.
19:44오케이.
19:45자.
19:46그러면 이거 한번 해볼게요.
19:47상대방이 나한테 거짓말할 때 나는 너무 짜증이 나는 거예요.
19:49그렇죠.
19:50그래서 그거에 질렸어요.
19:51지금.
19:52그래서 얘기를 한번 해보세요.
19:53나이잖아.
19:54내가 나한테 거짓말할 때 정말 싫어.
19:58이거로 한번 해볼게요.
19:59일단은 나는 싫다 라고 출발하면 어떻게 해요.
20:02i hate.
20:03자.
20:04그 다음에 어떤 때니까.
20:05when.
20:06when.
20:07네가 나한테 거짓말한다.
20:09you tell a lie to me.
20:11오케이.
20:12그냥 lie 동사 쓰시면 돼요.
20:13강박이 있어요.
20:14네.
20:15하나만 쓰면 틀릴 것 같고.
20:16뭔가 있어 보이려고 자꾸만 뭘 붙여요.
20:17i understand.
20:18so i hate.
20:19or i hate it when you lie to me.
20:20이렇게 쓰면 되겠고요.
20:21자.
20:22이거 한번 해볼까요.
20:23그 사람이 그 말 할 때 나는 너무 짜증나.
20:26뭔가 그런 거 있잖아요.
20:27거슬리는 말 있잖아요.
20:28네.
20:29그래서 그가 그 말 할 때 나는 너무 짜증나.
20:32뭔가 그런 거 있잖아요.
20:33거슬리는 말 있잖아요.
20:34네.
20:35그래서 그가 그 말 할 때 나는 너무 짜증나.
20:38뭔가 그런 거 있잖아요.
20:39거슬리는 말 있잖아요.
20:40네.
20:41그래서 그가 그것을 말한다 라고 할 땐 says that.
20:45이렇게 쓰면 되겠죠.
20:46네.
20:47아.
20:48그가 그걸 말할 때 나 너무 싫어.
20:50어떻게 출발해요.
20:51i hate when he says that.
20:54there you go.
20:55i hate when he says that.
20:57or i hate it when he says that.
20:59이렇게 만들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21:02네.
21:03여러분들 한번 같이 낭독을 해 볼게요.
21:05이슬 아예 그냥 넣고 한번 해 볼게요.
21:08네.
21:09okay.
21:10i hate it when you lie to me.
21:11i hate it when you lie to me.
21:12i hate it when you lie to me.
21:13i hate it when you lie to me.
21:14i hate it when he says that.
21:16i hate it when he says that.
21:17i hate it when he says that.
21:18아주 좋습니다.
21:19자 여기서 챌린지 한번 해도 돼요.
21:21오케이.
21:22네.
21:23만약에 hate이 아니라 정말 너무 좋아요.
21:26오.
21:27너무 좋을 때는 hate의 반대가 뭘까요?
21:29like.
21:30like 더 올려볼까요?
21:31love.
21:32love.
21:33yeah.
21:34그러면 비 올 때 나 너무 좋아.
21:36이 얘기를 하고 싶은 거예요.
21:37오.
21:38비가 좋아가 아니라 비가 올 때 나는 너무 좋다.
21:40yes.
21:41틀려도 되니까 한번 해 보세요.
21:42일단 해 보세요.
21:43야.
21:44꼭 맞출 거예요.
21:46i really love when it's raining.
21:49오.
21:50오.
21:51퍼펙트.
21:52야.
21:53자 지금 슬기 씨는 it's raining.
21:54한참 비가 오고 있을 때 좋아하라고 더 디테일하게 간 거고요.
21:57저는 답을 it rains로 그냥 해버렸습니다.
21:59둘 다 좋아요.
22:01오케이.
22:03중요한 건 뭐냐면 나 정말 싫어하는 것보다 좋다라고 할 때는 love으로 바꿔주면 돼요.
22:06oh.
22:07i love it when it rains.
22:08or i love when it rains.
22:10i really love 하지 않아도 이게 정말 좋아라는 의미가 love.
22:13그렇죠.
22:14really 런다고 절대 틀린 게 아니라 걔는 심지어 더 올라간 거죠.
22:16네.
22:17좋습니다.
22:18자 그리고 여기 지금 where 이라고 썼죠.
22:21네.
22:22이거는 기본으로 가볍게만 짚을게요.
22:24우리가 뭔가를 where 하는 거.
22:26그리고 뭔가를 put on 하는 거.
22:27네.
22:28이 두 개는 다르죠.
22:29여기서 where 이라고 하는 거 무슨 뜻으로 보통 알고 있죠?
22:33입다.
22:34그렇습니다.
22:35where 는요.
22:36입는 동작을 하는 게 아니고요.
22:38입는 상태 혹은 그 상태로 돌아다니는 것을 where 한다고 해요.
22:42그래서 나는 뭐 예를 들어 언니가 내 옷을 입는 상태인 거 혹은 입고 돌아다니는 게 싫다라고 얘기를 하려고 where 쓴 겁니다.
22:50아.
22:51풀어는 좀 어색할 수 있어요.
22:52이 상황에서.
22:53그러네요.
22:54풀어는 옷을 입는 동작을 강조하는 겁니다.
22:56그래서 아기한테 어 신발 신어 그러면 put on your shoes 이렇게 하는 거예요.
23:00맞아요.
23:01맞습니다.
23:02그 행동을 말하기 때문에 그래서 나는 언니가 내 옷을 이렇게 이렇게 하고 이렇게 하는 게 싫어.
23:06그건 좀 어색하잖아요.
23:07그렇죠.
23:08그래서 그렇게 돌아다니는 상태가 싫으니까 예를 쓴 겁니다.
23:11자.
23:12읽어보겠습니다.
23:13I hate when you wear my clothes.
23:15I hate when you wear my clothes.
23:17Alright.
23:18문장 또 했으니까 피터와 트레이닝 할게요.
23:20I was about to return it.
23:25I was about to return it.
23:31I hate when you wear my clothes.
23:38I hate when you wear my clothes.
23:44네.
23:45미션 정리 한번 해볼게요.
23:46네.
23:47왜 물어보지도 않고 내 드레스 가져갔어?
23:49영어로
23:50Why did you take my dress without asking?
23:53두 번째.
23:54언니가 내 옷 입는 거 진짜 싫어.
23:57I hate when you wear my clothes.
24:00오케이.
24:01여러분들 공감하시면서 연습하시면 될 것 같아요.
24:03자.
24:04미션 기억하시면서 전체 대화 드릴게요.
24:05전체 대화 주세요.
24:06Poisotto셜
24:08아
24:09언제러 tow
24:12언제러 Tahane
24:13언제러 feeds
24:15아 환호
24:16inseam
24:17나 성님
24:18안ceam
24:21언제러 팀
24:23세요?
24:24sontanne
24:26엉
24:2810
24:28Et
24:29în
24:315
24:31엉
24:35I was about to return it.
24:47I hate when you wear my clothes.
24:59네, 입으로 하는 입영작 타임 돌아왔습니다.
25:01네, 여러분들 이 패턴 잊지 마이유!
25:04첫 번째 패턴 만나보시죠.
25:08하지도 않고 하지도 않은 채 입으로 해보겠습니다.
25:12여러분 댁에서도 목소리 키워주시고요.
25:14먼저 기회 드립니다.
25:16왜 물어보지도 않고 내 드레스 가져갔어?
25:19나눠드릴게요.
25:21너 왜 내 드레스 가져갔니?
25:26물어보지도 않은 채
25:28뭔가 느낌이 좋아요.
25:34두 번째, 나 먹지도 않은 채 잤어.
25:36나 잤어.
25:38과거, 과거. 그렇죠.
25:40먹지도 않은 채
25:42정답
25:44너무 좋습니다.
25:46세 번째,
25:48그녀는 인사도 안 하고 떠났어.
25:50그녀는 떠났어.
25:52과거, 그렇죠.
25:54인사도 안 한 채
25:56그녀는 떠났어.
25:58와우!
25:59She left without saying goodbye.
26:02아주 좋습니다.
26:04그렇다면 잊지 마요.
26:06다음 패턴.
26:08그녀는 평소문.
26:09네.
26:10이거 읽을 때 너무 싫어.
26:11자, 갑니다.
26:12언니가 내 옷 입는 거 진짜 싫어.
26:15나는 싫어해.
26:18그렇죠.
26:19당신이 내 옷을 입을 때
26:22오, 이거 좀 헷갈렸는데?
26:24살짝.
26:25I hate when you wear my clothes.
26:27좋아요.
26:28내가 나한테 거짓말하는 거 진짜 싫어.
26:31나는 싫어.
26:34당신이 나에게 거짓말할 때
26:36오, I hate when you lie to me.
26:41자, 하나 더 해볼게요.
26:42네.
26:43걔가, 그가 그렇게 말하는 거 진짜 싫어.
26:46자, 난 싫어.
26:48오, 저.
26:49그가 그걸 말할 때
26:51오, I hate when he says that.
26:56아주 잘하셨습니다.
26:57수고하셨습니다.
26:58자, 그러면 빈칸 채워진 전체 대화 드릴게요.
27:00전체 대화 주세요.
27:01주세요.
27:02Why did you take my dress without asking?
27:07Don't overreact.
27:08I was just borrowing it.
27:11I was about to return it.
27:14I hate when you wear my clothes.
27:18네.
27:19아까 중간에 borrow 할 때 진행형을 제가 썼거든요.
27:22I was just borrowing it 했는데
27:24실제로는 I borrowed it 이라고 해도 돼요.
27:27과거에 빌렸다.
27:28근데 굳이 과거 진행형을 쓰면
27:30보통 항상 진행형을 쓰면요.
27:32생생함을 좀 보여줄 수가 있어요.
27:34그래서 한참 그렇게만 하고 있었던 거라고
27:37이렇게 해서 조금 그런 뉘앙스를 주는 것 뿐입니다.
27:39우리도 아니, 그때 이렇게 했었는데
27:42막 이러면서 막 이렇게 실감나게
27:44생성감 있게 얘기하면 빨려들잖아요.
27:46그렇죠.
27:47진행형이 굉장히 효과적이에요.
27:48네.
27:49좋습니다.
27:50세계롭게 미션.
27:52해결!
27:55Why did you take my dress without asking?
27:58Don't overreact.
28:00I was just borrowing it.
28:02I was about to return it.
28:04I hate when you wear my clothes.
28:08Calm down.
28:10It's mine.
28:11It's mine.
28:12No, don't touch it.
28:13You'll rip it.
28:15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28:18확실히 제가 다 겪었던 일들이라
28:21귀와 머리 아주 쏙쏙 박히더라고요.
28:23공감이 좀 되셨으면 합니다.
28:25네.
28:26그렇다면 지난 시간 영작 후에서 정답 알려드릴까요?
28:28괜찮은 충전기 추천해줄 수 있어? 라는 문장이었는데요.
28:33Can you recommend a good charger?
28:35그렇죠. recommend 추천하다라고 하는 거.
28:38네.
28:39자 그러면 오늘 배운 2영작 패턴
28:40Without ing
28:42활용해서 다음 영작 해주세요.
28:44난 먹지도 않은 채 일했어.
28:47의욕을 하면 나 먹지도 않고 일했다고.
28:50아이고.
28:51너무 바빴나 봐요.
28:52네.
28:53이거 만들어주시면 되겠습니다.
28:54EBS 2 왕초보 영어 홈페이지에 퀴즈 게시판 들어오셔서 정답 많이 남겨주십시오.
28:59많이 많이 남겨주세요.
29:01저희는 내일 이 시간에 또 재밌는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29:04See you tomorrow.
29:05See you everyday.
29:06Bye.
29:07Bye.
29:09o
29:32o
29:34o
추천
35:34
|
다음 순서
35:50
29:10
29:14
26:42
29:51
29:14
29:34
29:25
29:01
28:05
29:02
28:13
26:42
5:43
27:46
28:30
16:30
47:06
57:13
16:34
17:06
16:35
1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