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17.


날달걀이 손으로 깨지지 않는 이유
연골 세포 이식 수술에 난각막 사용
연골 세포 지지대의 조건

건강한 삶을 위한 방법 [건강스페셜 한양촌]
목요일 오후 1시 20분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실제로 정상 연골과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연골의 구조를 비교해 보면요.
00:06정상 연골은요. 조직의 밀도가 높고 촘촘하게 정렬이 돼서 꽉 차 보이거든요.
00:11그런데 한번 보세요. 퇴행성 관절염 연골은 어떻죠?
00:15보시면 배열이 흐트러져 있고 곳곳에 빈 공간도 보입니다.
00:19그렇다면 이번에 난단막의 구성 성분을 한번 살펴볼까요?
00:24연골에 가장 중요한 핵심 성분이 똑같이 들어있죠. 그렇죠?
00:27그런데 너무 신기한 게 달걀 껍데기 안쪽이랑 우리 무릎 안쪽에 똑같은 성분이 있어서 보호를 해준다는 거잖아요.
00:35네. 제가 다 같이 할 수 있는 재미있는 실험을 하나 준비한 게 있는데요.
00:41이 날 달걀. 날걀을 이렇게 손바닥에 놓고 강하게 심을 주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00:48다 깨지죠. 볼까요?
00:50네. 하나, 둘, 셋.
00:53이렇게 펼치고 한번 해보세요. 이렇게 해서 안 되는 거 아니에요? 이렇게 펼치고.
00:59자.
01:00오.
01:03에이.
01:06저는 그래도 아직 악력은 자신 있습니다.
01:11우리 진짜로 우리 천장님이 이걸 깨면 깨면 깨면 제가 다음 주부터 MC 자리에 가서 앉겠습니다.
01:20뭐 이게 깨면 좋은 게 아니잖아요.
01:24자, 천장님께서 이거 깨면 달걀 수놓판 삶아 드릴게요.
01:28수놓판이요?
01:29네. 진짜?
01:31이거 못하면 이제 50대 되는 거예요?
01:34뭐야, 왜 안 깨죠?
01:35으아악!
01:38으아악!
01:39으아악!
01:40으아악!
01:41으아악!
01:42김정은 50대.
01:4450대 악력.
01:45으아악!
01:46으아악!
01:47날입니다.
01:48이렇게 맞는 거예요 진짜?
01:48날大게 맞아요.
01:49진짜요?
01:53뭐야?
01:53맞아요.
01:58자 우리의 연골을 한번 생각해볼까요?
02:01네.
02:01외부의 압력과 충격에서 무릎 뼈를 보호해주잖아요
02:04그 연골과 같은 성분이 이루어져 있어서 외부의 충격을 난감하게 흡수하고요.
02:10달걀을 보호하는 거죠. 실제로 우리가 산란계에서 그 계란이 떨어지는데도 막 나은 계란 같은 경우는 깨지지 않습니다.
02:19부드러운 데다가 난감막이 그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볼 수가 있죠. 실제로 장력을 주어도 난감막이 이 물리심으로
02:27이 평평하게 압력을 분산시켜주기 때문에 깨지지 않는 것입니다.
02:31우리 연골 성분과 구성 성분이 유사한 이 난감막을 연골세포이식 수술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02:37이 사진을 보시면 한눈에 이해하시기 편할 건데요.
02:41이 왼쪽과 오른쪽 사진 어떤 차이가 있는지 혹시 발견하셨나요.
02:45같은 사진처럼 보이기는 하는데 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인데요.
02:50왼쪽이 난감막이고 오른쪽이 연골입니다.
02:54이렇게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유사하니까요. 수술할 때 연골세포의 지지대로 활용하는 거죠.
03:00연골세포 지지대라고 하면 무거운 걸 이렇게 잘 받쳐주는 건가요.
03:04그렇게 오해하시기 쉬운데요. 연골세포 수술에서는 의미가 좀 다릅니다.
03:10사람이 연골인데 혹은 관절 조직에 손상이 생겼을 때는 인체 조직과 최대한 유사한 외부 물질을 지지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03:20지지대는 손상된 조직이 회복될 때까지 자리를 잡아주고 연골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대신해주는 구조물입니다.
03:27치과 임플란트 시술을 떠올리시면 되는데요. 치아를 빼고 바로 인공 치아를 심는 게 아니라 먼저 뼈에 단단히 고정되는 지지대를 삽입하잖아요.
03:38연골도 마찬가지입니다. 손상된 부위에 연골세포만 넣으면 흩어지기 쉽기 때문에 먼저 세포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게 지지대를 활용해야 하는 거죠.
03:49사실 지지대를 아무거나 지지대로 사용할 수는 없는 거잖아요.
03:53우선 우리의 연골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대체할 수 있어야겠죠.
03:57그리고 또 연골과 생물학극 규조가 유사해서 거부 반응이 없어야 됩니다.
04:03그리고 시술 부위가 회복이 되면 자연스럽게 흡수가 되거나 분해가 되겠죠.
04:09바로 난감막이 이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한다는 사실입니다.
04:13난감막은 연골세포 합성에 도움을 줘서 손상된 연골의 회복을 도울 수 있는데요.
04:19실제 관절염을 유발한 뒤에 4주간 난감막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자 무릎 관절 연골의 양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고 하고요.
04:27연골세포 손상이 억제되었다고 합니다.
04:30그뿐 아니라 골 관절염 뒤에 관절 조직에 난감막 추출물을 투여한 또 다른 연구에서도 연골층 극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04:40난감막이 연골세포 손상을 막는데 얼마나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험 영상을 하나 준비해봤어요.
04:48화면에 보이는 붉은 점이 사멸한 연골세포예요.
04:52첫 번째는 일반 연골세포, 두 번째는 콘드로이친을 처리한 연골세포, 세 번째는 난감막 추출물을 처리한 연골세포입니다.
05:02그런데 보시는 것처럼 한눈에도 난감막 추출물을 처리한 연골세포에서 세포 사멸이 가장 적게 발생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05:10통증이 힘든 거거든요.
05:12이 난감막의 통증 완화에도 도움을 좀 줄 수 있을까요?
05:15네, 관련된 연구가 하나 있는데요.
05:18실제 무릎 관절염 증상이 있는 환자들에게 난감막 가수분해물을 섭취하게 한 결과,
05:24섭취 10일 만에 관절 통증과 경직도가 감소했다고 하고요.
05:2940세에서 72세 사이 성인 남녀에게 2주간 난감막 가수분해물을 섭취하게 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요.
05:36운동 직후 섭취 하루 만에 관절 통증이 개선된다는 결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05:42퇴행성 관절염이 심해지면 걷기도 힘들고 앉기도 힘들고 일상적인 활동에 제약이 많잖아요.
05:49그런데 이때 난감막 가수분해물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05:53실제로 관절염 환자분들을 대상으로 난감막 가수분해물을 섭취한 결과,
05:59섭취 그룹은 평지를 걸을 때와 계단을 고를 때, 잠잘 때, 가만히 앉아 있을 때, 누워 있을 때 등
06:065가지 일상생활 속에 통증지수가 개선됐다고 합니다.
06:10그리고 또 하나 중요한 게 통증의 근본 원인인 염증 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겁니다.
06:16콤프, 콤프라고 하는 연골에 주로 존재하는 당, 단백질, 성분이 하나 있어요.
06:21관절염으로 인해 연골이 부딪혀서 손상을 입게 되면 연골 속 당, 단백질이 빠져나와서 관절액이나 혈청의 농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06:31그런데 한 연구에서 관절염을 유도한 지에게 난감막 다수분해 추출물을 4주간 투여했더니, 혈중 콤프농도가 약 24%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06:41고맙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