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한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논문 표절 논란을 해명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그는 이재명 정부의 첫 교육 수장으로 지명된 후 2주간 제기된 제자 논문 가로채기 논란 의혹에 대해 ‘이공계 관행’ 등을 들어 오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논문을 검증했던 교수단체와 학계에선 “궤변”이란 비판이 이어졌고, 참여연대 등은 그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이 후보자는 자녀의 불법 조기유학에 대해 “불법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큰 실수였던 것 같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의 두 딸은 2006~2011년 미국의 기숙형 사립학교를 다녔는데, 차녀는 중3 때 조기유학을 떠나 의무교육 기간 부모 동행 없는 유학을 금지한 당시 법 규정을 어겼다.
논문 관련 의혹엔 적극 해명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 이공계의 관행을 들어 “대부분 학생이 학위논문을 (발표)하기 전에 제가 국가 연구 프로젝트로 수주해서 연구 책임자로 수행했던 연구들이다. (제가) 제1 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범학계 국민검증단’(검증단) 등이 사용한 표절 판별 프로그램(카피킬러)을 문제 삼으면서 “카피킬러는 유사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전문가가 제외하면서 정확히 돌려야 유사율(표절률)이 나온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러 언론에서 2007년 이전 논문이 나왔길래 저도 돌려봤다. 전혀 타당치 않은, 10%를 겨우 넘는 표절률이 나왔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사진] 이진숙 논문표절 부인, 사퇴 거부 이 같은 발언에 학계는 재반박했다. 건축공학 전공인 서울의 한 사립대 교수는 중앙일보에 “연구비를 수주한 게 교수라도 실제 연구를 수행한 게 제자라면 교신저자, 지도교수로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지 적어도 제1 저자...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2104?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