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언론 보도는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다.”
 
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한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논문 표절 논란을 해명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그는 이재명 정부의 첫 교육 수장으로 지명된 후 2주간 제기된 제자 논문 가로채기 논란 의혹에 대해 ‘이공계 관행’ 등을 들어 오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논문을 검증했던 교수단체와 학계에선 “궤변”이란 비판이 이어졌고, 참여연대 등은 그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이 후보자는 자녀의 불법 조기유학에 대해 “불법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큰 실수였던 것 같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의 두 딸은 2006~2011년 미국의 기숙형 사립학교를 다녔는데, 차녀는 중3 때 조기유학을 떠나 의무교육 기간 부모 동행 없는 유학을 금지한 당시 법 규정을 어겼다.
 
논문 관련 의혹엔 적극 해명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 이공계의 관행을 들어 “대부분 학생이 학위논문을 (발표)하기 전에 제가 국가 연구 프로젝트로 수주해서 연구 책임자로 수행했던 연구들이다. (제가) 제1 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범학계 국민검증단’(검증단) 등이 사용한 표절 판별 프로그램(카피킬러)을 문제 삼으면서 “카피킬러는 유사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전문가가 제외하면서 정확히 돌려야 유사율(표절률)이 나온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러 언론에서 2007년 이전 논문이 나왔길래 저도 돌려봤다. 전혀 타당치 않은, 10%를 겨우 넘는 표절률이 나왔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사진] 이진숙 논문표절 부인, 사퇴 거부 이 같은 발언에 학계는 재반박했다. 건축공학 전공인 서울의 한 사립대 교수는 중앙일보에 “연구비를 수주한 게 교수라도 실제 연구를 수행한 게 제자라면 교신저자, 지도교수로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지 적어도 제1 저자...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2104?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본인이 직접 실험을 하셨다 이런 뜻이세요?
00:03네, 실험의 기본적인 피험자하고 같이 기계적인 실험을 하는 것까지는 제가 입회도 많이 했지만
00:12그 과정은 학생들이 주로 수행을 했습니다.
00:15네, 학생이 수행했다고 하는 것은 그 연구의 주체가 학생이다 이렇게 얘기할 수 있는 것이고요.
00:21그러면 후보님이 연구노트를 직접 쓰셨어요?
00:24지금 국가과제의 경우에는 연구노트를 30년간 보관하도록 되어 있지 않습니까?
00:31본인이 직접 연구노트를 쓰셨어요?
00:32당연히 학생들이 연구노트를 쓰고요. 저는 수첩에 그런 연구를 저장을 해서 기록하고 있습니다.
00:41지금 후보님의 말씀 자체가 학생들이 내가 따온 연구과제를 가지고 학생들이 실험을 한 것이다 이 말씀이시고요.
00:50이것은 그 실험을 한 학생이 일 저자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00:54이것이 소위 이공계의 일반적인 관행이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가 있고요.
01:00그렇지 않습니다.
01:00그렇지 않고 본인이 일 저자를 하는 것은 지나친 욕심을 낸 것이고
01:06어떻게 보면 이것이 연구 윤리에 맞지 않는 것이고
01:08또 나아가서 얘기한다고 하면 학생들의 학위가 취소되어야 된다는 얘기냐
01:13이런 문제 제기도 사실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얘기 드릴 수가 있습니다.
01:18답변 드리겠습니다. 연구를 기획하고 모든 실험 환경을 조성하고
01:25방법론을 모두 계획을 해서 단지 실험을 하는 구체적인 내용들에 대해서
01:34제자가 손발이 돼서 도와준 겁니다.
01:38같이 할 수밖에 없지요.
01:39저는 그게 조금 잘못된 인식이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01:44이것은 뭐
01:45그래서요.
01:49Thank you.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