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최근 K팝 시장 성장을 이끄는 주역은 노래도, 음반도 아닌 콘서트입니다.

그런데 정작 K팝 성지인 수도 서울엔 전용 공연장 하나 없어, 업계의 갈증은 갈수록 커지고 있는데요.

K팝 공연의 현주소를 송재인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그룹 블랙핑크의 완전체 콘서트를 앞둔 고양종합운동장 주경기장 앞입니다.

앞서 BTS 멤버들까지, 최근 대형 아티스트들의 콘서트가 유독 이곳에서 열리는 덴 그럴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서울에선 비슷한 규모로 대형 공연을 하기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규모가 가장 큰 서울 올림픽주경기장이 리모델링에 들어가며 3년째 이용이 막힌 지금,

비슷하게 6만 명대를 수용하는 상암 월드컵경기장은 잇단 '잔디 훼손' 논란에 그라운드석 판매를 하지 않는 등 공연용 대관이 까다로워졌고,

스포츠 경기 일정이 우선일 수밖에 없는 고척 스카이돔을 제외하면, 수도 서울에 남은 대형 공연장은 1만 명대 규모의 케이스포돔 정도입니다.

좁은 선택지 속 '대관 전쟁'이 일상이다 보니 세계적 스타 내한이 어렵사리 성사된들, 접근성이 높은 서울에선 콘서트를 열지 못했습니다.

[이유진 / 서울시 암사동 : (관객들이 한 지하철역에) 몰려서 덥기도 하니까 좀 불편함이 있는데….]

위치를 떠나, 대다수 콘서트를 체육 경기장에서 봐야 하는 데 대한 아쉬움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신영식 / 청주시 복대동 : 시야 제한 좌석이 있는 걸 알아서, 인터넷에서 찾아보고 피해서 예매했습니다.]

이처럼 공연 인프라가 정체된 사이, K팝 시장에서 콘서트가 갖는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기획사를 가리지 않고 콘서트 매출이 늘고 있고,

급기야 공연 매출 비중이 음원과 음반 매출을 뛰어넘는 사례까지 나오면서, 전문 공연장에 대한 수요는 더욱 늘어났습니다.

물론 개선의 기미가 전혀 없는 건 아닙니다.

이곳 서울 창동에는 오는 2027년 준공을 목표로 '서울 아레나' 건립 공사가 한창입니다.

수용 규모는 2만 명대지만, K팝 성지 서울에 들어선 첫 전용 공연장으로서 의미가 남다른데, 전문가들은 이런 대형 아레나는 물론, 다양한 형태의 인프라를 늘리는 게 바람직하다 말합니다.

[김헌식 / 문화평론가 : 예술의전당도 4,400석쯤 되는데 거기선 왜 대중음악 공연을 하면 안 되는 건가요? (대형 아레나) 이하 규모의 대중음악 공연 행사도 많이 이뤄져...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273&key=20250711190349243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최근 K-POP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주역은 노래도 음반도 아닌 바로 콘서트입니다.
00:07하지만 정작 K-POP의 성지라고 불리는 서울엔 전용 공연장이 하나 없어 업계와 팬들의 갈증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데요.
00:16K-POP 공연의 현 주소 바로 알아봅니다.
00:22그룹 블랙핑크의 완전체의 콘서트를 앞둔 고향 종합운동장 주경기장 앞입니다.
00:27앞서 BTS 멤버들까지 최근 대형 아티스트들의 콘서트가 유독 이곳에서 열리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00:37서울에서는 비슷한 규모로 대형 공연을 하기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00:43규모가 가장 큰 서울 올림픽 주경기장이 리모델링에 들어가며 3년째 이용이 막힌 지금.
00:49비슷하게 6만 명대를 수용하는 상암 월드컵 경기장은 이딴 잔디 훼손 논란에 그라운드석 판매를 하지 않는 등 공연용 대관이 까다로워졌고.
01:01스포츠 경기 일정이 우선일 수밖에 없는 고척 스카이돔을 제외하면 수도 서울에 남은 대형 공연장은 1만 명대 규모의 K-SCO돔 정도입니다.
01:14좁은 선택지 속 대관전쟁이 일상이다 보니 세계적 스타 내한이 어렵사리 성사된 듯 접근성이 높은 서울에서는 콘서트를 열지 못했습니다.
01:24위치를 떠나 대다수 콘서트를 체육 경기장에서 봐야 하는 데 대한 아쉬움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01:43이처럼 공연 인프라가 정체된 사이 K-POP 시장에서 콘서트가 갖는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01:51기획사를 가리지 않고 콘서트 매출이 늘고 있고 급기야 공연 매출 비중이 음원과 음반 매출을 뛰어넘는 사례까지 나오면서 전문 공연장에 대한 수요는 더욱 늘어났습니다.
02:06물론 개선의 기미가 전혀 없는 건 아닙니다.
02:09이곳 서울 창동에는 오는 2027년 준공을 목표로 서울 아레나 건립공사가 한창입니다.
02:15수용 규모는 2만 명대지만 K-POP 성지 서울에 들어선 첫 전용 공연장으로서 의미가 남다른데 전문가들은 이런 대형 아레나는 물론 다양한 형태의 인프라를 늘리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합니다.
02:31K-POP 공연 지원을 공약한 새 정부에 힘입어 업계의 오랜 갈증이 해소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02:53YTN 송재희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