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Q. 베토벤이 교양곡에 최초로
결합했던 '이것'은?

#전현무 #하석진 #이상엽 #궤도 #황제성 #윤소희

지식 충전 퀴즈쇼 [브레인 아카데미]
매주 목요일 밤 10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여기서 문제 되겠습니다.
00:02아 갑작스럽게.
00:03어떤 교양곡?
00:04자 문제 주세요.
00:06베토벤은 최초로 이것과 결합을 시도해
00:09교양곡의 새로운 장을 열었는데요.
00:11이것은 무엇일까요?
00:13결합을 시도해?
00:14악기인가?
00:15악기를 결합하는 거는
00:17새로운 시도일 리는 없을 것 같아요.
00:19EDM과 결합한 것도 아니고.
00:21군대 음악?
00:22군가?
00:23군가와 결합.
00:24근데 군과 결합한 노래 되게 많았잖아.
00:26그 전부도.
00:27아 행진곡도 그랬지.
00:28헝가리 뭐 어쩌고.
00:30터키의 행진곡이 있었잖아.
00:31근데 쿠러스.
00:32쿠러스 했다고?
00:33쿠러스.
00:34쿠러스인가?
00:35그게 뭐라고 해야 되지?
00:36합창단?
00:37사람의 목소리?
00:38목소리.
00:39그.. 그건가?
00:40화니교왕인가?
00:41따다다.
00:42근데 뭐지?
00:43화니교왕 뭐지?
00:44뭐예요?
00:45할렐루야.
00:46아니 그거 말고
00:48약간 되게 이렇게 막
00:49혼장한 느낌이 있는데.
00:51참.
00:52뭔지 알죠?
00:53난 난 난 난 난 난 난 난 난 난 난 난 난.
00:55합창.
00:56어 맞아 그거 같아요.
00:57그런 거 같아요.
00:58합창인가 보다.
00:59아니 최초로 이것과 결합해.
01:01사람의 목소리.
01:04정답인가요?
01:05아니요.
01:06절대 아니죠.
01:07목소리 하나 킵해놓고
01:09다른 거 결합할 거 있습니까?
01:11발레.
01:12할렐랑 결합을 했다고?
01:13높!
01:14연극?
01:15오 BGM으로?
01:17그러니까 로미오와 줄리엣 만날 때 띠 띠 띠 띠 띠 띠 띠 띠
01:20OST
01:21연극이나 이런 거에 BGM으로
01:23희곡과 결합했다와
01:25우리 목소리와 결합했다 두 가지가 지금 나왔습니다
01:27희곡이냐 목소리냐?
01:28그게 희곡 희곡
01:29좋다
01:30근데 저 베토벤 음악이 희곡이 쓰기 좋아
01:32빠바바밤
01:33그러니까
01:34그게 진짜 매력적이긴 하다
01:36저는 근데 아까 현모 오빠가 말했던
01:38합창 교양곡 그거인 것 같은데
01:40합창이 과거에 그럼 한 번도 같이 한 적 없나요?
01:43교양곡이라는 것 자체는
01:44교양곡은 원래 사람 목소리만 있는 거니까
01:47오케스트라 연주하는 거잖아
01:49근데 이제 베토벤 작곡을 할 때
01:51여기선 합창단에 목소리가 들어간다를 같이 넣어버린 거야?
01:54그렇지
01:58사람의 목소리 아닐까요?
02:00왜냐하면 희곡이라고 하면
02:02그게 우리가 알만한 거가 있을 거 같은데 그게 없잖아
02:04아 그렇지
02:05그렇지
02:06그 정도가 있네
02:07희곡이면 우리가 알만한 작품이 있지
02:08유명한 뭐가 있어야 되는데
02:09오히려 모차르트가 있어
02:11베토벤은 그쪽은 없는 거 같아
02:12맞네
02:14합창
02:14합창단
02:15정답 하시나요?
02:16
02:16외쳐주세요
02:17정답
02:18네?
02:18합창단이요
02:19그렇지
02:20합창단이요?
02:22
02:22
02:24합창 합창
02:25아 선생님 진짜 글자 하나 때문에 지금
02:27아니 그게 빡빡하면 안 돼요
02:28그게 다 맥락이라는 게 있는데
02:29합창단 사람 목소리
02:31화면으로 확인해 보시겠습니다
02:34아 제발
02:35네 정답은 합창입니다
02:48합창
02:49어떻게 하셨죠?
02:50띠라라라
02:52띠라라라
02:53
02:54합창 교양곡은 사악장 클라이막스에
02:57사람의 목소리를
02:58역시
02:58하나의 악기로 활용을 한 거죠
03:00아까 소희 씨가 아까 얘기하는데 제가 계속 움찔움찔 했거든요
03:03왜요?
03:04교양곡에 대해서 너무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셨어요
03:06그 전에 음악들의 교양곡들은 그냥 악기로만 순수 악기로만 연주되었거든요
03:12그러니까 이 사람의 목소리를 악기화 시켜서 플라이막스에 표명한 게 베토벤이 처음이었죠
03:19세계 최초로 그러면 한 거예요?
03:21사실은 그 당시에는 파격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03:23여기서 사람의 목소리가 나온다고
03:25그러니까
03:26합창 한번 감상해 보시겠습니다
03:28교양곡 이름이 합창이에요
03:29합창이에요?
03:30합창
03:31합창
03:40이걸 이렇게 들으니까
03:41근데 저 양세는 충격이었겠다
03:43목소리에 진짜 악기처럼 썼다
03:45완전 소름들었겠다
03:47초연에 베토벤이 직접 지휘를 했다고 하죠
03:5270분 동안
03:54안 들리는데
03:56진짜 천재인 거야
03:58어떠세요? 이런 곡 들으시니까?
04:06어떠세요? 이런 곡 들으시니까?
04:07멋있어요
04:08인정하고 멋있어요
04:09소희 씨가
04:11환희의 송가라고 잠깐 말씀하셨죠
04:13
04:14프리드리 실러의 시
04:18귀종은 특별하지 않고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라는 시입니다
04:22베토벤은 모든 인간은 형제가 되노라
04:25이런 시의 구절을 특히 마음에 들어했다고 해요
04:28그래서 그 시의 내용을 합창에 실었습니다
04:31아 그렇게 된 거구나
04:33이 곡이 끝나고 관객들이 큰 환호와 박수를 보내줬다고 하죠
04:39베토벤은 곡이 끝나자마자 그냥 가만히 있었대요
04:43저는 이 에피소드를 전할 때마다 같은 음악가 입장에서 울컥울컥한데
04:56거의 안 들리는 상태였대요
04:58아 진짜?
04:59귀가
05:00객석을 보지 않으니까 안 보이는
05:01객석을 보지 못하죠
05:02지휘자는 등을 보이니까
05:03그래서 보다 못한 연주자 한 명이 이렇게 돌려 세웠대요
05:22사람들을 보면서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고 하죠
05:27귀가 안 들릴 때 지휘를 한다는 게 얼마나 대단한 일이라고 하세요?
05:31저는 상상을 못 할 것 같아요
05:33저도 뮤지컬 지휘를 하는데
05:36일단 배우를 보고
05:38그리고 밑에 있는 오케스트라 소리를 들으면서 이렇게 조율을 하고 있거든요
05:41그게 어떻게 가능한 일이었을까 생각하면
05:44정말 그 음악에 대한 열정과 사랑 없이는
05:48가능하지 않는 일이었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05:51김문정 감독이 지휘하는 거 보면 소름이 돋는 게
05:54이렇게 하다가
05:55잠깐 끊어
05:56비올라 왜 소리 작아
05:57그건 어떡해
05:58진짜 너무 신기해
05:59진짜 어떻게 하세요?
06:00그 하나를
06:02들리는데요
06:04지휘자는 들려
06:05들리도록 노력을 하는 거겠죠
06:07와 진짜 신기하다
06:08이렇게 들을 수 있는
06:10이 감사함으로 음악을 하고 있는데
06:13들리지도 않은 상태에서 그렇게
06:15놀라운 곡을 만들었다는 거는
06:17후대 평가받고도 남을 일이죠
06:19사실 베토벤은 평등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한 음악가였습니다
06:29그리고 그는 늘 소수의 귀족이 아니라 더 많은 대중 앞에서 자기 음악을 연주하고 듣기를 원했어요
06:36그래서 1808년 12월 귀족이 아닌 시민들을 위한 공연을 개최하기로 마음먹죠
06:43이때도 베토벤은 4시간 가량 동안 자신이 직접 작곡한 곡을 지휘했다고 해요
06:49
06:50근데 사실은 그때 이미 청력이 거의 손상된 상태였고 리허설이나 이런 것들이 충분치 않았기 때문에 그렇게 공연 자체로는 높은 완성도를 주지는 못했다고 합니다
07:03하지만 베토벤의 진정성을 안 청중들이 자리를 끝까지 지키고 있었다고 하죠
07:09이게 바로 오늘날의 콘서트의 원형이 됐죠
07:16
07:17콘서트의 효시
07:18당시에 귀족이나 왕족들이 듣던 음악이 대중으로 성큼 다가서게 된 순간이었죠
07:24대중의 장을 그야말로 활짝 연게 베토벤의 콘서트가
07:28그가 도전해줘서 우리한테는 일상이 된 건
07:30그렇지
07:31그렇네
07:32지금 날에 우리가 들을 수 있는 거지
07:33그렇죠
07:34
07:35우� suka
07:36그렇죠
07:37
07:38
07:39
07:40여러분
07:43그는
07:56нуж
07:57owych
07:58
07:59요즘
08:00лом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