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Q. '예배당풍'이라는 뜻을 가진
무반주 다성 성가는 무엇?

#전현무 #하석진 #이상엽 #궤도 #황제성 #윤소희

지식 충전 퀴즈쇼 [브레인 아카데미]
매주 목요일 밤 10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여기서 문제 내겠습니다.
00:03우와.
00:04뭐 할까?
00:05그런 문제 나갑니다.
00:06지렵다.
00:07자, 문제 주세요.
00:09무반주 다성 성가를 칭하며 오늘날까지 쓰이는 말이 있는데요.
00:13예배당 풍이라는 뜻을 가진 이 말은 무엇일까요?
00:17무반주 다성 성가.
00:19아, 예배당 풍.
00:20예배당 풍.
00:21이건 가스펠.
00:23가스펠 그럴 듯하다.
00:24예배당 풍이니까.
00:26아르페지오.
00:28아르페지오야?
00:30무슨 뜻이죠, 아르페지오가?
00:32아르페지오가 떨리는...
00:34아다지오 모르는...
00:35디크레센도인가?
00:36크레센도.
00:37크레센도.
00:38자, 제일 느린 게 아다지오.
00:40아다지오.
00:41그리고 안단테.
00:42안단테.
00:43모데라토.
00:44그 다음에 빠르게가...
00:47프리또.
00:48프리또?
00:49프리또요?
00:50프리또 맛있겠다.
00:51그래서 그냥 빠르게가 뭐더라?
00:53프레스토, 알레그롬.
00:55아, 프레스토.
00:56알레그롬.
00:57비바체 비바체 비바체.
00:58비바체.
00:59많이 하네요?
01:00주입시켜요.
01:01아, 진짜 얼마나 주입을 받은 거예요?
01:02주입을 진짜 미친 짓이야.
01:04딸리마음.
01:05어, 딸리마음.
01:06아, 그거 도파라 스트레스토.
01:07굿거리는 기억나는 안 나.
01:09정기덕풍돌아, 쿵기덕풍돌아.
01:11정기덕풍돌아, 쿵기덕풍고.
01:13해버리장당.
01:15예배당풍.
01:17그러면 저쪽 용어가 들어가야 되는 거 아니야?
01:19예배당풍이면?
01:20예배당이...
01:21샤펠, 샤펠.
01:28어? 샤펠.
01:29채프리 샤펠이고 아카펠라 해서.
01:31예배당풍 아니에요?
01:32카펠라.
01:33그럼 아카펠라 맞는 거야?
01:34카펠라?
01:35그런가 보다.
01:36채프리 샤펠이 되고 카펠 해가지고 그 어감, 언어상.
01:40이야...
01:42최애포.
01:43맞을 수도 있겠다, 아카펠라.
01:44아카펠라라는 말 뜻이 내가 알기로는 반주 없다는 뜻이 아닌가?
01:47맞아요, 반주 없다.
01:48맞아요, 맞아요.
01:49아니, 그 반주가 없다는 게
01:50저 성당에서 부른 사람들이 반주가 없이 목소리로만 부르잖아.
01:54예배당풍이지.
01:55그러니까.
01:56그럼 어원이 아카펠라 맞는 거 아니에요?
01:57그럴 수도 있겠는데?
01:58반주 없다는 뜻도?
01:59그냥 아카펠라 하셔도.
02:00자, 하성진 씨 정답을 도전했어요.
02:02정답!
02:03정답!
02:04아카펠라 해보겠습니다.
02:05네, 정답은
02:06화면으로 확인해보겠습니다.
02:08이게 다 맞는 거 아니야?
02:09맞을 거야.
02:10맞을 거 같아.
02:14크라차!
02:17진짜 대단하다, 대단하다.
02:21알겠습니다.
02:22시청자분들 오해하시면 안 됩니다.
02:23저희 힌트 하나도 없어요.
02:24집단지성입니다.
02:25그래서 집단지성으로 하는 겁니다.
02:26정말 집단지성이시네요.
02:28네.
02:29아까 그 어원을 유추하시는 데 제가 사실 깜짝 놀랐거든요.
02:32진짜?
02:33채플?
02:34그렇죠, 카펠라가 성당이란 말이잖아요.
02:37어머!
02:38네.
02:39이탈리 말로.
02:40그래서 아카펠라면 예배당 풍.
02:42예배당에서 부르는 방식.
02:44이렇게 돼 있죠.
02:45무반주로 부르는 다성성가 아카펠라가 이런 어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02:50이야, 우리 대단하다.
02:52대단합니다.
02:53한번 아카펠라 들어보실까요?
02:55네.
02:56옛날 일기보 유명했죠?
02:58이탈리 말로 유명했죠?
02:59액기가 없는데...
03:00굉장히 어려운 거야.
03:01근데 액기가 없는데 되게 웅장한 느낌.
03:02오, 경건해졌네.
03:04아우 멋있다네
03:08악기가 없는데
03:10진짜 어려운 거야
03:11악기가 없는데 되게 운전한 느낌
03:12오 경건해졌네
03:16훨씬 풍부해졌죠
03:17혼자 부르던 어떤 단선율에서
03:20화성이 생기고 서로 주고받는 형식이 생겼죠
03:22그렇죠 화성
03:23풍성해졌어요
03:25네 이걸 다성음악이라고 합니다
03:27다성음악의 발전은 합창, 교양곡, 대중음악까지
03:31우리가 즐기는 거의 모든 서양음악의 기초를
03:34제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03:36근데 저때도 분명히 악기가 있었을 수도 있는데
03:39왜 반주가 없이 사람 목소리로만 이렇게 노래를 한 거예요?
03:43네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03:44당시에 악기는 굉장히 사용하는 것이 불경하다고 생각했습니다
03:48아 불경하다
03:49경기장 등에서 사용됐기 때문에
03:53아주 세속적인 악기라고 평가를 했죠
03:56일부 종교자들은 악마의 도구라고 얘기까지 했습니다
04:00그래서 그냥 카톨릭에서는 오롯이 사람의 목소리로만
04:04신성한 미사를 드릴 수 있다고 생각했죠
04:07또 문제 문제 마치셨네요
04:10축하드립니다
04:11다음 문제 바로 갑시다
04:12너무 자신감 있는 거 아니야?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