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57결정적인 내용은 국가 최고위원회에서 결정하겠다 이렇게 약간 여지를 남겨놓긴 했습니다.
01:02그렇군요. 해협을 봉쇄한다는 것은 지상군을 보내서 그 해협 아주 굉장히 좁기 때문에 통과시키지 못하게 하겠다.
01:09지연을 하는 것이죠. 그러면 세계 경제에 크나큰 타격이 올 것 아니겠습니까?
01:14예전에 이집트가 스웨지 운하를 그런 식으로 장악했다가 군사적인 어떤 타격을 받고 물러선 바도 있지 않습니까?
01:26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한다고 했을 때 이스라엘과 미국이 그럼 가만히 둡니까?
01:31지적하신 대로 가만히 둘 수 없다면 그 다음 수수는 공공 가지고는 안 되죠.
01:36지상군 투입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미국은 가장 두려워하는 중동 내전에 개입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01:43확전인 것이죠.
01:44그래서 그런 함정을 파놓고 미국이 이란에 대해서 어떤 협상안, 종전 협상을 제시하지 않고 무조건 한국만을 계속 요구한다면
01:55미국이 과연 중동 지역에 다시 한번 참전을 감낼 수 있느냐 이런 경고를 이란이 보내고 있는 것입니다.
02:02그렇군요. 그렇다면 이란의 독재자 하멘에 있는 지금 어디서 뭘 하고 있을까요?
02:0735년 이상 이란을 독재했던 독재자고요. 이란의 민주화의 움직임을 잔인하게 짓밟은 독재자입니다.
02:17미국이 벙커버스터로 핵심 핵시설을 때리자 하멘에이가 지하 어딘가로 숨었습니다.
02:24북한과 너무 닮았죠?
02:26북한과 완전히 판박입니다.
02:28벙커에 숨어 암살 대비 테헤란 모초 지하 벙커에 은신 중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고요.
02:33추적을 피하려 전자통신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됐고 있고요.
02:37다만 여러 외신 보도에 따르면 하멘에이의 제거 상황에 대비해서 후계자 후보자를 3명으로 지정했다.
02:48이런 얘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02:49어디서 뭐 하고 있는 겁니까?
02:50지금 하멘에이로서는 자기 심전을 걱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02:55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당신이 어디 있는지 알고 있다고 얘기를 했거든요.
02:58이지 타겟이라고 했잖아요. 쉬운 표적.
03:00표적이라고. 언제라도 트럼프는 마음만 먹으면 자기는 제거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03:06가장 본인이 생각하기에는 그래도 가장 안전하다는 장소에서 모든 통신을 끊고 최소한의 인원만 데리고서 지금 숨어 있겠죠.
03:16그런데 왠지 모사드가 어디 있는지 알고 있을 것 같아요.
03:20화멘에 숨어 있을 그 옆에 최측근 보좌관 세 번째 사람이 모사드가 심어놓은 사람일 것 같아요. 왠지.
03:27정황상 충분히 저는 가능하다고 봅니다.
03:29모사드가 장난 아니에요.
03:31그렇기 때문에 지금 이란의 주요 군 지지자들을 하룻밤에 한 시간 내에 다발적으로 공격을 해서 싹 제거를 해버리지 않습니까?
03:40싹 다 제거했잖아요.
03:41그런 정도의 정보 능력은 정말 대한민국 국민으로서는 저는 상당히 부럽습니다.
03:47우리 국가정보원도 빨리 그런 세계 최고의 정보기관으로 거듭나야 되고 많은 혁신을 통해서.
03:55아니 이스라엘 모사드도 하는데 우리라고 못할 법은 없잖아요.
03:59사실 지금 여러분 이스라엘 저거 하는 거 보시면 우리는 지금 저렇게 못했기 때문에 북한 핵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거거든요.
04:07우리는 저렇게 못했다.
04:08그렇죠.
04:08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지금 저걸 보면서 저게 남의 나라 일이 아니고 우리는 왜 저렇게 못했는지.
04:14지난 30년 동안 왜 이렇게 협상하면서 끌려다니다가 이렇게 됐는지.
04:18북한은 핵을 가지고 있는 나라가 됐고 우리는 북한의 핵의 위협에 완전히 노출되었는지를 국민 전체들이 다시 한 번 더 생각을 해야 되고.
04:26이스라엘은 우리나라 같은 처지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 저런 작전을 하는 겁니다.
04:32그래서 이란과 판박이인 북한, 이란과 북한의 핵 능력을 좀 한 번 비교해 봤습니다.
04:39북한이 훨씬 더 월등합니다.
04:44이란은 핵탄두가 없죠.
04:46하지만 핵을 개발한 기술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04:50그런데 북한은 적게 잡아, 적게 잡아 50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저거보다 많다라는 게 사실은 전문가들 분석입니다.
04:596차례 핵폭발 실험까지 벌였고요.
05:03MPT를 가입했다 탈퇴한 바 있죠.
05:06군사적인 제거 시기는 사실상 놓쳤다라는 얘기도 있습니다.
05:12김정은이 그래도 좀 미국의 작전을 보면서 굉장히 긴장하고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많은데.
05:18봉 교수님, 북한이 이란보다 훨씬 더 핵 능력이 우월하군요.
05:22아무래도 북한은 6차례 핵 실험을 한, 핵을 사실상 보유하고 있는 그런 체제니까요.
05:29이란은 아직 핵 실험을 하지 않았습니다.
05:32그래서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핵 비확산 조약, MPT죠.
05:37이것의 장례가 암울하다.
05:39왜냐하면 북한은 MPT를 탈퇴해서 자체 핵 개발을 하고 무장을 했고.
05:43이란은 MPT 국가로 남아있었는데도 미국과 이스라엘에 대해서 이렇게 군사 타격을 받았기 때문에 MPT에 남아있으면 무슨 소용이 있느냐.
05:54그래서 MPT가 앞으로 미래가 암울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05:57그렇군요.
05:57이번 이런 작전을 보면서 김정은 정권이 많이 긴장을 하겠습니다마는 또 이것은 북한에 대해서 희소식이 될 수 있습니다.
06:06왜냐하면 한밤중에 망치를 미국이 몇 개나 때릴 수 있겠습니까.
06:11그리고 이란에 대해서 이렇게 군사 작전을 해서 조금이라도 확전의 기미가 보인다면 미국의 군사력, 외교력이 중동에 다시 집중하게 됩니다.
06:21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멀어지게 되고요.
06:23그럼 굉장히 중국한테도 유리하겠고 북한한테도 유리한 것이죠.
06:28결국에 가서는 이란에 대해서 이렇게 군사 행동을 했는데도 핵 시설을 완전히 파괴하지 않았다면 북한 입장에서도 두려울 것이 없고.
06:37또 또다시 이런 굉장히 위험한 군사 작전을 할 것인가.
06:42트럼프 행정부가.
06:43그것은 국내 여론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고.
06:46이란과 북한의 차이점이 뭐냐면 이란은 보복 대상의 이스라엘과 1,500km 떨어져 있습니다.
06:53그러니까 보복 수단이 원거리 미사일과 드론 공격밖에 없는데 북한은 서울, 인천공항 인구 밀집 지역이 바로 근거리에 있기 때문에 미사일 공격뿐만 아니라 장사정포 공격만 해도 굉장한 혼란과 파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미국 정부가 그동안 군사 작전에 대해서는 굉장히 보수적인 입장을 취한 것이죠.
07:16북한도 이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긴장은 하고 있겠습니다만 오히려 이란이 북함보다 앞서서 군사 공격을 받았기 때문에 북한의 전략적인 입지는 오히려 개선되었다.
07:28그런 측면이 있군요.
07:29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이제 북한과는 친석이완을 하면서 외교적인 평화적인 해결을 모색하는 수밖에 없다는 이런 자신감이 오히려 생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